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국가 | ||||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국가 | ||
키르수스 제국 | 게파르토 제국 |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
![]() ![]() ![]() ![]() ![]() ![]() ![]() | ||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연표 |
보편전기 |
연표 | |
보편전기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포 | 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 |
![]() |
![]() |
![]() |
![]() | ||||||
카노쿠겔 Kanokugel |
드베르그 Dweorg |
리겔 Ligel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죄뢰이 Jöröi |
라퓰러이 Lafülöi |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
![]() ![]() ![]() |
![]() ![]() ![]() ![]() ![]() ![]() ![]() | ||
포 | 차량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카노쿠겔 Kanokugel |
![]() |
드베르그 Dweorg |
![]() |
리겔 Ligel |
![]()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 |
죄뢰이 Jöröi |
![]() |
라퓰러이 Lafülöi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
내치베루스 제국내각 Foligerreichskabinett Nätschiberus | |
제1대 제국정부 | |
1530년 - 1538년 | |
조각 | 1530년 8월 16일 |
해산 | 1538년 6월 14일 |
구성원 | |
황제 | 에버하르트 3세 |
제국수상 | 레슈텔루프 뤼셸리히 폰 내치베루스 |
각료 수 | 5명 |
퇴임한 각료 수 | 1명 |
총 각료 수 | 6명 |
입각정당 | 무소속 (관료, 군부) 지원정당: 자유당 (1530-1538) |
역사 | |
이전 내각 | 초대 |
다음내각 | 데어 리우슈타인 제국내각 |
내치베루스 제국내각(키르수스어: Foligerreichskabinett Nätschiberus 폴리거라이히스카비네트 내치베루스)는 1530년 8월 16일 조각된 키르수스의 초대 제국정부이다. 하인리히 에버하르트 황태자와 자유당 간 타협으로 제국헌법의 초안을 수용하고, 지틀란트주 관료인 레슈텔루프 뤼셸리히 폰 내치베루스를 제국수상으로 임명해 제국내각을 조각시켰다. 1531년 선거 이후 어느 정당도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하자 자유당과 보수당 좌익의 지지를 바탕으로 제국정부를 운영했다. 지지에 대한 대가로 제국참의원에 자유파 의원을 임명하는 등 친-자유파적 태도를 보였다.
1535년 선거부터 요구된 성화세를 비롯한 종교세 의무 폐지가 1538년 6월 9일과 11일에 제국인민의회와 키르수스 제국참의원을 통과하였으나 에버하르트 3세의 거부권 행사를 통해 정치적 위기가 발생한다. 성화세를 비롯한 종교세 의무 폐지가 황제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본 에버하르트 3세는 6월 14일 의무 폐지안을 통과시킨 제국참의원 의원과 친자유주의적 성향의 레슈텔루프 뤼셸리히 폰 내치베루스를 해임시켜 제국내각은 해산된다.
1518년 로이함펠 라테넨 폰 프란텐샤테 수석각료의 해임 이후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오던 입헌군주제는 1526년 자유주의 인사들이 자유당을 구성하여 조직적인 운동을 구성하며 그 영향력을 계속 증가시켰다. 1528년 감자위기를 통해 전국적인 소요가 발생하며 이를 진압하기 위해 강경한 헤르만 힌추퓌겐 에르베마르 폰 마젠셔가 수석각료로 임명됐다. 헤르만 힌추퓌겐 에르베마르 폰 마젠셔는 『중재자』란 자유주의 성향의 신문을 정부를 비판한 기사를 작성한 기자를 체포하고 이에 비판한 대학 교수를 체포하면서 자유파의 강력한 반발을 일으켰다. 이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황립군을 동원해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이들이 도심 외곽에 진주한 것이 알려지면서 무력 시위로 발생하는 등 위기는 심화되었다. 그러던 중 1530년 7월 5일 헤르베르트 2세가 쓰러져 하인리히 에버하르트 황태자의 대리청정이 시작되면서 황태자는 자유당의 주요 인사들과 협상을 시도하였다. 협상의 결과, '세상을 맡기기' 위해 제국헌법을 제정하고 의회를 구성하고 검열을 해제한다는 강림절 선언이 이루어지고, 제국정부의 장으로서 제국수상을 두고 지틀란트주의 레슈텔루프 뤼셸리히 폰 내치베루스를 임명해 내각을 구성케 했다.
직책 | 성명 | 재임기간 | 정당 |
제국수상 Foligerreichskanzler |
레슈텔루프 뤼셸리히 폰 내치베루스 | 1530년 8월 16일 - 1538년 6월 14일 |
무소속 |
제국내무장관 Foligerreichsminister des Inner | |||
제국외무장관 Foligerreichsminister des Auswärtiges |
빌헬름 알브레히트 폰 크리제스테 | 1530년 8월 16일 - 1538년 6월 14일 |
무소속 |
제국재무장관 Foligerreichsminister des Finanz |
율리히 아겐슈타호프 폰 올텐쇠르 운트 노이아젤 | 1530년 8월 16일 - 1535년 9월 25일 |
무소속 |
하인리히 홀레베르트 폰 레닐그레이호펜 | 1535년 9월 25일 - 1538년 6월 14일 |
무소속 | |
제국법무장관 Foligerreichsminister des Justiz |
플로리안 호르너 폰 데어 졸셴바움 | 1530년 8월 16일 - 1538년 6월 14일 |
무소속 |
황립군 제국전쟁부 대리인 Vertreter des Foligerlicher Armee für Foligereichsministerium des Krieg |
엘베푸르스 폰 로스틸레아 | 1530년 8월 16일 - 1538년 6월 14일 |
무소속 |
1535년 9월 25일, 율리히 아겐슈타호프 폰 올텐쇠르 운트 노이아젤 제국재무장관이 건강을 이유로 사임하고 그 후임으로 프레니아파 관료인 하인리히 홀레베르트 폰 레닐그레이호펜을 임명했다.
레슈텔루프 뤼셸리히 폰 내치베루스는 제국참의원 의원 임명의 권한을 이용해 자신의 지원 정당인 자유당에 우호적인 이들을 귀족 및 의원으로 임명하며 자유당의 입법에 탄탄대로를 구축했다. 1538년 6월, 제국인민의회를 통과한 성화세 폐지안은 평소와 같이 제국참의원을 통과했으나, 에버하르트 3세에 의해 거부되었다. 6월 14일, 에버하르트 3세는 해당 안건을 황권을 업신여기고 위헙하는 안건으로 인지했는지 해당 안건을 통과시키는데 큰 도움을 준 레슈텔루프 뤼셸리히 폰 내치베루스와 그의 내각을 해산시키고 헤레보르트 레미스문트 프란츠 폰 데어 리우슈타인을 새 제국수상으로 임명하며 제국내각의 조각을 명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