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 연합 왕국 (민국 38):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민국 38]][[분류:설정]]{{민국 38}}
{{민국 38}}
----
{{민국 38 국가목록}}
{{민국 38 국가목록}}
{{나무위키 국가 정보
----
| 너비 = 450px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00; max-width:450px; color:#000; float:right;"
| 테두리 색 = #000000
|-
| 틀 색 = #007a3d
! colspan="2" style="width:450px; background:#000; color:#fff;" | {{large|아랍 연합 왕국}}<ref>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인지하는 공식 명칭</ref><br>아랍 하심 연합 왕국<ref>하심 가문의 아랍 연합 왕국이라는 번역이 보다 적절할 수 있다.</ref><br>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هاشمية المتحدة<br>United Hashemite Kingdom of Arab
| 글씨 색 = #fff
|-
| 국명 = 아랍 연합 왕국
! width=50% style="height:150px;" | [[파일:아라비아 연방 국기.png|150px]]
| 원어명 = 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 style="height:110px;" | [[파일: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png|110px]]
| 국기 = 아라비아 연방 국기.png
|-
| 국기 크기 = 170px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국기
| 국장 = 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png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국장
| 국장 크기 = 120px
|-
| 범례 너비 = 30%
| align=center colspan="2" style="background:#fff; color:#007a3d;" | '''الله، الوطن، الملك<br>{{글씨 색|#ce1126|알라, 국가, 국왕}}'''
| 범례 배경 색 = #ce1126
|-
| 범례 글씨 색 = #fff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상징
| 모토 = الله، الوطن، الملك<br>알라, 국가, 국왕
|-
| 국가 = [[아랍 연합 왕국의 국가 (민국 38)|아라비아 왕실에 평화가 있기를]] [https://www.youtube.com/watch?v=9tn959-_B98]
| colspan="2" |
| 국화 = 야자나무
{| class="wikitable" style="color: #000; margin: -5.5px -10px; text-align: left; width: calc(100% + 20px);"
| 국조 = 매
|-
| 지도 = 아랍 연합 왕국 지도.png
! width=30%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국가
| 역사 =  
| [[아랍 연합 왕국 (민국 38)#국가|아랍 연합 왕국]]
*아랍 반란 1916년 6월 ~ 1918년 10월
|-
*아랍 연합 왕국 성립 1920년 5월 3일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국화
*입헌 혁명 1972년 6월 25일
| [[야자나무]]
*세속 혁명 1998년 1월 7일
|-
| 수도 = 바그다드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국조
| 최대 도시 = 제다
| [[매]]
| 면적 = 952,839㎢
|-
| 내수면 비율 = 0.7%
|}
| 접경국 = 터키, 이란,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사우디, 예맨, 이집트,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레바논
|-
| 구성국 = 이라크 왕국, 시리아 왕국, 요르단 왕국, 헤자즈 왕국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역사
| 총 인구 = 83,526,991명
|-
| 인구 밀도 = 0.01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11"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민족 구성 = 아랍인 87%, 쿠르드족 12%, 기타 1%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1"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 출산율 = 2.04명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평균 수명 = 74.08세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기대 수명 = 74.08세
|-
| 공용어 = 아랍어
| colspan="2" |  
| 지역어 = 쿠르드어
* '''아랍 반란 [[1916년]] [[6월 10일]]'''
| 공용 문자 = 아랍 문자
* '''건국 [[1920년]] [[5월 3일]]'''
| 국교 = 이슬람교 (명목상)
* '''입헌 혁명 [[1972년]] [[6월 25일]]'''
| 종교 분포 = 이슬람교 87%, 야지디교 8%, 기독교 3%, 기타 1%, 무종교 1%
* '''세속 혁명 [[1998년]] [[1월 7일]]'''
| 군대 = 아랍 연합군
|-
| 행정구역1 명칭 = 주
|}</div></div>
| 행정구역1 = 45개 주, 6개 자치주, 3개 특별주
|-
| 국가 원수 명칭 = 국왕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지리
| 국가 원수 = [[압둘라 2세 (민국 38)|압둘라 2세]]
|-
| 행정 각료1 명칭 = 총리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1"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행정 각료1 = [[오마르 라자즈 (민국 38)|오마르 라자즈]]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 행정 각료2 명칭 = 국민대의원회<br>의장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행정 각료2 = [[바흐람 살리흐 (민국 38)|바흐람 살리흐]]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행정 각료3 명칭 = 헌법재판소장
|-
| 행정 각료3 = [[함무다 사바흐 (민국 38)|함무다 사바흐]]
! width=30%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수도
| 정치 체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단원제, 연방국가, 대륙법계
| [[바그다드(민국 38)|바그다드]]
| 민주주의 지수 = 167개국 중 '''96위''' (혼합 체제)
|-
