진보연합 (키르수스)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국가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국가
키르수스 제국 게파르토 제국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베른하이어 베른하이어 공국  ·  에르미니아 에르미니아 합중국  ·  마그니우스 마그니우스 제국  ·  프리슬란드 프리슬란드 자유국  ·  그란치프 그란치프 국민국  ·  코르보날 코르보날 연합국  ·  크래스터프 크레스터프 왕국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연표


-546
1423
고전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1423
1664
근대
현대


보편전기
연표
-546
1483
1664
고전 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근대
현대














보편전기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차량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차량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진보연합
Fortschrittener Vereinigung

1530년 -
로고
약칭 FV
당색 노란색
창당 1530년 8월 28일
이념
이념 주류이념 진보주의 의회주의 급진주의 정치적 자유주의
비주류이념 초기 사회주의
사회이념 세속주의 사회적 자유주의
경제이념 보호무역
스펙트럼 좌익-극좌

진보연합(키르수스어: Fortschrittener Vereinigung 포르트슈리테너 페라이니궁)는 1530년부터 15__년까지 존속한 키르수스진보주의 정당이다. 삼신분투표제에 반대하며 자유당에서 탈당한 진보 인사들에 의해 창당되었다. 좌익 대뷔르거와 소뷔르거, 프롤레타리아트의 지지를 받았다. 최초의 근대적 정당으로서 최초의 선거를 앞두고 중앙선거위원회(Zentralwahlkomitee)가 결성되어 선거를 주도했다. 그러나 시한의 부족과 신당으로서의 한계로 플라니아카스텔부르크에만 임시적인 선거조직을 갖추었다. 이후 루르바니엔알레마니아를 시작으로 전국 각지에 선거조직이 들어서기 시작하고 점차 제도화되었다.

구성

정파

정책

역사

의회제 운동

키르수스 의회제 운동 시기, 베른하르트 가일비히 빌헬름 폰 비를투어의 팜플렛으로 자유주의 인사들의 결집으로 창설된 자유당자연법에 반대하는 모든 이들의 결집으로 구성되었다. 후일 자유보수주의로 대표되는 중도우익부터 시작해서 급진주의의 극좌까지 아우르는 거대한 빅텐트 정치조직이었다. 그 설립이 광범위한 정치조직이었던만큼 수 많은 지역의 수 많은 정치 단체들의 연합으로 시작했고, 그 중 후일 각각 쿠르트 피슬부르크 폰 라테시투르의 중류파, 볼프로흐 라인하르트 폰 엘게메르츠의 상류파가 되는 "플라니아 자유인 연합"(Flanianischer Freienesbund)와 "자유청년단"(Freier Jungenbund)이 조직 내 좌파를 형성했다. 이들은 공동적으로 보편 선거를 주장했으며, 자유청년단의 일부는 여성 참정권도 요구했다. 이들이 존재한 알레마니아주슈베른란트 통일 전쟁의 패전의 영향으로 기타 지역보다 격렬한 자본주의 발전을 겪었고, 이로 인해 산업화의 악영향이 더욱 분명히 나타나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슈베로니아 통일 전쟁으로 기존의 보수적 질서가 붕괴된 상황에서 알레마니아주의 청년 자유주의자들은 제국 보통의 자유주의자들보다 더 넓은 시야를 자랑하게 되었다. 이는 그들의 좌경화로 나타났고, 자유청년단이 더욱 좌경화되었으나, 플라니아주에도 영향력을 끼친 플라니아 자유인 연합은 붕괴된 알레마니아주 정치권력이 아닌 플라니아주의 정치 세력과 교류하며 자유당 내 좌익을 견인했다.

1530년, 하인리히 에버하르트 황태자의 섭정을 통해 자유당과의 요구를 일부 수용한 타협이 성사된다. 이를 통해 전국적인 선거와 이를 통해 구성된 입법부에 입법과 예산의 권리를 부여받았으나, 국민주권이 인정되지 않았고, 평등 선거가 아닌 세금에 따라 표의 가치가 달라지는 삼신분투표제가 이루어지면서 자유당 좌익과 소뷔르거, 프롤레타리아트는 반발했다. 1530년 8월 28일, 쿠르트 피슬부르크 폰 라테시투르를 주도로 당 내 좌파가 탈당하며 진보연합을 창당한다. 플라니아 자유인 연합의 중류파와 자유청년단의 상류파 외에도 아미시아란트주 일대의 "마로부르크 자유주의 연구회"(Maroburger Liberalismus-Forschungskreis), 쿤트부르크 일대의 "쿤트부르크 인민공동체"(Kundburger Volksgemeinschaft), 카스텔부르크의 "제국중앙자유주의"(Zentraler Liberalismus des Foligerreich)가 창당에 참여했다.

