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국가 | ||||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국가 | ||
키르수스 제국 | 게파르토 제국 |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
![]() ![]() ![]() ![]() ![]() ![]() ![]() | ||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연표 |
보편전기 |
연표 | |
보편전기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포 | 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 |
![]() |
![]() |
![]() |
![]() | ||||||
카노쿠겔 Kanokugel |
드베르그 Dweorg |
리겔 Ligel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죄뢰이 Jöröi |
라퓰러이 Lafülöi |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
![]() ![]() ![]() |
![]() ![]() ![]() ![]() ![]() ![]() ![]() | ||
포 | 차량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카노쿠겔 Kanokugel |
![]() |
드베르그 Dweorg |
![]() |
리겔 Ligel |
![]()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 |
죄뢰이 Jöröi |
![]() |
라퓰러이 Lafülöi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
|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알레니아어: Magnian Merchant Navy 마그니안 머천트 네이비)은 마그니우스의 민간 화물선 및 여객선, 즉 상선과 그 상선을 지휘하는 상선사관 및 승무원들을 포괄적으로 이르는 명칭이다. 마그니우스 국내에선 단순하게 상선 해군(알레니아어: Merchant Navy 머천트 네이비)이나 MN으로 통한다. 상선 해군의 상선들은 레드 더스터라고도 불리는 민간 상선기나 정부 상선기를 게양하며, 상선에 대한 전문 중앙 부처인 마그니우스 상무원의 규제를 받는다. 마그니우스의 상선들은 상무원이나, 제국 선박등기소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이렇게 등록된 선박들은 일종의 해군 준군사조직처럼 취급을 받으며, 전시와 유사시에 법령에 따라 마그니우스 정부에 징집 및 차출되어 운용될 수 있다.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의 상선 사관들과 승무원들은 상무원의 규정과 상선 해군 훈련 위원회(Merchant Navy Training Board)의 교육과정에 따라 훈련되고 자격을 부여받으며, 이러한 교육 및 훈련은 마그니우스 곳곳에 위치한 해양대학(Maritime Collage)과 고등 교육 기관들에서 이루어진다.
1650년의 연방 전쟁과 키르수스-그란치프 전쟁(1650~1654)를 거치며, 적지 않은 위험 속에서도 제국의 무역로를 꿋꿋히 유지해낸 마그니우스 상선대에게 상선 해군이라는 칭호를 알버트 2세가 하사한 것은 1654년이었다. 그 이전까지, 마그니우스 선사들이 보유한 상선들과 선사들이 고용한 사관, 선원의 거대한 집단이었던 마그니우스 상선대는 말 그대로 상선대(Merchant Marine/Merchant Service)로 불렸다. 다만, 상선 해군이라는 호칭은 비공식적으로나마 16세기부터 쓰여온 바 있다.
상선기는 선박의 후미에 게양되며, 범선의 경우 돛대에 게양할 수 있다. 상선기에 문양을 새기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것을 선박에 게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허가가 필요하며, 허가를 받았다는 증명서가 선박에 반드시 있어야 한다. 상선기는 오랫동안 자치령과 식민지들의 국기를 위한 배경으로 애용받았으며, 이는 민간 상선기와 정부 상선기를 가리지 않았다. 선사들은 별도로 개개의 선사를 대표하는 선사기를 선박에 게양할 수 있다.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의 인적 구성은 매우 다양한데, 이는 마그니우스 선사들이 사업을 펼치는 범위와 마그니우스 제국의 규모가 반영된 것이다. 어떤 상선은 선원들이 주로 마그니우스인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다른 상선은 신디아인이나 헤르니소스인, 심지어 낸팬인이나 투디아인으로 구성된 선원진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장교진과 기술직은 마그니우스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마그니우스 선사들은 사업을 주로 하는 현지의 선원들을 고용하기를 꺼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왕해에서 주로 활동하는 선박이라면 신디아와 투디아인 선원들이, 소향양에서 주로 활동하는 선박이라면 헤르니소스인 선원들이 많다.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은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상선과 상선 승무원 집단이다. 1663년 현재 전세계 상선 톤 수의 약 60%가 마그니우스의 상선기를 휘날리고 있으며, 1663년 현재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에 소속된 선박은 약 20,000척 내외에 달한다.
역사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은 마그니우스, 더 나아가 커네디아 연합과 알레니아 왕국의 역사 대부분의 기간 존재해 왔으며, 마그니우스 제도의 국가의 무역량과 해외 제국이 성장하면서 상선 해군 또한 함께 성장해 왔다. 상선 해군을 조직하기 위한 시도는 1450년대까지 거슬러갈 수 있는데, 전시에 왕립 해군의 인력을 보충하기 위해 모든 상선의 선원과 장교들을 국가에 등록하려고 했던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이러한 시도가 성공을 거둔 것은 1500년, 대양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이었다.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은 전쟁 기간 동안 큰 피해를 입으면서도 마그니우스의 전쟁 경제를 지탱했고, 마그니우스가 대양 전쟁에서 승리하는 데 있어 큰 공로를 세웠다.