| 여당 = [[아랍 자유당 (민국 38)|아랍 자유당]]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최대 도시
| 신임과 보완 = [[아랍통일전선 (민국 38)|아랍통일전선]]
| [[제다 (민국 38)|제다]]
| 원내 야당 = [[민주행동당 (민국 38)|민주행동당]], [[쿠르디스탄 민주당 (민국 38)|쿠르디스탄 민주당]], [[사회주의통일당 (민국 38)|사회주의통일당]]
|-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체제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면적
| 총 GDP PPP = $1조 8,985억
| 952,839km<sup>2</sup> <nowiki>|</nowiki> '''세계 31위'''
| 1인당 GDP PPP = $55,704
|-
| 총 GDP 명목 = $7,792억 8,900만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내수면 비율
| 1인당 GDP 명목 = $22,865
| 0.7%
| 신용 등급 = 무디스 A1<br>S&P A-<br>Fitch A
|-
| 화폐 = 아랍 디나르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접경국
| ISO4217 = ARD, D
| {{국기나라|터키}}<br>{{국기나라|이란}}<br>{{국기나라|쿠웨이트}}<br>{{국기나라|아랍에미리트}}<br>{{국기나라|사우디아라비아}}<br>{{국기나라|예맨}}<br>{{국기나라|이집트}}<br>{{국기나라|팔레스타인 (민국 38)}}<br>{{국기나라|레바논}}
| 법정 연호 = 이슬람력
|-
| 시간대 = UTC+3 '''(아랍 표준시)'''
|}</div></div>
| 도량형 = SI 단위
|-
| ccTLD = .ar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인문환경
| 국가 코드 = 962, UKA, AR
|-
| 전화 코드 = +400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2"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대한수교현황 = 1968년 수교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 유엔가입 = 1961년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무비자입국 = 양국 모두 90일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주한대사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학동 율곡로 6
|-
| 문양 = 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png
! width=13% rowspan="6"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인구
| 문양 크기 = 50px
! width=17%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총인구
}}
| 101,526,991명<sup>(2022년)</sup> <nowiki>|</nowiki> '''세계 14위'''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인구 밀도
| 106.6명/km<sup>2</sup>
|-
! rowspan="2"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민족 구성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아랍인 (87.3%)
|-
| style="background: #fff; color: #000" align=left | 쿠르드인 (10.5%), 기타 (2.2%)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출산율
| 2.04명 <sup>(2021년)</sup>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기대수명
| 74.08세 <sup>(2021년)</sup>
|-
! rowspan="3"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언어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공용어
| [[아랍어]]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지역어
| [[쿠르드어]], [[튀르키예어]], [[투르크멘어]], [[아르메니아어]], [[아람어]] 등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공용문자
| [[아랍 문자]]<ref>언어에 따라 페르시아 문자, 시리아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라틴 문자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ref>
|-
! row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종교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국교
| '''수니파 이슬람(하나피파)'''<ref>아랍 연합 왕국 헌법 2조(이슬람은 국가의 종교이며 아랍어는 공식 언어이다)에 의하여 국교로 지정, 단 종교 차별은 금지되며 국교인 이슬람을 직접적으로 모욕하거나 위협하지 않는 한 종교의 자유 허용.</ref>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분포
| 이슬람 95.2%<br>기독교 3.3%<br>야자디교 0.5%<br>기타 및 무종교 1.0%
|-
!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군대
| '''아랍 왕립군'''
|-
!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인간개발지수
| 0.729<sup>(2020년)</sup> <nowiki>|</nowiki> high <nowiki>|</nowiki> 세계 100위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하위 행정구역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10"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10"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width=30%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주급행정구
| 45개 주, 6개 자치주, 3개 특별주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정치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4"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4"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정치 체제
| 단일국가, 의원내각제, 입헌군주제<sup>(명목상)</sup>, 전제군주제<sup>(사실상)</sup><ref>국왕이 총리를 탄핵 할 수 있으며 총리 이하 정부 관료들에 대한 임면권을 가지고 있다.</ref>, 양원제, 대륙법계<ref>세속헌법과 별개로 이슬람교도에 도덕적인 문제에 한해서 종교법원과 샤리아에 의해 판결을 내린다.</ref>