창당

중류파와 상류파가 위치한 플라니아루르바니엔알레마니아 일대의 조직이 가장 거대하고 활발했으나, 마로부르크 자유주의 연구회와 쿤트부르크 인민공동체, 제국중앙자유주의 등 기타 지역의 조직들을 중심으로 마로부르크, 쿤트부르크, 카스텔부르크 등지에도 지부가 운영되었다. 초대 선거를 앞두고 슈베르부르크에 "중앙선거위원회"가 조직되었으며, 쿠르트 피슬부르크 폰 라테시투르가 해당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으며 일부 선거 운동을 지도했다. 해당 경험을 바탕으로 쿠르트 피슬부르크 폰 라테시투르선거 이후 "집행위원회"(Exekutivkomitee)를 구성하고 나아가 초대 의회의 교섭단체를 구성하고 총재 겸 원내대표를 맡았다. 집행위원회는 앞서 언급한 정치조직들의 대표들로 구성되는 토론기구에 가까웠으며, 원내대표의 권한은 미약하여 의원 제명의 권한 등 강제적인 권한은 없었다.

진보연합 초기 집행위원회 구성
위원회 위원 정치 조직 의석
위원장 쿠르트 피슬부르크 폰 라테시투르 플라니아 자유인 연합 (중류파) 알레마니아 1
볼프로흐 라인하르트 폰 엘게메르츠 자유청년단 (상류파) 알레마니아 31
아라문트 루카스 외슬리히 마로부르크 자유주의 연구회 (마로부르크파) 아미시아란트 5
파울 빌헬름 우날로흐 폰 올리너질데문트 쿤트부르크 인민공동체 (비자유당 란트파) 라우지츠부르크 13
아우구스트 프리트 제르마인 제국중앙자유주의 (제르마인파) 카스텔부르크 1

산업혁명의 진전이 이루어질수록 소상업과 수공업 위주의 소뷔르거의 몰락이 가속화되었고, 프롤레타리아트는 대뷔르거의 착취에 희생되었다. 1535년의 선거에서 진보연합은 소뷔르거 계층의 정당 활동 증진을 위해 의원 보수 지급과 제국정부의 정당 지원을 요구하는 등 사회개혁적인 약속을 펼쳤다. 1538년, 성화세 및 종교세 의무 폐지와 관련된 문제가 헌법논쟁 및 소요로 발전하며 자유당을 지원했다. 성화세 헌법논쟁자유당에버하르트 3세와의 타협으로 종료되어 진보연합 측이 주장한 비밀경찰 해체, 검열 완화, 12시간 노동제를 쟁취하였으나, 다시금 자유당이 반동세력과 타협하면서 이들에 대한 비난을 노골화했다.

크루시아 국민회가 포함된 집행위원회 구성
위원회 위원 정치 조직 의석
위원장 쿠르트 피슬부르크 폰 라테시투르 플라니아 자유인 연합 (중류파) 알레마니아 1
볼프로흐 라인하르트 폰 엘게메르츠 자유청년단 (상류파) 알레마니아 31
아라문트 루카스 외슬리히 마로부르크 자유주의 연구회 (마로부르크파) 아미시아란트 5
파울 빌헬름 우날로흐 폰 올리너질데문트 쿤트부르크 인민공동체 (비자유당 란트파) 라우지츠부르크 13
아우구스트 프리트 제르마인 제국중앙자유주의 (제르마인파)
뤼톨트 그라우졸프 뤼길 폰 루탈하임 데어 지퍼 크루시아 국민회 (전자유당 란트파) 퀴스테 11

1543년 5월, 보수당은 새 제국내무장관으로 노동자 탄압에 적극적이던 폴크데겐 지크프리트 카를 폰 할텐하임을 추천하고, 자유당 또한 이에 동의하면서 자유당 내 좌익이 탈당해 연합에 가입했다. "크루시아 국민회"(Krußianischer Nationverband) 혹은 전자유당 란트파는 쿤트부르크 인민공동체와 같이 크루시아에 기반을 두고 있어 이들과의 충돌이 우려되었고, 점차 심화돼 1550년 선거에서 이들은 플라니아 자유인 연합의 중재 하에 선거구를 나누었다. 하지만 1555년 선거에서 플라니아 자유인 연합이 의석을 다수 상실하며 연합 내에서의 통제권이 상실되었고, 크루시아의 파벌 뿐 아니라 연합을 구성하는 각 파별의 분권화가 강화되었다. 결국 1556년 3월 20일, 크루시아 국민회가 연합을 탈당해 국민당을 창당하면서 연합이 점차 분열되었다.

황금시대

1558년 5월 18일 협약절, 아델베르트 2세자유당보수당에 의해 지분계승전쟁 개입이 이루어진다. 연합은 전쟁과 군비 증강에 반대하며 1559년 전쟁예산법의 통과와 A위원회 설립을 반대했다. 집행위원회 위원장 쿠르트 피슬부르크 폰 라테시투르는 제국의 '제2차 베른하이어 내전 개입은 베른하이어의 주권 침해이며, 전쟁에서의 성과는 군비를 프롤레타리아트를 위해 지출하는 것보다 못하다'며 지분계승전쟁을 비판하고 노동권 보장을 요구했다. 1560년 5월, 내전 세력 간 협정에 의해 휴전이 체결되면서 1559년 전쟁예산법의 중지 및 베른하이어로의 파병 중단, 최종적으로 원정군의 철군을 주장했다. 그럼에도 자유당이 원내에서 계속 개입을 옹호하자 오스보른 베르벤 의원은 "피 먹은 의석(Der Blutgetränket Sitz)"이라며 자유당에 날선 비난을 가했다.