이후 상선 해군은 꾸준히 성장해 세계 최대의 상선단이 되었는데, 이렇게 될 수 있었던 데에는 마그니우스가 꾸준히 확보해 온 바네버웨센과 신디아의 식민지들, 그리고 대양 전쟁의 승리로 획득한 헤르니소스 식민지들과의 무역이 큰 기여를 했다. 산업 혁명으로 등장한 증기선과 함께, 이러한 무역의 번영은 16세기,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이 지배적인 위치를 굳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러한 압도적인 상선 해군은, 지분 계승 전쟁(1558~1563)에서 마그니우스 육군이 신속하게 병력을 파견하고, 그 병력에 대한 원활한 보급이 가능했던 가장 큰 요인이었다.
하나는 위에서 뜨겁게 타오르는 태양을 위하여! 둘은 우리가 사랑하는 제국을 위하여! 셋은 저 아래쪽에서 타오르는 불길을 위하여! |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에 이르러, 상선 해군의 훈련 및 교육 과정은 크게 진일보했다. 교육 기관들이 상선 사관들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기 시작한 것인데, 1585년 리빙던 해양 대학(Livingdun Nautical Collage)이 글레니아 출신 상선 사관들에게 교육을 제공하기 시작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상선 사관들을 위한 학교들도 본격적으로 세워지기 시작했다. 1591년의 린스턴 해양 기술 대학(Linstone Marine and Technical Collage)나, 1602년의 사우스포트 항해 학교(Southport School of Navigation)등이 이러한 새로 생겨난 학교의 대표주자였다.
벨티아 전쟁과 연방 전쟁, 그리고 키르수스-그란치프 전쟁 기간 동안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은 눈에 띄는 손실을 입지는 않았다. 연방 전쟁 당시 프리슬란드 해군의 통상파괴 작전에 상선 피해가 발생했으나, 마그니우스의 거대한 상선 보유량과 비교해봤을 때 흠집조차 내지 못할 양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쟁들이 의미하는 세계 정세의 급변은, 마그니우스 상선대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왔다. 더욱이 해양 환경이 점점 적대적으로 변해가고, 이러한 자연에서의 위협은 1655년 1월 16일, 베테랑 대형 여객선 RMS 알레닉이 손상을 입고 3시간에 걸쳐 가라앉는 사건이 일어나면서 눈에 띄게 자명해졌다. 알레닉호 참사는 마그니우스 사회에 크나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 이후,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은 대대적인 인수 합병을 거치게 되었고, 상선들의 설계 및 무장 또한 강화되었으며, 안전 조치도 크게 개선되었다.
1654년, 알버트 2세는 당시 왕세자였던 르웰리아 공작 로버트에게 "상선 해군과 어선단들의 수장이자 보호자(Master and Protector of the Merchant Navy and Fishing Fleets)" 호칭을 하사하였고, 이후 1660년 로버트 왕세자가 병사하자 다음 왕위 계승권자인 히튼 공작 알버트에게 승계되었다. 즉위한 이후에도 알버트 3세는 이러한 호칭을 유지하였고, 이로서 마그니우스의 상선단은 공식적으로 상선 해군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은 것이 되었다.
기업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은 본국 및 자치령과 식민지의 수십개에 달하는 민간 선사들과 해운사들을 포함하고 있다. 1500년에 최초로 해운 업계 전반에 걸친 표준화와 계급 통일을 이뤄낸 이후, 수많은 회사가 생겨나고 없어졌으며, 연방 전쟁과 키르수스-그란치프 전쟁 이후 선박 업계의 대대적인 재편을 거쳤다. 대외적으로 마그니우스 해운 업계를 대표하는 것은 로디언에 소재한 연방 왕국 해운회의소(Commonwealth Kingdoms Chamber of Shipping)이다. 마그니우스 상무원의 선박 명단에 직접 등록되었거나, 제국 선박등기소(Worldrealm Ship Registry)를 통해 등록된 선박은 민간상선기를 게양할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해 정부의 보조금을 받거나 해군 예비역 장교가 지휘하는 상선은 정부상선기를 게양할 수 있다.