|-
!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민주주의 지수
| 3.49점, {{글씨 색|#B22222|'''권위주의'''}} <sup>(2021년)</sup><br>(167개국 중 118위, 아시아 32위)
|-
!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국왕<br>'''<small>(국가원수)</small>'''
| [[압둘라 2세 (민국 38)|압둘라 빈 알후세인 2세]]
|-
! rowspan="4"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정부<br>요인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총리<br>'''<small>(정부수반)</small>'''
| [[비셰르 알카사우네 (민국 38)|비셰르 알카사우네]]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상원 의장
| [[바르함 아흐마드 살리흐 (민국 38)|바르함 아흐마드 살리흐]]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하원 의장
| [[후세인 아르누스 (민국 38)|후세인 아르누스]]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헌법재판소장
| [[함무다 사바흐 (민국 38)|함무다 사바흐]]
|-
!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여당
| {{이슬람 중도당}}
|-
!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연립 여당
| {{아랍인당}}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경제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5"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5"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 경제]]
|-
! row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GDP<br>(PPP)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총
| $3조 2,188억<sup>(2022년 IMF 기준)</sup> <nowiki>|</nowiki> '''세계 13위'''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1인당
| $31,704<sup>(2022년 IMF 기준)</sup> <nowiki>|</nowiki> '''세계 46위'''
|-
! row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GDP<br>(명목)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총
| $2조 7,519만<sup>(2022년 IMF 기준)</sup> <nowiki>|</nowiki> '''세계 13위'''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1인당
| $27,105<sup>(2022년 IMF 기준)</sup> <nowiki>|</nowiki> '''세계 34위'''
|-
!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국부
| $1조 5,690억<sup>(2020년)</sup> <nowiki>|</nowiki> '''세계 28위'''
|-
! row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무역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수출
| $1,711억 9,230만<small>(2020년)</small>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수입
| $2,193억 3,150만<small>(2020년)</small>
|-
!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외환보유액
| $2조 8,101억<sup>(2020년)</sup>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신용 등급
| '''무디스''' A1<br>'''S&P''' A+<br>'''Fitch''' A
|-
! row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화폐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공식 화폐
| [[아랍 디나르 (민국 38)|아랍 디나르]](£, دينار)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ISO 4217
| ARD
|-
! row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국가<br>예산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1년 세입
| $1,613억 9,360만<small>(2020년)</small>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1년 세출
| $2,159억 2,270만<small>(2020년)</small>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단위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6"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6"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width=30%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법정연호
| [[이슬람력]]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시간대
| UTC+2 ~ +3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도량형
| SI 단위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외교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7" style="margin-left: -2.5px;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background:transparent; color: #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7" style="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width: 100%; text-align: 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background:#fff; color:#000; 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
! width=30%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대한수교현황
