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munist 1968, 2022 | CC-0
파일:대한제국 용보.png
부여 황제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태조 태황제 광종 연황제 신종 융황제
제4대 제5대 제6대
영종 인황제 세종 선황제 인종 창황제
제7대 제8대
헌종 성황제 융정제
추존
시조 · 장조 · 고조 · 현조 · 세조
고조선 · 부여 · 원삼국 · 고구려 · 백제 · 가야
신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황태자 · 상황 · 제후왕
헌종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몽골 카간
[ 펼치기 · 접기 ]
대몽골국 대칸
초대
칭기즈 칸
섭정
툴루이 칸
제2대
오고타이 칸
제3대
귀위크 칸
제4대
몽케 칸
제5대
세첸 칸
대립 아리크부카
대원대몽골국 대칸
제5대
세첸 칸
제6대
올제이투 칸
제7대
쿨루크 칸
제8대
부얀투 칸
제9대
게겐 칸
제10대
이센테무르 칸
제11대
아슈케베 칸
제12대
자야아투 칸
제13대
후투그투 칸
복위
자야아투 칸
제14대
린칠반 칸
제15대
우카가투 칸
북원 대칸
제15대
우카가투 칸
제16대
빌레그투 칸
제17대
우스칼 칸
제18대
조리그투 칸
제19대
엥케 칸
제20대
니굴세그치 칸
제21대
토코간 칸
제22대
오루크테무르 칸
제23대
올제이테무르 칸
제24대
델베그 칸
제25대
에세쿠 칸
제26대
아다이 칸
제27대
테세이 칸
제28대
아크바르진 칸
제29대
에센 타이시
제30대
우케그트 칸
제31대
몰론 칸
제32대
만둘 칸
제33대
다얀 칸
제34대
바르스볼루드 칸
제35대
알라그 칸
제36대
구덴 칸
제37대
자사크트 칸
제38대
부얀 세첸 칸
제39대
링단 칸
선위
에제이 칸
대청국 대칸
제40대
아구다 오루시옝치 나이람다구 복다 칸
제41대
아이비어 자사크 칸
제42대
엥케 아무굴랑 칸
제43대
나이랄투 톱 칸
제44대
텡그린 테트국센 칸
제45대
사이시얄투 이루겔투 칸
제46대
토로 게렐투 칸
제47대
투게멜 엘베그투 칸
제48대
부린 자사그치 칸
제49대
바다르굴투 토로 칸
제50대
허브투 요수 칸
부여황제국 대칸
제51대
복드 칸
제54대
에헤테제르 칸
제55대
에르거건 칸
제56대
다루어유전 칸
제57대
테세그치 칸
원 황제 · 북원 황제 · 부여 황제 · 청왕

부여 황태자
[ 펼치기 · 접기 ]
태조대 광종대 신종대

(광종)

(영종)
영종대 세종대 인종대
건연 준경
(인종)
양희
(헌종)
헌종대 융정대
선치
(융정제)
상건
황제 · 상황 · 제후왕
몽골국 제56대 카간
다루어유전 칸 | ᠰᡠᠩᡤᡳᠶᡝᠨ ᠬᠠᠭᠠᠨ
부여 제7대 황제
헌종 성황제 | 獻宗 成皇帝
수천흥운수화수유숭문경무광성황제
受天興運敷化綏猷崇文經武光成皇帝
출생 1975년 5월 18일
조선 천경도 천경특별시 덕수궁 석조전
대관식 2008년 1월 5일
조선 천경도 천경특별시 경복궁 근정전
사망 2021년 4월 6일 (향년 45세)
조선 천경도 천경특별시 창경궁 양화당
국적 부여
재위 부여 황태자
2000년 6월 5일 ~ 2007년 11월 30일
(7년 5월 3주 4일, 2,734일)
부여 황제
2007년 12월 1일 ~ 2019년 11월 16일
(11년 11월 2주 2일, 4,668일)
부여 상황
2019년 11월 17일 ~ 2021년 4월 6일
(1년 4월 2주 6일, 506일)
작위 부정공 (1992~2000)
제왕 (2000~2007)
황제 (2007~2019)
상황 (2019~2021)
[ 펼치기 · 접기 ]
양희(梁熙)
군호 덕성(德成)
존호 유효공근검단민영
(裕孝恭勤儉端敏英)
묘호 헌종(獻宗)
시호 수천흥운수화수유숭문경무광성황제
(受天興運敷化綏猷崇文經武光成皇帝)
칸호 다루어유전 칸(ᠰᡠᠩᡤᡳᠶᡝᠨ ᠬᠠᠭᠠᠨ)
한호 서신어이전 한(ᠰᠠᠶᠢᠰᠢᠶᠠᠯᠲᠤ ᡥᠠᠨ)
연호 순헌(舜獻)
선양(善梁)
부모 부왕 가경대원군
모후 신공왕후
양부 인종 창황제
형제자매 2남 2녀중 장남
황후 황신현황후
자녀 슬하 3남
장남 홍선규, 차남 융정제, 삼남 상건왕
신체 170cm, 60kg
종교 무종교 (제국 신도)

개요

제7대 부여 황제, 제56대 몽골 카간, 제3대 라오스 국왕.

상세

11년이라는 길지도 짧지도 않은 기간동안 재위하였다. 황제의 개성이 뛰어나다보니, 현재에 들어서는 존재감이 없는 황제로 인식되기도 한다. 실제로 헌종이 재위하였을때에는 냉전 이후의 해빙 무드, 부여의 경제적일 발전이 겹쳐져 무위지치(無爲而治)라는 말이 어울릴정도로 나라가 순탄하게 굴러갔던 때로 여겨진다. 물론 재위 중간에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대표되는 일련의 금융 위기가 있었으나, 전통적으로 황제는 경제 분야에서 큰 권력을 행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여 국민들에게 있어서 헌종은 굴곡진 현대사를 겪은 세종, 인종과는 달리 무난하고 알게 모르게 나라를 통치한 군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래 건강이 허약하여 정치에 큰 간섭을 하지 않은 황제이기도 하였다. 때문에 이 당시 동아사회당을 비롯한 각종 야당들의 활동이 비교적 자유로워졌다.[1] 2019년, 건강상의 문제를 이유로 정치 일선에서 물러난 이후 황제 재위를 황태자에게 생전 양위하였다. 2년 후인 2021년, 지병이 악화되어 붕어하였다.

생애

논란

헌종은 독살되었는가?

융정제가 불안정한 사생활 문제와 정치적인 견해 차이 등 복합적인 이유로 인하여 아버지 헌종을 독살시켰다는 음모론이다. 부여 내에서는 별다른 반향을 얻고 있지 못하나 해외에서는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진다.

둘러보기

부여사 (扶餘史)
[ 본기 (本記) ]
1·2·3·4·5·6권 「태조기(太祖紀)」 7·8·9·10권 「광종기(光宗紀)」 11·12·13·14·15·16·17권 「신종기(伸宗紀)」
강건희 신헌영 안제수익
18·19·20·21권 「영종기(永宗紀)」 22·23·24·25·26·27·28·29·30권 「세종기(世宗紀)」 31·32·33·34·35·36·37권 「인종기(仁宗紀)」
예안욱 의청영 동신준경
38·39·40권 「헌종기(獻宗紀)」
덕성양희
※ 흠정 26사 관련 틀 둘러보기
융정제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각주

  1. 이러한 경향은 우익 성향이 강한 융정 황제의 재위 이후 다시 제정당의 초우위 구도로 돌아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