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사련에서 넘어옴)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국가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국가
키르수스 제국 게파르토 제국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베른하이어 베른하이어 공국  ·  에르미니아 에르미니아 합중국  ·  마그니우스 마그니우스 제국  ·  프리슬란드 프리슬란드 자유국  ·  그란치프 그란치프 국민국  ·  코르보날 코르보날 연합국  ·  크래스터프 크레스터프 왕국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연표


-546
1423
고전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1423
1664
근대
현대


보편전기
연표
-546
1483
1664
고전 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근대
현대














보편전기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차량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차량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Красная Федерация
1630 - 현재
수도 고베오스카야 스보드니
정부주재지:우로보로스 평의회 민체른
최대 도시
면적 약 14,797,375 km²
인문 환경
인구 전체 인구 800,000,000여명
공용어 제 1 연맹어, 제2 연맹어
공용 문자 제1 공용어: 제1 연맹어
문해율 43%
종교 국가무신론(25%), 정교도(31%), 촐칸교(11%), 타다이교(12%),
야쿠타이교(5%), 연맹불교(5%), 킬릐히교(4%), 황제교(4%),
차타만교(2%), 민속종교(1%)
군대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군
세부 군대 육군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지상군(地 Сухопутные войска)
해군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해양군(海 Военно-морской Флот)
공군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위궁군(穹 воздушные силы)
기타군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국경수위군(境 Пограничники)
행정구역
행정
구역
연맹국(국) 12개
페른(주) 361개
벨고르(군) 민체른 소속:4개
총 2211개
마할린(현) 민체른 소속:56개
총 5935개
플츠크(수도) 13개
스보드니(자유시) 고베오스카야 스보드니
민체른(특별시) 우로보로스 평의회 민체른
바르사티예트 학회 민체른
정치
정치 체제 공화제, 민주집중제, 공산주의, 연맹국가제, 중앙권위적 다극체제, 일당제
입법부 인민법무회 소속 산하 입법기구
상원: 베르코브니 미르치스키 콘티니아(Берковный Мирчинский Континия)
하원:니스키 이스포트라키스-코미에티 킐스노마이르시키스크 파자하 디프타다(низкий Испортрачис-Комиети Хилсномирщикиск Паджаха депутатов)
국가
원수
사흐트라한 연방 총서기 알렉산드르 듀멘
얄하르츠크의 제 1 시민 전 초원의 칸 알렉산드로스 프리드리케
페데르티브나의 통령 데네킨
레반스토비 연방 총서기 블라디미르 코바
발키로르 인민의 총의에 의해 선출된 군주 모데르슈 파샤
정부
요인
샤흐트라한 연방 행정 장관 알렌 h. 일류신
샤흐트라한 연방군 제 1 대원수 프리드리히 엥겔슈타프 폰 샤흐트라한-에차프
얄하르츠크 제국 의회 총리 블라디미르 이바노비치 이반
얄하르츠크 제국 총참모부 제 1 참모장 프리드리히 알게네브 제노비아
페데르티브나의 국가 행정원장 네슈긴
페데르티브나의 총참모장 겸 해군 제 1 제독 세바스토나
레반스토비 연방 총서기 블라디미르 코바
프리드리케 조피 알게브네-레반스토비 레반스토비 총참모장 겸 공화국 연방 연합 해군 제 1 대제독
벤데르스키의 제 1 시민 엔데르슈 F. 빌헬름
벤데르스키의 총참모장 겸 벤데르시키 육군 제 1 대원수 하인리히 폰 벨프
발키로르 인민 평의회의 의장 모데르슈 파샤
발키로르 육군 제 1 대원수 몽켄
주코르카 인민 공화국 대통령 프리드리히 로물루스 폰 코카
주코르카 인민군 제 1 대원수 모멜란트 주코프네
경제
경제 체제 사흐트라한 사회주의 평의회국:정부통제 국가주도경제
얄하르츠크 제국:정부 통제적 민간 주도 경제
페데르티브나 자유지대:민간주도경제
레반스토비 사회주의 평의회국:정부 통제 국가주도경제
벤데르스키 공화국:민간주도경제
발키로르 공화국:정부통제 국가주도경제
주코르카 인민공화국:국가주도 계획경제
코드와 단위
단위 법정연호 혁명력[1]
도량형 SI
날짜형식 yyyy.mm.dd
운전석
(통행방향)
우측통행

개요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암만어:социализм-Союз Суверенных Государств)은 프론트 포커스에 등장하는 핵심국가로, 발음상 소샬리에츠-크노이비노트 나츠라고 표기한다. 유사한 언어로 공화국 연방이란 뜻에서 공련이라고도 지칭하고, 통상적으로는 사련이라고 표현한다.

행정

연혁

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역사

구성국가

사련의 집행부와 위원회

사련의 주요 정부 부처는 " 공업-산업-노동,재무-통계,행정-법무부 " 이다. 또한 이들 " 부 " 에 소속하는 위원회는 중앙 당 위원회의 위원들이 만들고 위원들이 참여하기에 정확히 말하자면 " 부 "와 " 위원회 "는 다른 조직이다.

  1. 자신들이 혁명에 성공한 인민혁명을 0년으로 삼아 정한 연호로, 혁명력 원년 0년 = 건국력 1620년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