| [[1962년]] [[7월 26일]]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유엔 가입
| [[1945년]] [[10월 24일]]<sup>(창립회원국)</sup>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무비자입국
| 양측 모두 15일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 주한아랍대사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장문로 55
|-
|}</div></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ccTLD
|-
| align=center colspan="2" | '''.ar, .العربية'''
|-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국가 코드
|-
| align=center colspan="2" | '''760, AR, UKA,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국제전화코드
|-
| align=center colspan="2" | '''+963'''
|-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 | 차량 통행 방향
|-
| align=center colspan="2" | '''오른쪽'''
|-
! colspan="2" style="width:450px; background:#007a3d; color:#007a3d;" | [[파일: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png|30px]]
|-
|}
== 개요 ==
== 개요 ==
아랍 연합 왕국(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United Kingdom of Arab) 혹은 줄여서 아랍(عرب, Arab)는 서아시아에 위치해 있는 왕국이다.  
아랍 연합 왕국(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United Kingdom of Arab) 혹은 줄여서 아랍(عرب, Arab)는 서아시아에 위치해 있는 왕국이다.  
<br>제1차 세계대전 당시 아랍 반란 이후 영불의 지원을 받은 하심가의 통치하에 있는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헤자즈 4개 왕국을 통합하여 만들어진 국가이다. 1972년에 일어난 혁명으로 헌법이 제정되고 국민대의원회가 개회했으며 입헌 군주제 국가가 되었고 1998년에는 세속주의를 선언하여 이슬람교의 국교지위는 인정하되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정책을 펼쳤다. 현재 국왕은 [[압둘라 2세 (민국 38)|압둘라 2세]]이며 총리는 [[오마르 라자즈 (민국 38)|오마르 라자즈]]이다.
<br>제1차 세계대전 당시 아랍 반란 이후 영불의 지원을 받은 하심가의 통치하에 있는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헤자즈 4개 왕국을 통합하여 만들어진 국가이다. 1972년에 일어난 혁명으로 헌법이 제정되고 국민대의원회가 개회했으며 입헌 군주제 국가가 되었고 1998년에는 세속주의를 선언하여 이슬람교의 국교지위는 인정하되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정책을 펼쳤다. 현재 국왕은 [[압둘라 2세 (민국 38)|압둘라 2세]]이며 총리는 [[오마르 라자즈 (민국 38)|오마르 라자즈]]이다.
[[파일:바그다드.png|510px|섬네일|왼쪽|아랍 연합 왕국의 수도인 바그다드]]
[[파일:바그다드.png|480px|섬네일|왼쪽|아랍 연합 왕국의 수도인 바그다드]]
[[파일:제다.png|510px|섬네일|왼쪽|아랍 연합 왕국의 최대도시인 제다]]
[[파일:제다.png|480px|섬네일|왼쪽|아랍 연합 왕국의 최대도시인 제다]]
{{목차}}
{{목차}}
== 국가 상징 ==
== 국가 상징 ==
=== 국명 ===
=== 국명 ===
공식적인 국호는 아랍 연합 왕국(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United Kingdom of Arab)이며 보통 줄여서 아랍(عرب, Arab)이라고 부르나 UKA, 아랍 왕국, 아랍 연합, 아련 등으로도 부른다. 한편 영문 명칭이 영국 (United Kingdom)과 햇갈릴 수도 있다는 이유로 영문명칭을 멕시코처럼 (United Mexican States) United Mexican Kingdom으로 바꾸자는 의견도 존재한다.
공식적인 국호는 아랍 연합 왕국(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United Kingdom of Arab)이며 보통 줄여서 아랍(عرب, Arab)이라고 부르나 UKA, 아랍 왕국, 아랍 연합, 아련 등으로도 부른다. 한편 영문 명칭이 영국 (United Kingdom)과 햇갈릴 수도 있다는 이유로 영문명칭을 멕시코처럼 (United Mexican States) United Arab Kingdom으로 바꾸자는 의견도 존재한다.
=== 국기 ===
=== 국기 ===
{|  class="wikitable"  style="width:400px; font-size:10p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00;"
{|  class="wikitable"  style="width:400px; font-size:10p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00;"
98번째 줄: 302번째 줄:
| align="left" | 공식 국기
| align="left" | 공식 국기
|-
|-
!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f;" "text-align:right;" | 채택일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text-align:right;" | 채택일
| align="left" | [[1992년]] [[12월 31일]]
| align="left" | [[1920년]] [[5월 3일]]
|-
|-
!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f;" "text-align:right;" | 근거 법령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text-align:right;" | 근거 법령
| align="left" | <연합 국기법>
| align="left" | <왕국상징물법>
|-
|-
!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f;" "text-align:right;" | 비율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text-align:right;" | 비율
| align="left" | 2:1
| align="left" | 2:1
|-
|-
|}
|}
{{본문|유라시아 연합의 국기 (민국 38)}}  
{{본문|아랍 연합 왕국의 국기 (민국 38)}}  
유라시아 연합의 국기는 연합기이며 1992년 12월 31일 신연방 조약 하루 전날에 공포되었다. 푸른바탕의 좌측 상단에는 노란색 연합성(聯合星)이 위치해 있으며 하단에는 붉은 띄가 위치해 있다. 푸른 바탕은 유라시아의 광대한 대지와 바다를, 붉은 띄는 민주화 과정의 희생과 자원을, 연합성은 결속과 단결을 상징한다.