1561년 1월 18일, 황립군의 독단적인 공격으로 전쟁이 재개되자 자유당1561년 전쟁예산법1562년 전쟁예산법을 통과시키며 계속해서 찬전 행보를 보였다. 콘라트 브루스펠트황립군의 독단으로 휴전이 파기된 것에 대해 1538년 성화세 헌법논쟁에서의 자유당황제 간 협상을 다시금 비판하고, 군권을 비롯해 외교권을 제국인민의회의 권한으로 둘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제국은 지분계승전쟁에서 승전하며 그 전리품에 의해 황금시대라 불릴 정도로 경제가 대호황하면서 찬전 정당에 대한 인민의 지지가 증가했다. 결국 쿠르트 피슬부르크 폰 라테시투르의 뒤를 이어 집행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된 콘라트 브루스펠트가 이끄는 연합은 1565년 선거에서 플라니아 자유인 연합의 기반 지역인 플라니아의 의석을 포함한 다수 의석을 잃으며 패배했다.

1560년 대 집행위원회 구성
위원회 위원 정치 조직 의석
위원장 콘라트 브루스펠트 플라니아 자유인 연합 (중류파) 플라니아 16
볼프로흐 라인하르트 폰 엘게메르츠 자유청년단 (상류파) 알레마니아 31
볼프라이트 로틀란트 폰 오렐리엔 마로부르크 자유주의 연구회 (마로부르크파) 아미시아란트 9
도메트루디스 보쉴레 쿤트부르크 인민공동체 (비자유당 란트파) 라우지츠부르크 11
호르돌프 후베르투스 하이트거 제국중앙자유주의 (원외파)

1565년 선거자유당의 대승으로 종결됐다. 자유당브라우덴올펜로흐 제국내각의 중요한 지원 정당으로서 여러 부분에서 양보를 받고 주었다. 자유당의 주요 지지 집단인 대뷔르거는 봉기에 대한 두려움과 국민주의에 경도되며 전통적 기득권 세력과 공동 전선을 형성해나갔다. 그 대표적인 예로 자유당에 의해 추천돼 제국내무장관에 임명된 도메트루디스 바헤멘 폰 아르겐 백작은 적극적으로 노동 운동을 탄압했다. 이러한 기득권과 대뷔르거의 연합으로 노동 운동이 큰 타격을 입었으나, 역설적으로 프롤레타리아트의 조직화를 촉진시켰다. 연합의 좌익인 자유청년단은 이들로부터 지지를 이끌어내며 10시간 노동제, 노동조합 합법화, 최저임금제 등을 요구했다.

1574년, 기근이 발생해 인플레이션이 상승함에 따라 사회적 혼란이 야기되었다. 이에 브라우덴올펜로흐 제국내각모르티민 동양 회사의 배당 체계를 수정하고 그란치프 제국 등과의 농산품 관세 협상을 통해 혼란을 수습하고자 했다. 그러나 전자의 행동으로 인해 모르티민 동양 회사의 주식이 폭락하며 대불황이 발생하고, 농산품 관세 협상으로 인해 융커의 반발을 사게 된다.

역대 총재

선거 결과

선거 대표 득표 % 의석 +/-
1531년 쿠르트 피슬푸르트 폰 라테시투르 2,583,108표 16.21% 25석 / 192석 (13.02%) 보합
1535년 3,850,154표 23.00% 33석 / 192석 (17.18%) 증가 8석
1540년 3,186,939표 18.69% 28석 / 192석 (14.58%) 감소 5석
1545년 4,368,116표 25.12% 40석 / 192석 (20.83%) 증가 12석
1550년 5,012,281표 28.27% 55석 / 192석 (28.64%) 증가 15석
1555년 5,198,105표 27.29% 42석 / 192석 (21.87%) 감소 13석
1560년 5,391,858표 24.68% 47석 / 289석 (16.26%) 증가 5석
1565년 콘라트 브루스펠트 4,791,836표 23.29% 33석 / 289석 (11.41%) 감소 14석
1570년 헤르비히 오스트가우 폰 페돌트하임 5,296,109표 24.29% 38석 / 289석 (13.14%) 증가 5석
1575년 7,168,587표 28.09% 65석 / 289석 (22.49%) 증가 25석

같이 보기

 키르수스의 정당 
대리시대 - 황금시대
진보주의
자유주의  ·  국민당
보수주의  ·  자유보수당
지역정당 해안의당  ·  아미시아란트 동맹
대불황기
사회주의 인민사회주의연합  ·  키르수스 노동사회당
진보주의
자유주의 국민자유당  ·  자유인민당
보수주의  ·  자유보수당
지역정당 아미시아란트 동맹
신앙시대
반동시대
자유시대
군국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