1663년 현재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에 소속되어 영업 중인 해운사는 총 96개이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빅 세븐(Big Seven): 보유 상선 용량이 9,000,000t이 넘어가는 초거대 선사 7개
- 연합 동방 회사 (United Orient Company, UOC)
- 신디아 앤드 오리엔탈 해운(Sindia & Oriental Line, S&O)
- 로열 메일 해운 (Royal Mail Line)
- 뉴알레니아 콘스텔릭 해운 (New Alenia Constellic Steamship Company, NAC)
- 내셔널 해운 (National Line)
- 도미니언 해운 (Dominion Line)
- 알레니시 페트롤리엄 (Alenish Petrolium, AP)
일반 선사
- 대양 증기 항해 회사 (Oceanic Steam Navigation Company, OSNC)
- 오리엔탈 페트롤리엄 (Oriental Petrolium, OP)
- 네이비 스타 해운 (Navy Star Line)
- 금정양 해운 (Gildian Line)
- 왕립 증기선 회사 (Royal Steamship Company, RSC)
- 제국 증기선 회사 (Worldrealm Steamship Company)
- 글렌 해운 (Glen Line)
- 호레스 클락슨 (Horace Clarkson)
- 제임스 뉴먼 & 밸푸어 (James Newman & Balfour)
- 로웨스토프 시티 해운 (Lowestoffe City Line)
- 성단양 증기 항해 회사 (Constellic Steam Navigation Company)
- 라텐스 앤드 히튼 무역 회사 (Latense and Heaton Trading Company)
- 로디언 증기 정기선 회사 (Lothian Steam Packet Company)
- 쇼, 새빌 & 알레니시 해운 (Shaw, Saville & Alenish Line)
- 로디언 & 해외 증기선 (Lothian & Overseas Steamers)
- 소향양 증기 항해 회사 (Waywardic Steam Navigation Company, WSNC)
- 마그니안 앤드 바네버웨센 증기 항해 회사 (Magnian and Vaneverwessen Steam Navigation Company, MVSNC)
- 라텐스 정기선 (Latense Liners)
- 레드 앵커 해운 (Red Anchor Line)
- 기온 & 해리슨 해운 (Guion & Harrison Line)
- 서부 헤르니소스 회사 (West Hernisos Company)
- 스완 유니언 해운 (Swan Union Line)
- 케이프 캐슬 해운 (Cape Castle Line)
- 로렌시안 페트롤리엄 (Lorentian Petrolium, LP)
- 카터 윌리엄 & 선즈 (Carter William & Sons)
- 베일 시 상업 회사 (City of Baile Merchant Company)
- 라이언 & 데빗 해운 (Lion & Devitt Line)
- 대륙 증기선 회사 (Continental Steamship Company)
- 북성단해 대양 항해 해운 (Septentian Oceanic Service Line)
- 왕립 글레니시 해운 (Royal Glenish Line)
- 제너럴 증기선 회사 (General Steamship Company)
- 노스 에리니시 증기선 회사 (North Erynish Steamship Company)
- 북해 증기 정기선 회사 (North Sea Steam Packet Company)
- 라텐스 대양 항해 회사 (Latense Oceanic Navigation Company)
- 플래처 파렐 (Flecher Farrel)
- 연방 증기선 회사 (Commonwealth Steamship Company)
- 존 길버츠 & 선즈 (John Gilberts & Sons)
- 블랙 퍼널 해운 (Black Funnel Line)
- 식민지 증기선 항해 해운 (Colonial Steamships Service Line)
- 바네버웨센 앤드 신디아 해운 (Vaneverwessen and Sindia Line)
- 란치아 공작령 해운 (Duchy of Lanchia Line)
- 신대륙 정기선 회사 (New World Packet Company)
- 앤 여왕 증기 항해 회사 (Queen Anne Steam Navigation Company)
- 알레니시 로렌시안 해운 (Alenish Lauentian Line)
- 페터슨 & 벨 해운 (Peterson & Bell Line)
- 마그니안 앤드 헤르니소스 증기 항해 회사 (Magnian and Hernisos Steam Navigation Company)
- 대서부 증기선 회사 (Great Western Steamship Company)
- 체임벌린 해운 (Chamberlain Line)
- 알레니시 제너럴 증기선 회사 (Alenish General Steamship Company)
- 뉴알레니아 회사 (New Alenia Company)
- 킹 에드워드 증기선 회사 (King Edward Steamship Company)
- 마리타임 무역 회사 (Maritime Trading Company)
- 브라이드 정기선 회사 (Bride Packet Company)
- 바렛 & 캠벨 해운 (Barret & Campbell Line)