아랍 연합 왕국의 국기는 아랍기이며 건국과 동시에 재정되었다. 범아랍색 깃발의 원조이며 아랍 반란의 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검은색은 무함마드와 정통 칼리파 시대의 기에서 사용되었고, 흰색은 우마이야 왕조, 녹색은 파티마 왕조, 빨간색은 하와리지파의 기에서 사용되었다.
=== 국장 ===
=== 국장 ===
{|  class="wikitable"  style="width:400px; font-size:10p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00;"
{|  class="wikitable"  style="width:400px; font-size:10p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00;"
|-
|-
! colspan="2"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fff;" "text-align: center;" | [[파일:유라시아 심볼.png|50px]]<br>{{big|유라시아 주권 국가 연합의 국장<br>Патриотическая Песня}}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fff;" "text-align: center;" | [[파일: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png|50px]]<br>{{big|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br>شعار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  
|-  
! colspan="2" style="background:#fff; color:#fff;" "text-align:right;" | [[파일:유라시아 주권 국가 연합의 국장.png|400px]]
! colspan="2" style="background:#fff; color:#fff;" "text-align:right;" | [[파일: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png|400px]]
|-
|-
! width=30%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text-align:right;" | 지위
! width=30%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text-align:right;" | 지위
121번째 줄: 325번째 줄:
|-
|-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text-align:right;" | 채택일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text-align:right;" | 채택일
| align="left" | [[1992년]] [[12월 31일]]
| align="left" | [[1972년]] [[7월 11일]]
|-
|-
!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f;" "text-align:right;" | 사용처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text-align:right;" | 사용처
| align="left" |  
| align="left" |  
* 국가기관
* 국가기관
132번째 줄: 336번째 줄:
|-
|-
|}
|}
{{본문|유라시아 연합의 국장 (민국 38)}}
{{본문|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 (민국 38)}}
유라시아 연합의 국장은 특별한 명칭이 없으며 보통 연합 국장이라 불린다. 푸른 원 안에 빛나는 태양과 연합성이 있는 문양을 밀로 된 관이 감싸고 있는 형태이며 상단에는 붉은색 태두리의 푸른색 오각성이 위치해 있다.
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은 1972년에 재정되었으며 쿠라이시의 매에 국기가 들어가 있고 뒤에는 국기가 배치되어있는 형태이다.
=== 국가 ===
=== 국가 ===
{|  class="wikitable"  style="width:400px; font-size:10p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03399;"
{|  class="wikitable"  style="width:400px; font-size:10p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00;"
|-
|-
! colspan="2" style="background:#003399; color:#ffffff;" "text-align: center;" | [[파일:유라시아 심볼.png|50px]]<br>{{big|애국가<br>Эмблема Союза суверенных государств Евразии}}
! colspan="2" style="background:#007a3d; color:#ffffff;" "text-align: center;" | [[파일: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png|50px]]<br>{{big|아라비아 왕실에 평화가 있기를<br>السلام الملكي العربية}}
|-  
|-  
! colspan="2" style="background:#fff; color:#fff;" "text-align:right;" | {{youtube|MbvIzjI9hyc}}
! colspan="2" style="background:#fff; color:#fff;" "text-align:right;" | {{youtube|9tn959-_B98}}
|-
|-
! width=30%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f;" "text-align:right;" | 지위
! width=30%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text-align:right;" | 지위
| align="left" | 공식 국가
| align="left" | 공식 국가
|-
|-
!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f;" "text-align:right;" | 채택일
! style="background:#ce1126; color:#fff;" "text-align:right;" | 채택일
| align="left" | [[1992년]] [[12월 31일]]
| align="left" | [[1946년]] [[12월 31일]]
|-
|-
|}
|}
{{본문|유라시아 연합의 국가 (민국 38)}}
{{본문|아랍 연합 왕국의 국가 (민국 38)}}
유라시아 연합의 국가는 애국가로 구 소련 시기의 국가인 소련 찬가의 선율은 연합 회원국인 러시아 연방 공화국에서 사용중이다.
아랍 연합 왕국의 국가는 아라비아 왕실에 평화가 있기를로 압둘 모넴 알-리파이가 작사, 압둘 카디르 알-타니르가 작곡했다.
==역사==
==역사==
===소련 말기===
===성립과 발전===
