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85번째 줄: | 185번째 줄: | ||
| colspan=" 3 " style=" color: #fff;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정당색/키르수스|진보연합|색1}} %, #aaa %, #aaa 100%);" | 석 / 289석 ({{#expr: /289*100 round 2}}%) | | colspan=" 3 " style=" color: #fff;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정당색/키르수스|진보연합|색1}} %, #aaa %, #aaa 100%);" | 석 / 289석 ({{#expr: /289*100 round 2}}%) | ||
|- | |- | ||
| rowspan=" 2 " style=" background- | | rowspan=" 2 " style="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5deg, #19c 20%, #164 80%); color: #fff;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000; " | <table style=" background-color: transform;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margin: -4px -9px; border: 0px; font-size: 10pt; "><tr><td style=" border: 0px; " width=" 50%; ">[[파일:White Logo of Konservativener Partei.png|x50px|link=보수당 (키르수스)]] <br /> [[보수당 (키르수스)|<span style=" color: #fff; ">'''보수당'''</span>]]</td><td style=" border: 0px; " width=" 50%; ">[[해안의당 (키르수스)|<span style=" color: #fff; ">'''해안의당<br>Partei des Küste'''</span>]]</td></tr></table> | ||
| colspan=" 3 " style=" color: #fff;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정당색/키르수스|보수당|색1}} 11.07%, # | | colspan=" 3 " style=" color: #fff;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정당색/키르수스|보수당|색1}} 11.07%, #164 11.07%, #164 14.88%, #aaa 14.88%);" | 32+11석 / 289석 ({{#expr: 43/289*100 round 2}}%) | ||
|- | |- | ||
| colspan=" 3 " style=" color: #fff;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정당색/키르수스|보수당|색1}} %, #aaa %, #aaa 100%);" | 석 / 289석 ({{#expr: /289*100 round 2}}%) | | colspan=" 3 " style=" color: #fff;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정당색/키르수스|보수당|색1}} %, #aaa %, #aaa 100%);" | 석 / 289석 ({{#expr: /289*100 round 2}}%) | ||
194번째 줄: | 194번째 줄: | ||
|- | |- | ||
| colspan=" 3 " style=" color: #fff;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정당색/키르수스|국민당|색1}} %, #aaa %, #aaa 100%);" | 석 / 289석 ({{#expr: /289*100 round 2}}%) | | colspan=" 3 " style=" color: #fff; border: 1px solid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정당색/키르수스|국민당|색1}} %, #aaa %, #aaa 100%);" | 석 / 289석 ({{#expr: /289*100 round 2}}%) | ||
|- | |- | ||
| rowspan=" 2 " style=" background-color: {{정당색/키르수스|아미시아란트 동맹|색1}}; color: #fff;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000; " | [[아미시아란트 동맹 (키르수스)|<span style=" color: #fff; ">'''아미시아란트 동맹<br>Amisianischer Bund'''</span>]] | | rowspan=" 2 " style=" background-color: {{정당색/키르수스|아미시아란트 동맹|색1}}; color: #fff;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000; " | [[아미시아란트 동맹 (키르수스)|<span style=" color: #fff; ">'''아미시아란트 동맹<br>Amisianischer Bund'''</span>]] |
2025년 7월 5일 (토) 18:17 판
![]() |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국가 | ||||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국가 | ||
키르수스 제국 | 게파르토 제국 |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
![]() ![]() ![]() ![]() ![]() ![]() ![]() | ||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연표 |
보편전기 |
연표 | |
보편전기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포 | 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 |
![]() |
![]() |
![]() |
![]() | ||||||
카노쿠겔 Kanokugel |
드베르그 Dweorg |
리겔 Ligel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죄뢰이 Jöröi |
라퓰러이 Lafülöi |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
![]() ![]() ![]() |
![]() ![]() ![]() ![]() ![]() ![]() ![]() | ||
포 | 차량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카노쿠겔 Kanokugel |
![]() |
드베르그 Dweorg |
![]() |
리겔 Ligel |
![]()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 |
죄뢰이 Jöröi |
![]() |
라퓰러이 Lafülöi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
![]() 제9대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 9. Kircusser Foligerreichsvolkstag | |||||
이전 | 회기 | 다음 | |||
제8대 | 1570년 2월 3일 ~ 1575년 1월 15일 | 제10대 | |||
회기 시작 의석 | 회기 종료 의석 | ||||
선거 | 1570년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 선거 | ||||
의원수 | 289명 | ||||
제국인민의회 의장 | 알베르트 폰 블룽겐슈타트 ![]() | ||||
제국인민의회 부의장 | 마인놀프 폰 트레디제라우게르트 자유보수당 라기날트 폰 돔벨 ![]() | ||||
서기 | 불프슈탄 군둘프 ![]() 라트페라트 미스벤 ![]() 오스보르네 폰 포어페물리아 자유보수당 로트간트 프루제 ![]() 리홀트 폰 슈타렌츠 ![]() | ||||
회계 | 알스빈트 란투스 국민당 히르슈 폰 야로엔 ![]() | ||||
정부 | 브라우덴올펜로흐 제국내각 | ||||
의사당 |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의사당 |
제9대 제국인민의회(키르수스어: 9.Foligerreichsvolkstag)는 제국인민의회의 9번째 회기로 1570년 제국인민의회 선거를 통해 선출된 289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었다. 1570년 2월 3일 진리절에 개회하여 약 5년의 회기를 거쳐 1575년 1월 15일 해산하였다.
1 의장단
2 위원회
위원회 | 위원장 | 담당 | |
서기 | |||
제1 위원회 1.Abtheilung |
예산안 | ||
제2 위원회 2.Abtheilung |
청원 | ||
제3 위원회 3.Abtheilung |
선거감사 | ||
제4 위원회 4.Abtheilung |
절차 | ||
제5 위원회 5.Abtheilung |
법안 | ||
제6 위원회 6.Abtheilung |
무역 | ||
제7 위원회 7.Abtheilung |
사회문제 | ||
제8 위원회 8.Abtheilung |
상공업 | ||
3 정당별 의석
회기 시작 의석 | 회기 종료 의석 | ||||
▼
|
▼
| ||||
![]() 자유당 |
146석 / 289석 (50.52%) | ||||
석 / 289석 (수식 오류: 예상치 못한 / 연산자입니다.%) | |||||
키르수스 자유보수당 Kircusser Freikonservativener Partei |
45석 / 289석 (15.57%) | ||||
석 / 289석 (수식 오류: 예상치 못한 / 연산자입니다.%) | |||||
![]() 진보연합 |
38석 / 289석 (13.15%) | ||||
석 / 289석 (수식 오류: 예상치 못한 / 연산자입니다.%) | |||||
|
32+11석 / 289석 (14.88%) | ||||
석 / 289석 (수식 오류: 예상치 못한 / 연산자입니다.%) | |||||
키르수스 국민당 Kircusser Nationalspartei |
14석 / 289석 (4.84%) | ||||
석 / 289석 (수식 오류: 예상치 못한 / 연산자입니다.%) | |||||
아미시아란트 동맹 Amisianischer Bund |
3석 / 289석 (1.04%) | ||||
석 / 289석 (수식 오류: 예상치 못한 / 연산자입니다.%) |
4 의석 변동
날짜 | 이름 | 의석 | 사유 | 정당별 의석 |
5 같이 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