- 라이톨러 증기 항해 회사 (Lightoller Steam Navigation Company)
- 브리지피어 증기선 항해 회사 (Bridgepier Steamship Navigation Company, BSNC)
- 대륙 증기 정기선 회사 (Continental Steam Packet Company)
- 헤르니소시안 증기선 회사 (Hernisosian Steamship Company)
- 린스턴 시티 해운 (Linstone City Line)
- 애버라우렐 증기선 회사 (Aberlaurel Steamship Company)
- 밸푸어 해운 (Balfour Line)
- 벨프라이어 증기 항해 회사 (Belfryre Steam Navigation Company)
- 남해 해운 (South Sea Line)
- 로디언셔 해운 (Lothianshire Line)
- 제왕해 증기선 회사 (Regal Steamship Company)
- 낸팬 해운 (Nanpan Line)
- 알렌 해운 (Allen Line)
- 스웨인버그 증기선 회사 (Swaynberg Steamship Company)
- 제국 정기선 회사 (Worldrealm Packet Line)
- 제임스 메인즈 & 코 (James Maines & Co)
- 펜데아시안 증기선 회사 (Pendeasian Steamship Company)
- 레드 드래곤 해운 (Red Dragon Line)
- 유나이티드 월드렐름 증기 항해 회사 (United Worldrealm Steam Navigation Company)
- 유니콘 해운 (Unicorn Line)
- 제임스 콜린스 & 컴퍼니 (James Collins & Company)
- 사우스 알레니안 로이드 (South Alenian Lloyd)
- 골드 앵커 해운 (Gold Anchor Line)
- 던버니카 무역 회사 (Dunbernica Trading Company)
- 듀란드 증기선 회사 (Durand Steamship Company)
- 킹스턴 증기 항해 회사 (Kingstone Steam Navigation Company)
- 자치령 증기 항해 회사 (Dominion Steam Navigation Company)
- 왕립 제국 해운 (Royal Worldrealm Lines)
- 동부 금정양 해운 (Eastern Glidian LIne)
- 뉴포트 무역 회사 (Nieuport Trading Company)
- 피어스 시티 해운 (Pearce City Line)
- 퀸즈 정기선 회사 (Queens Packet Company)
- 잭포트 시티 해운 & 코 (Jackport City Line & Co.)
- 알레니시 전신 & 케이블 회사 (Alenish Telegraph & Cable Company)
- 왕립 전신 공사 (Royal Telegraph Company)
계급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은 해군은 아니지만, 해운 업계의 특성 상 현장 노동자들의 계급이 생기기 마련이다. 1500년 이전까지는 계급을 나누는 것이 개개의 선사의 재량에 맡겨져 있었으나, 이후 업계 인력 수급의 용이함 등을 위하여 전반적인 표준화를 거쳤다. 이러한 해운 업계의 계급은 마그니우스 본국에 소속된 선사들 뿐 만 아니라 제국의 상선기를 게양하고 영업을 하는 선사라면 따라가는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상선 해군의 직군은 크게 셋으로 나뉜다.
- 갑판부 (Deck Department): 상선의 운항을 책임지는 부서로, 총책임자는 선장(Captain, Skipper)이다. 상선 사관들 중 항해사(Deck Officer)가 갑판부에 속하며, 그 밖의 직책으로는 갑판장 및 조수, 조타수, 갑판원, 보안관, 창문 청소부, 램프 관리인, 견시, 목공장과 목공수, 보급계원 등이 있다. 여객선의 경우 승객들의 눈에 가장 잘 띄는 직군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유니폼을 지급 받는 직군이다.
- 기관부 (Engineering Department): 상선의 동력과 기계를 담당하는 부서. 총책임자는 기관장(Chief Engineer)이다. 상선 사관들 중 기관사(Engineer)가 기관부에 속하며, 그 밖의 직책으로는 화부장과 화부, 전기공, 보일러공, 배관공, 조기수, 석탄 운반수 등이 있다. 특히 이중 화부는 대체로, 기관부 인원 중 숫자가 가장 많기 마련이다. 승객의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기관사를 제외하면 유니폼을 지급 받지 않기 마련이고, 부상이 많이 나오며 근무 환경이 월등히 열악하기 때문에 기관부 직군은 대체로 임금을 많이 받기 마련.
- 사주부 (Victualling Department): 상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군. 여객선이라면 승객들을 상대하고, 화물선이라면 다른 선원들을 상대한다. 총책임자는 수석 사무장(Chief Purser). 배에 따라 일반 사무장(Purser)이 총책임자가 되기도 한다. 그 밖의 직책으로는 선의, 사무원, 간호사, 조리실 및 식당 직원, 구두닦이, 보급계원, 이발사, 통신사, 객실 승무원 등이 있다. 여객선의 경우라면 승객들을 직접 대면해야 하므로, 전원 담당 업무에 맞춘 단정한 드레스코트나 연미복, 일부는 기관 및 갑판부 상선사관들과 동일한 형태의 정복 등의 근무복을 착용하는 것이 보통.