1987년 고르바초프가 집권한 이후 소련에는 서서히 개혁 - 개방의 물결이 일기 시작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점진적인 민주주의가 도입되었고 동유럽 민주화 운동에고 개입하지 않는 등 소련은 진보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당시 소력 인민들의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있었는데 필연적으로 소득증대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연결되게 되어있었다. 1992년 중순 부터 점차 완전한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나기 시작했고 발트 3국과 우크라이나 서부에서는 독립을 요구하는 시위까지 일어나기 시작했다. 고르바초프 대통령은 무력진압을 포기하고 소련 존속에 대한 국민투표를 각 공화국 별로 실시하였는데 반대여론이 높게나온 발트 3국과 몰도바, 서부 우크라이나와 캅카스 3국은 독립하였으며 벨라루스, 러시아, 동부 우크라이나 (현 노보로시아)와 중앙아시아 5국이 신연방 조약을 체결하여 소련은 유라시아 연합으로 개편되었다.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종결됨과 동시에 1916년 부터 진행되어 오던 아랍 반란도 끝이 났다. 당시 아라비아 반도 일대에는 2가지 세력이 공존했는데 하심가문과 사우드 가문이였다. 하심가문은 이라크, 요르단, 헤자즈를 통치하던 가문이였고 사우드 가문은 현재 아라비아 공화국 일대를 통치하던 가문이였다. 한편 종전 후 아랍 지역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전 국가는 영국이였는데 영국은 아랍 반란시기 하심가에 통일 아랍국가 수립을 약속했는데 균형의 수호자(...)였던 영국은 하심가가 아랍을 통일 할 경우 자신들에게 반기를 들 수 있겠다고 생각하여 하심가에 사우드가를 수장으로 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을 건설하겠다고 (당시 네지드 왕국) 일방적으로 통보하였다. 물론 하심가는 반발했으나
===붕괴 후 혼란기와 현재===
당시 세계 최강국이던 대영제국에게 대들면 초고속즉시삭제가 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를 조용히 받아들이기로 결정한다. 이후 하심가 통치 하에 있던 이라크, 요르단, 헤자즈를 통합하여 아랍 연합 왕국을 성립하기에 이른다. 이후 친영정책을 펼치던 하심가의 시리아 아랍 왕국까지 가입하면서 현재의 판도가 완성되게 된다. 그 후 이라크 지역의 석유를 개발하며 경제가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와중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다. 국내에서는 친독 여론이 좀 더 우세했으나 정부는 친영 정책을 고수, 1943년에 공식적으로 독일에 선전포고 한다. 전후에는 국제연합 창립 당시 창립회원국 이기도 했다.
소련이 개편된 이후 사회주의와 자본주의간의 괴리감으로 인하여 크고 작은 혼란들이 발생하였고 급기야 1994년에는 금융위기가 발생해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겪기도 하였으며 구 공산당 보수파가 쿠데타를 준비하는 등 막장이였다. 그러나 고르바초프 사민당 정부의 유연성과 이후 옐친의 경제부양, 속군작업 등으로 국가는 안정되었으며 현재는 많은 자원을 바탕으로 다시 강대국으로 부상하는 중이다.
===냉전과 입헌 혁명===
냉전이 시작된 이후에는 철저한 친미 - 친영 노선을 고집했으며 공산당 (바트당)을 불법화 시키고 바트당이 집권한 이웃 이집트와 대립각을 세웠다. 냉전적 반공주의와 이슬람주의에 입각한 전제군주제를 고집하며 독재를 이어나갔다. 그러나 이런 불만은 쌓이고 1972년 학생혁명으로 표출되었다. 학생들은 헌법의 제정과 왕실의 개혁을 요구했고 시위가 장기화되어 공화주의 운동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정부는 이를 받아 들였다. 샤리아에서 벗어나 근대적인 헌법을 제정하였으며 입법부인 국민대의원회 선거가 열리기도 했다.
===세속 혁명과 현대===
냉전시대가 끝난 이후 개혁의 바람이 아랍에도 불기 시작했다. 기존의 이슬람 율법에 짓눌린 여성과 젊은층들의 시위가 이어지자 왕국 정부는 1998년 개혁 선언문을 발표, 샤리아를 헌법에서 삭제하였으며 모든 종교 재판소는 세속 재판소에 합병되었다. 물론 정치적으로는 왕실의 힘이 여전히 강하고 이슬람교의 입김도 여전히 강하지만 그래도 차근차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이다.
==정치==
==정치==
전형적인 이원집정부제 국가로 대통령은 외치를, 총리는 내치를 담당한다. 현재 동거정부가 들어서 있기 때문에 총리의 정치적인 힘이 더 크다고 평가받는다. 보수 - 중도우파 성향의 개혁연합과 진보 - 중도좌파 성향의 사민당이 대립한다. 이외에도 환경당, 자민당, 공산당등 여러 정당이 있으나 그렇게 큰 영향을 끼치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극단주의 세력이 부상하면서 많은 국민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입헌군주제 국가지만 왕실과 이슬람교의 입김이 강하며 프로이센식 입헌군주제 국가로 평가받는다. 그래도 타 아랍 국가들에 비해서는 훨씬 민주적인 편으로 지속적인 정치 참여와 민주주의에 대한 애착이 이런 현상을 만들어 내었다고 할 수 있다
===반연방제===
유라시아 연합은 특이한 정치 체제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반연방제 혹은 유라시아식 연합제라고 부른다. 미국과 유럽연합 사이쯤에 있는 체제로 주권국가연합의 8개 회원국은 각각 입법, 행정, 사법의 3권을 보유하며 각국의 수장인 대통령들은 각국 국민들의 보통선거로 뽑힌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과정은 연합 최고법이 허용하는 선 안에서만 가능하다. 미국과 비슷한 체제같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외교권의 유무인데 공식적으로 연합의 회원국들은 외교권이 존재하며 8개 회원국 모두 개별로 유엔에 가입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외교권에서 군사동맹, 군사조약등의 권한은 재외된다.
===입법부===
===입법부===
{{유라시아 연합의회의 원내구성 (민국 38)}}
{{아랍 연합 왕국 국민대의원회 (민국 38)의 원내구성}}
'''유라시아 연합의회 (Совет Евразийского союза)'''는 유라시아 연합의 입법부로 하원인 인민평의회와 상원인 연방평의회로 구성되어 있다. 인민평의회는 소선거구제와 전국구를 병행하며 연방평의회는 대선거구제를 실시한다.
'''아랍 연합 왕국 국민대의원회 (الكونغرس الوطني لدولة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는 아랍 연합 왕국의 입법부로 단원제 국회이다. 457석은 지역구에서 선출하며 279석은 직능의석, 정부, 이슬람 교단에서 각각 1:1:1 비율로 선출한다.
==외교==
==외교==
===한유관계===
===한아관계===
냉전 시기에는 험악한 관계였으나 냉전 이후 현재의 유련과는 우방국 내지 우호국으로 평가받는다.
양국의 관계는 우호적인 편이며 2017년에는 압둘라 2세 국왕이 방한하기도 하였다
===중유관계===
===미아관계===
냉전시기에도 양국 관계는 그렇게 험악한 편은 아니였으며 현재에는 미국에 대항하기위해 협력하는 관계이다
냉전시기 이래로 우방국 칭호를 가지고 있다.
===북유관계===
===중아관계===
예나 지금이나 서로의 최우방국 대우를 받는다.
꽤나 우호적인 편이다.
===일유관계===
유련이 일본 분단에 책임이 있는 만큼 서로서로 껄끄러운 편이다.
==각주==
==각주==

