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발트
총리 목록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총리 | ||||||||||||||||||||||||||||||||||||||||||||||||||||||||||||||||||||||||||||||||||||||||||||||||||||||||||||||||
[ 펼치기 · 접기 ]
|
국왕 이름 | 생몰년도 | 제위 기간 |
---|---|---|
지그문트 2세 | 1520 ~ 1572 | 1548 ~ 1572 |
피요르트 1세 | 1548 ~ 1632 | 1572 ~ 1632 |
브와디스와프 4세 | 1599 ~ 1650 | 1632 ~ 1650 |
얀 2세 야기엘론치크 | 1623 ~ 1668 | 1650 ~ 1668 |
얀 3세 올브라흐트 | 1647 ~ 1696 | 1668 ~ 1696 |
루드비히 1세 | 1671 ~ 1733 | 1696 ~ 1733 |
아우구스트 2세 | 1695 ~ 1756 | 1733 ~ 1756 |
아우구스트 3세 | 1734 ~ 1783 | 1756 ~ 1783 |
루드비히 2세 | 1752 ~ 1815 | 1783 ~ 1815 |
아우구스트 4세 | 1776 ~ 1836 | 1815 ~ 1836 |
루드비히 3세 | 1799 ~ 1854 | 1836 ~ 1854 |
지그문트 3세 | 1823 ~ 1871 | 1854 ~ 1871 |
브와디스와프 5세 | 1846 ~ 1907 | 1871 ~ 1907 |
카지미에시 5세 | 1872 ~ 1946 | 1907 ~ 1946 |
루드비히 4세 | 1895 ~ 1993 | 1946 ~ 1993 |
피요르트 2세 | 1956 ~ 현재 | 1993 ~ 현재 |
???
![]() 디제스포이아 공화국 제11차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정 고등 역사 교과서 | |||||||||||||||||||||||||||||||||||||||||||||||||||||||||||||||||||||||||||||||||||||||||||||||||||||||||||||||||||||||||||||||||||||||
[ 펼치기 · 접기 ]
|
Royaume de Désespoia | ||||
![]() |
![]() | |||
---|---|---|---|---|
국기 | 국장 | |||
Loyauté éternelle à Sa Majesté le Roi 국왕 폐하에 대한 영원한 충성심 | ||||
B.R. 566년(B.R. 837년) ~ A.R. 1년 9월 21일 | ||||
상징 | ||||
국가 | 왕국 찬가 | |||
금잔화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아로전스 (Arrogance) B.R. 566년 ~ B.R. 144년 리그레티아 (Regretia) B.R. 144년 ~ B.R. 1년 불명 B.R. 1년 ~ A.R. 1년 | ||||
698,700km² | ||||
라테시아 대륙 | ||||
인문환경 | ||||
약 4,000만 명 | ||||
서프루시아족, 라이치인, 벨루아인 등 | ||||
서프루시아어 | ||||
코렐교 (Colère) | ||||
코렐교 97%, 무종교·기타 3% | ||||
왕립 디제스포이아군 | ||||
서력 기원 | ||||
정치 | ||||
전제군주제 | ||||
(국가 원수) |
오빌리상스 6세 (Obéisance VI) | |||
삼부회 | ||||
충성파 | ||||
경제 | ||||
디제스포이아 큐피디트 Désespoia Cupidité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디제스포이아 왕정국 (Royaume de Désespoia)는 B.R. 566년[1](B.R. 837년)[2]부터 A.R. 1년 까지 현재의 디제스포이아 공화국 위치에 존재했던 전제군주국이다.
역사
제비꽃 반정 이전
현재의 디제스포이아 일대에 최초로 사람이 살기 시작했던것은 대략 B.R. 2700년대로 추정된다. 이후 이지역의 토착민족인 프로플족(Propre)이 라테시아 대륙 중앙에 살던 프루시아족과 피가 섞이면서 서프루시아인으로 분화되며 본격적인 디제스포이아의 역사가 시작되게 된다.