이하는 상선 해군의 계급을 직군별로 대조한 것이며, 모든 직군이 들어가 있지는 않다.
![]() ![]() |
갑판부 Deck Department |
기관부 Engineering Department |
사주부 Victualling Department | |||
선장 Skipper |
N/A | N/A | |||
선임 항해사 Chief Officer |
기관장 Chief Engineer |
수석 사무장 Chief Purser |
수석 선의 Ship's Sergeon | ||
1등 항해사 First Officer |
1등 기관사 First Engineer |
선임 전기공 Chief Electrician |
사무장 Purser |
선의 Ship's Doctor | |
2등 항해사 Second Officer |
2등 기관사 Second Engineer |
전기공 Electrician |
부사무장 Assistant Purser |
간호사 Ship's Nurse | |
3등 항해사 Third Officer |
3등 항해사 Third Engineer |
N/A | |||
견습 항해사 Officer Cadet |
견습 기관사 Engineer Cadet |
견습 전기공 Electrician Cadet |
N/A | ||
N/A | 선임 화부장 Chief Fireman |
N/A | |||
4등 항해사 Fourth Officer |
N/A | N/A | |||
5등 항해사 Fifth Officer |
N/A | 선임 승무원 Chief Steward |
조리장 Chief Cook | ||
6등 항해사 Sixth Officer |
N/A | 1등 승무원 First Steward |
1등 조리사 First Cook | ||
조타장 Chief Quartermaster |
1등 화부장 First Leading Fireman |
2등 승무원 Second Steward |
조리사 Cook | ||
조타수 Quartermaster |
선원장 Leading Seaman |
화부장 Leading Fireman |
승무원 Steward | ||
선원 Seaman |
화부 Fireman |
선급 Assistant Steward |
선박 종류 및 규모
마그니우스 제국의 상선단은 제국 내에 고르게 분포하지 않는다. 본국에 75%의 상선 톤 수가 집중되어있고, 남은 톤 수도 주로 뉴알레니아 자치령에 집중되어있다. 식민지에 등록된 상선 용량은 없다.
마그니우스 상무원은 상선의 법적 지위를 크게 두가지로 나누고 있다. 분류는 다음과 같다.
- 민간 상선(Red Ensign Vessel): 상무원이나 제국 선박등기소에 등록된 상선. 마그니우스 정부와의 특별한 계약 사항이 없는 상선들로, 전시에 법령에 따라 동원될 수 있지만 대체로 해당 선박을 보유한 선사의 지휘 아래에 머무른다. 이런 상선들은 상무원의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 정부 상선(Blue Ensign Vessel): 상무원이나 제국 선박등기소에 등록되었고, 추가적으로 정부에게 건조 및 운항 보조금을 지원받거나, 해군 예비역 장교로 등록된 상선 사관이 10명 이상 탑승해 있는 선박. 전시에 법령에 따라 동원될 수 있고, 민간 상선과 다르게 정부와 해군의 필요에 따라 직접 징발되어 정부 및 해군의 지휘를 받을 수 있다. 상무원의 규정에 더해 해군성에서 속도나 탑재가능한 포의 크기, 전반적인 설계 등 추가적인 요구사항을 덧붙이기 마련이다.
구성국 | 선사 수 | 총 톤수 (GRT) | 비율 |
---|---|---|---|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 68개 | 307,523,420t | 75% |
뉴알레니아 자치령 | 15개 | 54,640,470t | 13.33% |
펜데아시아 연방 | 7개 | 25,026,340t | 6.10% |
케이프 연방 | 3개 | 11,345,790t | 2.77% |
신디아 제국 | 3개 | 11,471,980t | 2.80% |
총 합 | 96개 | 410,008,000t | 100% |
상선 종류 별 비율
마그니우스 상무원은 상선을 크게 네 종류로 구분한다. 이때 구분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여객선(Passenger Ship): 운임을 받고 승객을 실어나르는 선박. 운임 목적의 객실이 설치되어 승객을 운송하면 모두 여객선으로 분류한다. 공식적인 분류는 아니지만, 여객선 중에서도 화물 운송에 적합하게 설계된 여객선들은 콤비네이션 캐리어(Combination Carrier)라고 불린다.
- 일반화물선(Freighter): 가장 비중이 높은 종류의 선박. 여객선과, 후술할 산적화물선 및 탱커 이외의 상선은 모두 일반화물선으로 분류되며, 특수목적 상선(케이블 설치 선박 등)도 이 분류에 들어간다. 마그니우스의 선사들이 상선을 보호하기 위해서 선단에 동행시키는, 민간에 불하된 구형 순양함 등도, 민간에서 사용시에는 일정량의 화물을 운송하므로 화물선으로 분류된다.