2022년 8월 15일 (월) 20:42 기준 최신판

[ 국가 목록 ]
[ 세계관 소개 ]
[ 문서 목록 ]


민국 38(民國三十八)은 가장 대표적인 대체역사 소재 중 하나인 중화민국국공내전 승리를 가정한 세계관 입니다.
민국 38년(1949년) 중화민국의 국공내전 승리 이후 중국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변화한 여러 정치, 사회, 문화,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아랍 연합 왕국[1]
아랍 하심 연합 왕국[2]
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هاشمية المتحدة
United Hashemite Kingdom of Arab
국기 국장
الله، الوطن، الملك
알라, 국가, 국왕
상징
국가 아랍 연합 왕국
국화 야자나무
국조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바그다드
최대 도시 제다
면적 952,839km2 | 세계 31위
내수면 비율 0.7%
접경국 터키 터키
이란 이란
쿠웨이트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예멘
이집트 (동음이의) 이집트
유엔 팔레스타인 과도 통치기구 (민국 38) 팔레스타인
레바논 레바논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인구 101,526,991명(2022년) | 세계 14위
인구 밀도 106.6명/km2
민족 구성 아랍인 (87.3%)
쿠르드인 (10.5%), 기타 (2.2%)
출산율 2.04명 (2021년)
기대수명 74.08세 (2021년)
언어 공용어 아랍어
지역어 쿠르드어, 튀르키예어, 투르크멘어, 아르메니아어, 아람어
공용문자 아랍 문자[3]
종교 국교 수니파 이슬람(하나피파)[4]
분포 이슬람 95.2%
기독교 3.3%
야자디교 0.5%
기타 및 무종교 1.0%
군대 아랍 왕립군
인간개발지수 0.729(2020년) | high | 세계 100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주급행정구 45개 주, 6개 자치주, 3개 특별주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단일국가, 의원내각제, 입헌군주제(명목상), 전제군주제(사실상)[5], 양원제, 대륙법계[6]
민주주의 지수 3.49점, 권위주의 (2021년)
(167개국 중 118위, 아시아 32위)
국왕
(국가원수)
압둘라 빈 알후세인 2세
정부
요인
총리
(정부수반)
비셰르 알카사우네
상원 의장 바르함 아흐마드 살리흐
하원 의장 후세인 아르누스
헌법재판소장 함무다 사바흐
여당 틀:이슬람 중도당
연립 여당 틀:아랍인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 경제
GDP
(PPP)
$3조 2,188억(2022년 IMF 기준) | 세계 13위
1인당 $31,704(2022년 IMF 기준) | 세계 46위
GDP
(명목)
$2조 7,519만(2022년 IMF 기준) | 세계 13위
1인당 $27,105(2022년 IMF 기준) | 세계 34위
국부 $1조 5,690억(2020년) | 세계 28위
무역 수출 $1,711억 9,230만(2020년)
수입 $2,193억 3,150만(2020년)
외환보유액 $2조 8,101억(2020년)
신용 등급 무디스 A1
S&P A+
Fitch A
화폐 공식 화폐 아랍 디나르(£, دينار)
ISO 4217 ARD
국가
예산
1년 세입 $1,613억 9,360만(2020년)
1년 세출 $2,159억 2,270만(2020년)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이슬람력
시간대 UTC+2 ~ +3
도량형 SI 단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1962년 7월 26일
유엔 가입 1945년 10월 24일(창립회원국)
무비자입국 양측 모두 15일
주한아랍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장문로 55
ccTLD
.ar, .العربية
국가 코드
760, AR, UKA,
국제전화코드
+963
차량 통행 방향
오른쪽

개요

아랍 연합 왕국(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United Kingdom of Arab) 혹은 줄여서 아랍(عرب, Arab)는 서아시아에 위치해 있는 왕국이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아랍 반란 이후 영불의 지원을 받은 하심가의 통치하에 있는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헤자즈 4개 왕국을 통합하여 만들어진 국가이다. 1972년에 일어난 혁명으로 헌법이 제정되고 국민대의원회가 개회했으며 입헌 군주제 국가가 되었고 1998년에는 세속주의를 선언하여 이슬람교의 국교지위는 인정하되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정책을 펼쳤다. 현재 국왕은 압둘라 2세이며 총리는 오마르 라자즈이다.

아랍 연합 왕국의 수도인 바그다드
아랍 연합 왕국의 최대도시인 제다

국가 상징

국명

공식적인 국호는 아랍 연합 왕국(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United Kingdom of Arab)이며 보통 줄여서 아랍(عرب, Arab)이라고 부르나 UKA, 아랍 왕국, 아랍 연합, 아련 등으로도 부른다. 한편 영문 명칭이 영국 (United Kingdom)과 햇갈릴 수도 있다는 이유로 영문명칭을 멕시코처럼 (United Mexican States) United Arab Kingdom으로 바꾸자는 의견도 존재한다.

국기


아랍기
العلم العربي
지위 공식 국기
채택일 1920년 5월 3일
근거 법령 <왕국상징물법>
비율 2:1

아랍 연합 왕국의 국기는 아랍기이며 건국과 동시에 재정되었다. 범아랍색 깃발의 원조이며 아랍 반란의 기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검은색은 무함마드와 정통 칼리파 시대의 기에서 사용되었고, 흰색은 우마이야 왕조, 녹색은 파티마 왕조, 빨간색은 하와리지파의 기에서 사용되었다.

국장


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
شعار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지위 공식 국장
채택일 1972년 7월 11일
사용처
  • 국가기관
  • 국가문서
  • 여권
  • 훈장
  • 해외공관

아랍 연합 왕국의 국장은 1972년에 재정되었으며 쿠라이시의 매에 국기가 들어가 있고 뒤에는 국기가 배치되어있는 형태이다.

국가


아라비아 왕실에 평화가 있기를
السلام الملكي العربية

지위 공식 국가
채택일 1946년 12월 31일

아랍 연합 왕국의 국가는 아라비아 왕실에 평화가 있기를로 압둘 모넴 알-리파이가 작사, 압둘 카디르 알-타니르가 작곡했다.

