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국가 | ||||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국가 | ||
키르수스 제국 | 게파르토 제국 |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
![]() ![]() ![]() ![]() ![]() ![]() ![]() | ||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연표 |
보편전기 |
연표 | |
보편전기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포 | 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 |
![]() |
![]() |
![]() |
![]() | ||||||
카노쿠겔 Kanokugel |
드베르그 Dweorg |
리겔 Ligel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죄뢰이 Jöröi |
라퓰러이 Lafülöi |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
![]() ![]() ![]() |
![]() ![]() ![]() ![]() ![]() ![]() ![]() | ||
포 | 차량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카노쿠겔 Kanokugel |
![]() |
드베르그 Dweorg |
![]() |
리겔 Ligel |
![]()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 |
죄뢰이 Jöröi |
![]() |
라퓰러이 Lafülöi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
![]() 제9대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 9. Kircusser Foligerreichsvolkstag | |||||
이전 | 회기 | 다음 | |||
제8대 | 1570년 2월 3일 ~ 1575년 1월 15일 | 제10대 | |||
회기 시작 의석 | 회기 종료 의석 | ||||
선거 | 1570년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 선거 | ||||
의원수 | 289명 | ||||
제국인민의회 의장 | 알베르트 폰 블룽겐슈타트 ![]() | ||||
제국인민의회 부의장 | 마인놀프 폰 트레디제라우게르트 자유보수당 라기날트 폰 돔벨 ![]() | ||||
서기 | 불프슈탄 군둘프 ![]() 라트페라트 미스벤 ![]() 오스보르네 폰 포어페물리아 자유보수당 로트간트 프루제 ![]() 리홀트 폰 슈타렌츠 ![]() | ||||
회계 | 알스빈트 란투스 국민당 히르슈 폰 야로엔 ![]() | ||||
정부 | 브라우덴올펜로흐 제국내각 | ||||
의사당 |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의사당 |
제9대 제국인민의회(키르수스어: 9.Foligerreichsvolkstag)는 제국인민의회의 9번째 회기로 1570년 제국인민의회 선거를 통해 선출된 289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1570년 2월 3일 진리절에 개회하여 약 5년의 회기를 거쳐 1575년 1월 15일 해산하였다.
1570년 2월 4일 의장과 부의장 선출을 앞두고 2월 3일 오후 보수당과 해안의당이 합당을 선언했다. 보수당은 의회제 운동 이후 44년 만에 통일된 융커 보수주의 정당이 되었다. 합당에 따라 제2 야당에 이른 진보연합을 제치고 제2 야당이 되었다. 그러나 그와 별개로 진보연합의 에기노 라타르는 초선임에도 콘라트 고트프리트 폰 로이슈의 지지에 제7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아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정당을 비판하며 인지도를 인지도를 얻었다. 더해서 알레마니아 38 선거구에서 자유당의 전 회기 제8 위원회 위원장 프란츠 필리베르트 폰 알레마니아토렌브로이푸르트가 에기노 라타르에 밀려 낙선하면서 제8 위원회 위원장은 자유보수당의 프리드리히 아델 폰 슈렌니히알레슈트그레가 맡게 되었다. 자유보수당은 아우뎀을 중심으로 라우지츠부르크주 일대의 기업에 유리한 법안을 통과시키면서 알레마니아주에 기반한 자유당이 정치적 타격을 입었다.
1574년 가을, 제국에 기근이 발생했다. 농산물 가격을 시작으로 식료품과 생필품의 가격이 오르면서 인플레이션에 의한 생활난이 발생했다. 소요가 발생하자 하트거 로데리크 폰 브라우덴올펜로흐 제국수상은 제국경찰 뿐 아니라 황립군을 동원하며 소요를 진압하는 한편, 그란치프 제국과 농산물 관세 협상을 통해 이를 공급하고 모르티민 동양 회사 주식 배당금을 확대시켜 유동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러나 유동성 확보를 위해 모르티민 동양 회사 주식의 성장 원천인 소주주 고배당 규칙이 파기되자 주가가 대폭락했고, 해당 주식의 배당금에 기반한 황금시대가 붕괴하며 대불황이 닥친다. 대불황으로 전경제적인 타격이 발생했고, 사회적 혼란은 증가했으며, 자유당의 지지는 파산했다. 자유당은 농산물 관세 협상을 추진해 혼란을 만회하고자 했으나, 당내 분열과 대뷔르거의 이익을 옹호한 자유보수당, 융커의 이익을 옹호한 보수당의 반대에 1575년 선거 전까지 제국인민의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의장은 원내 1당인 자유당의 알베르트 프리드리히 폰 블룽겐슈타트가 역임했다. 부의장은 자유보수당의 마인놀프 메다르프 폰 트레디제라우게르트와 보수당의 라기날트 아라프리트 폰 돔벨 운트 회스테가 선출됐다.
위원회 | 위원장 | 담당 | |
서기 | |||
제1 위원회 1.Abtheilung |
플라우크 프란츠 폰 키노베르크 | ![]() |
예산안 |
훔볼트 트라우고트 암프루스 | ![]() | ||
제2 위원회 2.Abtheilung |
테오발트 알거 폰 포어잔트슈타인 | ![]() |
청원 |
기젤하르트 베르트람 폰 아우겐 | ![]() | ||
제3 위원회 3.Abtheilung |
헤르만 레히문트 뤼프팔츠 | 국민당 | 선거감사 |
고틀로프 알헬름 폰 할텐하임 | ![]() | ||
제4 위원회 4.Abtheilung |
마인하르트 에보리크 폰 비렌슈타인 | ![]() |
절차 |
흐로트간트 그라우졸프 라그나르 | 국민당 | ||
제5 위원회 5.Abtheilung |
그라만 오스발트 폰 블로이만트 | ![]() |
법안 |
볼프강 하이드리히 폰 바우데그루트 | ![]() | ||
제6 위원회 6.Abtheilung |
플라데베르트 히크라흐 벤드루스 | ![]() |
무역 |
슐뢰트 루페르트 폰 루렌도르프 | 자유보수당 | ||
제7 위원회 7.Abtheilung |
에기노 라타르 | ![]() |
사회문제 |
흐라트푸르 엘무트 폰 바우필레 | ![]() | ||
제8 위원회 8.Abtheilung |
프리드리히 아델 폰 슈렌니히알레슈트그레 | 자유보수당 | 상공업 |
바우둘프 에르브하르트 폰 만렐프 | ![]() |
회기 시작 의석 | 회기 종료 의석 | ||||
▼
|
▼
| ||||
![]() 자유당 |
146석 / 289석 (50.52%) | ||||
98석 / 289석 (33.91%) | |||||
키르수스 자유보수당 Kircusser Freikonservativener Partei |
45석 / 289석 (15.57%) | ||||
59석 / 289석 (20.42%) | |||||
|
32+11석 / 289석 (14.88%) | ||||
47석 / 289석 (16.26%) | |||||
![]() 진보연합 |
38석 / 289석 (13.15%) | ||||
38석 / 289석 (13.15%) | |||||
키르수스 국민당 Kircusser Nationalspartei |
14석 / 289석 (4.84%) | ||||
14석 / 289석 (4.84%) | |||||
아미시아란트 동맹 Amisianischer Bund |
3석 / 289석 (1.04%) | ||||
3석 / 289석 (1.04%) | |||||
무소속 Sonstige |
0석 / 289석 (0.00%) | ||||
30석 / 289석 (10.3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