- 산적화물선(Bulk Carrier): 벌크선이라고도 부르는 선박으로 곡물이나 광석과 같이 포장되지 않은 산적화물의 운송에 사용되는 선박이다. 수송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특정 화물만 운송하는 전용화물선과 다양한 산적화물을 운송하는 겸용선으로 구분된다. 마그니우스 상선 해군의 경우에는 석탄선(Colier)의 비중이 상당히 높다.
- 탱커(Tanker): 선체 내에 탱크를 설치, 액체 화물의 운송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상선. 절대 다수가 석유를 운반하는 유조선이다.
선박 종류 | 총 톤수 (GRT) | 비율 |
---|---|---|
여객선 | 5,125만 8,000톤 | 12.5% |
일반화물선 | 2억 6,650만 톤 | 65% |
산적화물선 | 4,756만 톤 | 6.15% |
탱커 | 4,469만 톤 | 10.9% |
총 합 | 4억 1,000만 8,000톤 | 100% |
연료 및 기관 비율
마그니우스 상무원은 상선의 추진방식을 크게 세종류로 분류한다. 이때 구분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범선(Sailing Ship): 돛으로 추진되는 선박. 한때 마그니우스 상선대의 등뼈와도 같은 선박들이었으나, 현재는 그 수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1660년대에 상업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범선 가운데는 순수 범선은 존재하지 않으며, 비상용 기관을 장비한 '기범선(Sail Steamer/Motorsailer)만이 상업적으로 화물을 실어나를 수 있다. 많은 경우 범선 상선들은 배 이름 앞에 S.V.라는 접두사를 붙여 범선임을 나타낸다.
- 증기선(Steamship): 증기기관으로 추진되는 선박. 보일러에서 연료를 연소하여, 물을 끓여 발생되는 증기로 기관을 돌린다. 연료의 종류에 따라 석탄증기선과 석유증기선으로 분류하며, 기관의 종류에 따라 피스톤 기관을 사용하는 레시프로선, 터빈을 사용하는 터빈선, 그리고 둘의 혼합 형태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선으로 나눈다.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관 형태이며, 상술한 기관 종류 외에도 터보전기선 등 세세한 차이가 많이 존재한다. 많은 경우 증기 상선들은 배 이름 앞에 S.S.라는 접두사를 붙여 증기선임을 나타낸다.
- 내연기관선(Motorship): 내연기관으로 추진되는 선박. 역사가 가장 짧다. 절대다수가 디젤기관으로 추진되는 선박이며, 마그니우스의 조선사들은 내연기관선 건조 노하우가 비교적 부족하기 때문에, 베른하이어에서 수입된 선박이 많은 편이다. 많은 경우 내연 상선들은 배 이름 앞에 M.S.라는 접두사를 붙여 내연기관선임을 나타낸다.
연료와 기관 종류 | 선박 종류 | 총 톤수 (GRT) | 전체 비율 | 선종 중 비율 | |
---|---|---|---|---|---|
범선 | 일반화물선 | 467만 3,000톤 | 1.14% | 1.74% | |
산적화물선 | 467만 5,000톤 | 1.14% | 9.82% | ||
범선 총 합 | 934만 8,000톤 | 2.28% | |||
석탄증기선 | 여객선 | 3,075만 8,000톤 | 7.5% | 60% | |
일반화물선 | 1억 9,831만 7,000톤 | 48.37% | 74.42% | ||
산적화물선 | 3,808만 9,000톤 | 9.29% | 80.09% | ||
탱커 | 225만 5,000톤 | 0.55% | 5% | ||
석탄 사용 선박 총 합 | 2억 6,941만 3,000톤 | 65.71% | |||
석유 | 증기선 | 여객선 | 1,537만 5,000톤 | 3.75% | 30% |
일반화물선 | 5,174만 2,000톤 | 12.62% | 19.42% | ||
산적화물선 | 369만 톤 | 0.9% | 7.76% | ||
탱커 | 2,234만 5,000톤 | 5.45% | 50% | ||
석유 증기선 총 합 | 9,315만 2,000톤 | 22.72% | |||
증기선 총 합 | 3억 6,257만 1,000톤 | 88.43% | |||
내연기관선 | 여객선 | 512만 5,000톤 | 1.25% | 10% | |
일반 화물선 | 1,176만 7,000톤 | 2.87% | 4.42% | ||
벌크 화물선 | 110만 7,000톤 | 0.27% | 2.33% | ||
탱커 | 2,009만 톤 | 4.9% | 45% | ||
내연기관선 총 합 | 3,808만 9,000톤 | 9.29% | |||
석유 사용 선박 총 합 | 1억 3,3357만 8,000톤 | 32.62% | |||
총 합 | 4억 1,000만 8,000톤 | 100% |
기업 별 보유 용량 추이
마그니우스의 4.1억 톤에 달하는 상선 용량은 96개 선사에 나뉘어있다. 1650년대 이전에는 수백개에 달할 정도로 선사가 더 많았으나, 연방 전쟁과 키르수스-그란치프 전쟁, 제2차 에르미니아 내전과 알레닉 호 참사 등 정세가 급변하고, 해양 환경에 변화가 찾아오며 선사들의 대형화가 반강제로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50년대 동안, 정부의 중개를 거치며 마그니우스 해운 업계는 정리되었다. 이는 자치령의 선사들도 비슷했다.