역사

성립과 발전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종결됨과 동시에 1916년 부터 진행되어 오던 아랍 반란도 끝이 났다. 당시 아라비아 반도 일대에는 2가지 세력이 공존했는데 하심가문과 사우드 가문이였다. 하심가문은 이라크, 요르단, 헤자즈를 통치하던 가문이였고 사우드 가문은 현재 아라비아 공화국 일대를 통치하던 가문이였다. 한편 종전 후 아랍 지역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전 국가는 영국이였는데 영국은 아랍 반란시기 하심가에 통일 아랍국가 수립을 약속했는데 균형의 수호자(...)였던 영국은 하심가가 아랍을 통일 할 경우 자신들에게 반기를 들 수 있겠다고 생각하여 하심가에 사우드가를 수장으로 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을 건설하겠다고 (당시 네지드 왕국) 일방적으로 통보하였다. 물론 하심가는 반발했으나 당시 세계 최강국이던 대영제국에게 대들면 초고속즉시삭제가 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를 조용히 받아들이기로 결정한다. 이후 하심가 통치 하에 있던 이라크, 요르단, 헤자즈를 통합하여 아랍 연합 왕국을 성립하기에 이른다. 이후 친영정책을 펼치던 하심가의 시리아 아랍 왕국까지 가입하면서 현재의 판도가 완성되게 된다. 그 후 이라크 지역의 석유를 개발하며 경제가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던 와중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다. 국내에서는 친독 여론이 좀 더 우세했으나 정부는 친영 정책을 고수, 1943년에 공식적으로 독일에 선전포고 한다. 전후에는 국제연합 창립 당시 창립회원국 이기도 했다.

냉전과 입헌 혁명

냉전이 시작된 이후에는 철저한 친미 - 친영 노선을 고집했으며 공산당 (바트당)을 불법화 시키고 바트당이 집권한 이웃 이집트와 대립각을 세웠다. 냉전적 반공주의와 이슬람주의에 입각한 전제군주제를 고집하며 독재를 이어나갔다. 그러나 이런 불만은 쌓이고 1972년 학생혁명으로 표출되었다. 학생들은 헌법의 제정과 왕실의 개혁을 요구했고 시위가 장기화되어 공화주의 운동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정부는 이를 받아 들였다. 샤리아에서 벗어나 근대적인 헌법을 제정하였으며 입법부인 국민대의원회 선거가 열리기도 했다.

세속 혁명과 현대

냉전시대가 끝난 이후 개혁의 바람이 아랍에도 불기 시작했다. 기존의 이슬람 율법에 짓눌린 여성과 젊은층들의 시위가 이어지자 왕국 정부는 1998년 개혁 선언문을 발표, 샤리아를 헌법에서 삭제하였으며 모든 종교 재판소는 세속 재판소에 합병되었다. 물론 정치적으로는 왕실의 힘이 여전히 강하고 이슬람교의 입김도 여전히 강하지만 그래도 차근차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이다.

정치

입헌군주제 국가지만 왕실과 이슬람교의 입김이 강하며 프로이센식 입헌군주제 국가로 평가받는다. 그래도 타 아랍 국가들에 비해서는 훨씬 민주적인 편으로 지속적인 정치 참여와 민주주의에 대한 애착이 이런 현상을 만들어 내었다고 할 수 있다

입법부

아랍 연합 왕국 국민대의원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8대 국민대의원회
2020.11.03 -
여당

아랍 자유당
412석
신임과 보완

아랍통일전선
7석
야당 317석

민주행동당
263석

쿠르디스탄 민주당
25석

사회주의통일당
16석
무소속 13석
재적 736석
공석 0석
}

아랍 연합 왕국 국민대의원회 (الكونغرس الوطني لدولة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는 아랍 연합 왕국의 입법부로 단원제 국회이다. 457석은 지역구에서 선출하며 279석은 직능의석, 정부, 이슬람 교단에서 각각 1:1:1 비율로 선출한다.

외교

한아관계

양국의 관계는 우호적인 편이며 2017년에는 압둘라 2세 국왕이 방한하기도 하였다

미아관계

냉전시기 이래로 우방국 칭호를 가지고 있다.

중아관계

꽤나 우호적인 편이다.

각주

  1.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인지하는 공식 명칭
  2. 하심 가문의 아랍 연합 왕국이라는 번역이 보다 적절할 수 있다.
  3. 언어에 따라 페르시아 문자, 시리아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라틴 문자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4. 아랍 연합 왕국 헌법 2조(이슬람은 국가의 종교이며 아랍어는 공식 언어이다)에 의하여 국교로 지정, 단 종교 차별은 금지되며 국교인 이슬람을 직접적으로 모욕하거나 위협하지 않는 한 종교의 자유 허용.
  5. 국왕이 총리를 탄핵 할 수 있으며 총리 이하 정부 관료들에 대한 임면권을 가지고 있다.
  6. 세속헌법과 별개로 이슬람교도에 도덕적인 문제에 한해서 종교법원과 샤리아에 의해 판결을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