서프루시아족은 그 뿌리가 본래 프루시아족에 있는 만큼 기존의 프루이아족과 매우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이후 대륙 중서부에 프루시아인 민족국가인 프루센 왕국(Royaume de Prussen)이 수립되자 프루센 왕국의 봉신국이자 위성국의 개념으로 B.R. 837년 서프루시아 공국(Duché de Ouestprussia)[3]이 세워졌다. 서프루시아 공국은 서부 해안가를 기점으로 점차 그 세력을 키워나갔고 북부의 산악 프로플족을 복속시키며 영토를 확장시켰다. 그러던 와중 프루센 왕국이 동부의 라이치족(현재 메르센 연방의 주류민족)과의 전쟁으로 인해 점차 쇠약해지자 서프루시아 공국은 프루센 왕국을 배신하고 왕국의 서부를 침공, 생활권 확보 전쟁을 일으킨다.
대략 20년간 진행된 전쟁으로[4] 공국의 영토는 많이 확대되었으며 이후 프루센 왕국이 멸망하자 서프루시아 공국의 루테르 공작은 스스로를 국왕으로 선포하고 (루멜른 왕조) 서프루시아를 왕국으로 격상시키니 B.R. 698년의 일이였다. 루테르 공작의 왕국 선포 이후 서프루시아 왕국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봉건제가 완전히 뿌리내렸고 현대 디제스포이아 행정구역의 기초가 되는 5주(州)를 설치하여 미래 중앙집권의 디초를 닦았다. 그러나 오랜기간 이어진 평화는 왕국의 국방 침체시켰고 결국 서프루시아 왕국은 남부 슈제친족의 대대적인 침공을 받아 멸망하고 이민족 왕조인 피루스 왕조 (슈제친 왕조)가 서프루시아에 들어서게 된다. (B.R. 633년)
피루스 왕조와 남부 슈제친족(이하 슈제친족)은 매우 잔학하고 폭압적인 통치를 자행했다. 그들은 국가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군대로 만들었으며 통치에 반대하는 서프루시아인들의 반발을 기마병과 창칼을 이용하여 무참히 짖밟았다. 대략 B.R. 300년대 쯤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피루스 왕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디제스포이아의 국민소설 '모험가의 노래 (Chanson de l'aventurier)'에서는 이 시기의 참상이 날것으로 들어나는데 이는 상당히 수위가 높기 때문에 본 위키에 자세히 서술한다면 제재를 받을 수 있어 자세히 서술할 수 없다. 간략히 서술하자면 물고문을 비롯한 여러 끔찍한 고문들이 왕조에 대항하는 저항군에게 자행되었으며 태형등의 모욕적인 처분과 대규모의 화형등이 집행된 것으로 묘사된다[5]. 물론 이 책은 디제스포이아 왕조시기에 집필되었고 피루스 왕조 멸망 이후 200여년이 자나서 쓰여진 글이기에 형평성 및 진실성에 대한 의문이 존재하나 완전히 근거가 없지는 않다는 점에서[6] 실제로 이런 잔혹한 고문이 자행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슈제친족의 가혹한 통치는 일시적으로 그 효과를 보였다. 도심지의 반대자들은 숲과 산으로 그 자취를 감추었고 그저 술집에서의 푸념만이 거리를 떠돌아 다녔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통치는 결코 오래가지 못했다. 애초에 유목 민족 계열이였던 그들은 이런 거대한 국가를 통치하는데에 있어서 그 취약함을 드러냈고 산지에서, 동굴에서 저항세력은 점차 그 힘을 키워가고 있었다. B.R. 600년대 후반부터 왕국 북부를 중심으로 점차 저항의 불꽃이 그동안 쌓여있던 분노를 뚫고 서서히 퍼지기 시작했다. 저항의 불꽃은 머지않아 거대한 들불이 되어 온 국토를 뒤덮었고 분노한 민중의 들불은 침략자이자 수탈자인 슈제친족을 향했다. 지방 군 조직이 붕괴되고 수도인 라피티디아(L'appétidia)에 까지 그 불길이 번져오기 시작하자 당시 라피티디아 서부 리퓨시티니아(Refusitinia) 일대의 호족이였던 큐피디트 디제스포이아(Cupidité Désespoia)[7]는 피루스 왕조에 대항하는 반정을 기획하기 시작하였고 마침내 이를 시행하기에 이른다.