기업 | 총 톤수 (GRT) | 전체 비율 | 소속국 |
---|---|---|---|
United Orient Company(UOC) | 14,359,500t | 3.50% | 마그니우스 |
Sindia & Oriental Line(S&O) | 10,451,700t | 2.55% | 마그니우스 |
Royal Mail Line | 10,304,500t | 2.51% | 마그니우스 |
New Alenia Constellic Steamship Company(NAC) | 10,284,500t | 2.51% | 뉴알레니아 |
National Line | 9,950,500t | 2.43% | 마그니우스 |
Dominion Line | 9,613,500t | 2.34% | 마그니우스 |
Alenish Petrolium(AP) | 9,453,300t | 2.31% | 마그니우스 |
Oceanic Steam Navigation Company(OSNC) | 5,109,000t | 1.25% | 마그니우스 |
Oriental Petrolium(OP) | 5,051,500t | 1.23% | 신디아 |
Navy Star Line | 5,049,800t | 1.23% | 마그니우스 |
Gildian Line | 4,917,400t | 1.20% | 뉴알레니아 |
Royal Steamship Company(RSC) | 4,863,300t | 1.19% | 마그니우스 |
Worldrealm Steamship Company | 4,852,100t | 1.18% | 마그니우스 |
Glen Line | 4,822,740t | 1.18% | 펜데아시아 |
Horace Clarkson | 4,817,500t | 1.17% | 마그니우스 |
James Newman & Balfour | 4,753,300t | 1.16% | 마그니우스 |
Lowestoffe City Line | 4,743,200t | 1.16% | 마그니우스 |
Constellic Steam Navigation Company | 4,718,400t | 1.15% | 마그니우스 |
Latense and Heaton Trading Company | 4,667,050t | 1.14% | 마그니우스 |
Lothian Steam Packet Company | 4,662,100t | 1.14% | 마그니우스 |
Shaw, Saville & Alenish Line | 4,623,800t | 1.13% | 뉴알레니아 |
Lothian & Overseas Steamers | 4,571,320t | 1.11% | 마그니우스 |
Waywardic Steam Navigation Company(WSNC) | 4,569,100t | 1.11% | 케이프 |
Magnian and Vaneverwessen Steam Navigation Company(MVSNC) | 4,561,200t | 1.11% | 마그니우스 |
Latense Liners | 4,535,100t | 1.11% | 마그니우스 |
Red Anchor Line | 4,498,600t | 1.10% | 마그니우스 |
Guion & Harrison Line | 4,460,300t | 1.09% | 마그니우스 |
West Hernisos Company | 4,453,700t | 1.09% | 마그니우스 |
Swan Union Line | 4,404,000t | 1.07% | 펜데아시아 |
Cape Castle Line | 4,361,900t | 1.06% | 마그니우스 |
Lorentian Petrolium(LP) | 4,304,900t | 1.05% | 뉴알레니아 |
Carter William & Sons | 4,299,660t | 1.05% | 마그니우스 |
City of Baile Merchant Company | 4,292,500t | 1.05% | 마그니우스 |
Lion & Devitt Line | 4,270,900t | 1.04% | 마그니우스 |
Continental Steam Ship Company | 4,269,100t | 1.04% | 뉴알레니아 |
Septentian Oceanic Service Line | 4,241,620t | 1.03% | 마그니우스 |
Royal Glenish Line | 4,227,800t | 1.03% | 마그니우스 |
General Steamship Company | 4,205,000t | 1.03% | 마그니우스 |
North Erynish Steamship Company | 4,189,070t | 1.02% | 마그니우스 |
North Sea Steam Packet Company | 4,158,910t | 1.01% | 마그니우스 |
Latense Oceanic Navigation Company | 4,152,690t | 1.01% | 마그니우스 |
Flecher Farrel | 4,150,700t | 1.01% | 마그니우스 |
Commonwealth Steamship Company | 4,142,500t | 1.01% | 마그니우스 |
John Gilberts & Sons | 4,139,820t | 1.01% | 마그니우스 |
Black Funnel Line | 4,132,770t | 1.01% | 마그니우스 |
Colonial Steamships Service Line | 4,125,000t | 1.01% | 마그니우스 |
Vaneverwessen and Sindia Line | 4,118,200t | 1.00% | 마그니우스 |
Duchy of Lanchia Line | 4,110,000t | 1.00% | 마그니우스 |
New World Packet Company | 4,093,100t | 1.00% | 마그니우스 |