제비꽃 반정과 대륙 전쟁
B.R. 566년 큐피디트 디제스포이아는 자기 휘하의 군대를 이끌고 시엘피트 강 (Rivière Cielpuits)을 건너 라피티디아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예상치 못한 서부에서의 공격에 성벽은 금세 허물어졌고[8] 셰질린 3세가 화형에 처해지고 큐피디트 디제스포이아가 스스로를 큐피디트 1세 (Cupidité I)로 선포하면서 피루스 왕조가 끝이나고 디제스포이아 왕조가 도래하게 된다(제비꽃 반정).
코스모스 정변과 동부 농민 대봉기
금잔화 정변과 세베로슐리펜 병합
알바진 강 분쟁과 쇠퇴
혁명과 내전 그리고 멸망
????
![]() | |||||||||||||
| |||||||||||||
지도를 불러오는 중... | |||||||||||||
시청 소재지 | 중구 세종대로 110 (태평로1가) | ||||||||||||
하위 행정구역 | 32구 | ||||||||||||
면적 | 983.48㎢ | ||||||||||||
인구 | 10,451,700명 | ||||||||||||
인구밀도 | 10,627.26명/㎢ | ||||||||||||
시장 | 조길형 (3선)[9] | ||||||||||||
교육감 | 진보 | 김병우 (3선) | |||||||||||
국회의원 |
[ 펼치기 · 접기 ]
| ||||||||||||
시의회 |
[ 펼치기 · 접기 ]
| ||||||||||||
구청장 |
[ 펼치기 · 접기 ]
| ||||||||||||
상징 | 시화 | 국화 | |||||||||||
시목 | 사과나무 | ||||||||||||
시조 | 원앙 | ||||||||||||
지역번호 | 02 | ||||||||||||
ISO 3166-2 | KR-11 |
르메이
민국 38
각주
- ↑ 디제스포이아 왕조 수립
- ↑ 서프루시아 공국 수립
- ↑ 본래 서프루시아어에서는 서쪽을 뜻하는 전치사로 de l'Ouest 라는 표현을 쓰지만 (ex:서부 영토/Territoires de l'Ouest) 남부 슈제친족의 침공을 받아 성립된 피루스 왕조 이전의 고프루시아어의 흔적으로 인해 Ouestprussia라는 단어를 고유명사로써 현재까지 사용한다
- ↑ 실질적으로는 5~7년 정도 진행되었으나 이후로도 확장정책이 지속되었기에 20년 가량으로 서술한다
- ↑ 그렇기에 해당 소설은 상당 부분이 검열 혹은 순화 된 판인 일명 '흑색본'(까맣게 칠해졌다 = 검열되었다 라는 뜻)이 주로 유통되고 있다
- ↑ 저자인 레비앙 차지먼트(Rêvéang Changement)의 선조인 루니아 차지먼트(Lunea Changement)는 실제로 피루스 왕조에 맞서 싸운 저항군 출신이고 모험가의 노래는 그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 ↑ 디제스포이아 왕정국의 통화인 큐피디트의 어원이다
- ↑ 야사에는 당시 국왕이였던 셰질린 3세(Chagrin III)가 서부에서 나타난 군대를 자신들을 도우러 온줄 알고 성문을 열었으나 무참히 학살당했다고 전해진다
- ↑ 연속적인 임기로만 따지면 초선. 재선 임기 중 2011 충주특별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가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다시 당선되어 3선이다. 따라서 2022년 및 2026년 선거에도 출마 가능.
- ↑ 기존에는 동아시아 국가들 중 중국과 가장 거리감이 있는 남일본의 우익세력들과의 연계가 있다는 의심을 받았으며 당시 수장 린페이가 난징대학살을 부정하는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었으나 2004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이 국민파를 비판하며 선을긋자 반일로 돌아섰고 이후 2008년 일본인 관광객 납치사건 당시 인질 3명 중 1명을 살해하고 2명에게 중상을 입힌 이후로 혐일로 돌아섰다.
- ↑ 일본에서 들여온 명칭으로 여기서 항쟁은 민중혁명이 아닌 폭력조직간의 패싸움을 의미한다
- ↑ 2017년 영구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