Queen Anne Steam Navigation Company | 4,072,600t | 0.99% | 마그니우스 |
Alenish Lauentian Line | 4,042,730t | 0.99% | 마그니우스 |
Peterson & Bell Line | 4,013,400t | 0.98% | 마그니우스 |
Magnian and Hernisos Steam Navigation Company | 4,009,800t | 0.98% | 마그니우스 |
Great Western Steamship Company | 3,990,200t | 0.97% | 마그니우스 |
Chamberlain Line | 3,954,400t | 0.96% | 마그니우스 |
Alenish General Steamship Company | 3,928,600t | 0.96% | 마그니우스 |
New Alenia Company | 3,890,000t | 0.95% | 마그니우스 |
King Edward Steamship Company | 3,831,900t | 0.93% | 마그니우스 |
Maritime Trading Company | 3,810,930t | 0.93% | 마그니우스 |
Bride Packet Company | 3,707,500t | 0.90% | 마그니우스 |
Barret & Campbell Line | 3,686,500t | 0.90% | 펜데아시아 |
Lightoller Steam Navigation Company | 3,638,100t | 0.89% | 마그니우스 |
Bridgepier Steamship Navigation Company(BSNC) | 3,558,500t | 0.87% | 뉴알레니아 |
Continental Steam Packet Company | 3,544,300t | 0.86% | 마그니우스 |
Hernisosian Steamship Company | 3,490,600t | 0.85% | 케이프 |
Linstone City Line | 3,464,900t | 0.85% | 마그니우스 |
Aberlaurel Steamship Company | 3,428,680t | 0.84% | 마그니우스 |
Balfour Line | 3,413,100t | 0.83% | 펜데아시아 |
Belfryre Steam Navigation Company | 3,332,950t | 0.81% | 마그니우스 |
South Sea Line | 3,286,090t | 0.80% | 케이프 |
Lothianshire Line | 3,256,800t | 0.79% | 마그니우스 |
Regal Steamship Company | 3,217,200t | 0.78% | 신디아 |
Nanpan Line | 3,203,280t | 0.78% | 신디아 |
Allen Line | 3,202,270t | 0.78% | 뉴알레니아 |
Swaynberg Steamship Company | 3,104,620t | 0.76% | 펜데아시아 |
Worldrealm Packet Line | 3,084,400t | 0.75% | 마그니우스 |
James Maines & Co. | 3,080,400t | 0.75% | 마그니우스 |
Pendeasian Steamship Company | 3,059,300t | 0.75% | 마그니우스 |
Red Dragon Line | 3,052,500t | 0.74% | 마그니우스 |
United Worldrealm Steam Navigation Company | 3,044,730t | 0.74% | 마그니우스 |
Unicorn Line | 3,037,680t | 0.74% | 마그니우스 |
James Collins & Company | 3,035,000t | 0.74% | 펜데아시아 |
South Alenian Lloyd | 3,026,800t | 0.74% | 마그니우스 |
Gold Anchor Line | 3,024,810t | 0.74% | 마그니우스 |
Dunbernica Trading Company | 3,003,900t | 0.73% | 마그니우스 |
Durand Steamship Company | 2,842,730t | 0.69% | 뉴알레니아 |
Kingstone Steam Navigation Company | 2,788,600t | 0.68% | 뉴알레니아 |
Dominion Steam Navigation Company | 2,606,750t | 0.64% | 뉴알레니아 |
Royal Worldrealm Lines | 2,560,380t | 0.62% | 펜데아시아 |
Eastern Glidian LIne | 2,463,830t | 0.60% | 뉴알레니아 |
Nieuport Trading Company | 2,351,170t | 0.57% | 뉴알레니아 |
Pearce City Line | 2,308,250t | 0.56% | 뉴알레니아 |
Queens Packet Company | 2,076,400t | 0.51% | 뉴알레니아 |
Jackport City Line & Co. | 2,022,270t | 0.49% | 뉴알레니아 |
Alenish Telegraph & Cable Company | 1,078,950t | 0.26% | 마그니우스 |
Royal Telegraph Company | 271,050t | 0.07% | 마그니우스 |
총 합 | 410,008,000t | 100% |
같이 보기
![]() |
---|
프론트 포커스 |
Copyright 2022.이화군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