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니우스

HFShim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5월 17일 (토) 22:39 판 (→‎교통)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국가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국가
키르수스 제국 게파르토 제국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베른하이어 베른하이어 공국  ·  에르미니아 에르미니아 합중국  ·  마그니우스 마그니우스 제국  ·  프리슬란드 프리슬란드 자유국  ·  그란치프 그란치프 국민국  ·  코르보날 코르보날 연합국  ·  크래스터프 크레스터프 왕국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연표


-546
1423
고전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1423
1664
근대
현대


보편전기
연표
-546
1483
1664
고전 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근대
현대














보편전기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차량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차량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마그니우스
Magnius
마그니우스 제국
Magnian Worldrealm

 

 

1357년 - 현재
국가 마그니우스여 지배하라
Rule Magnius
국목 소나무
국화 장미
국조 바다제비
표어 More Further Beyond
(보다 더 멀리)
마그니우스 제국
수도 로디언
최대 도시
면적 제국 전체: 16,119,950 km2
본국: 695,200 km2
해외 자치령 및 식민지: 15,424,750 km²
국왕 (연방 왕국)
1470년~1498년 앤 2세
1498년~1517년 에드워드 5세
1517년~1526년 에드워드 6세
1526년~1579년 앤 3세
1579년~1620년 메리 2세
1620년~1629년 알버트 1세
1629년~1650년 에드워드 7세
1650년~1662년 알버트 2세
1662년~ 알버트 3세
커네디아 왕조 개창,
알레니아 왕국 식민 개척 개시
1295년
커네디아 연합(3국 동군 연합) 1357년
알레니아 내전 1405년~1417년
산업혁명의 단초 1450년대
알레니아-에르미니아 전쟁 1461년~1467년
연방법 통과 1473년
대양전쟁 1500년~1514년
연합동방회사 출범 1509년
지분 계승 전쟁 1558년~1563년
연합동방회사 통치 부문 국유화 1573년
뉴알레니아 자치령 출범 1593년
펜데아시아 연방 출범 1601년
벨티아 전쟁 1639년~1641년
연방 전쟁 1651년
알레닉 호 참사 1655년 1월 16일
인문 환경
인구 전체 인구 22억 110만 명(1663년 기준)
본국: 약 9,830만 명
자치령:약 2억 7,000만 명
신디아 제국:약 15억 4,000만 명
보호령:약 2억 5,025만 명
왕령 식민지:약 4,255만 명
민족 구성 본국:
알레니아인 49.6%
르웰리아인 9.5%
더베디아인 0.5%
글레니아인 9.8%
에리니아인 30.6%
인구 밀도 제국 전체 약 136명/km2
-본국 약 141명/km2
공용어 De Facto 알레니아어 (Alenish)
지역어 본국:
에리니아어(Erynish;Eryilge)
르웰리아어(Llwellish;Llwellaeg)
글레니아어(Glenish;Glenic)
더베디아어(Dyfeddic;Dyfeddeg)
공용 문자 슈베른 문자
종교 국교:
왕립 국교회
기타 종교:
식민지 황제교
신대륙 민중교
신디아 다신교
신디아 평온교
기타 식민지 토착 종교
군대 국왕 폐하의 군대(HM Armed Forces)
세부 군대 육군 마그니우스 왕립 연합 육군(Royal United Army)
해군 마그니우스 왕립 해군(Royal Navy)
공군 마그니우스 왕립 공군(Royal Air Service)
행정구역
행정
구역
본국
(연방 왕국)
3개 왕국(Kingdom),
4개 왕실속령(Crown Dependency):
알레니아 왕국(Kingdom of Alenia)
글레니아 왕국(Kingdom of Glenia)
에리니아 왕국(Kingdom of Erynia)
96개 주
자치령(Dominion) 3개 자치령
준자치령
(Self-Governing Colony)
신디아 제국(The Raj, Sindian Raj)
보호령(Protectorate) 13개 보호령
식민지
(Colony)
8개 식민지
왕령 식민지(Crown Colony) 10개 왕령 식민지
정치
정치 체제 식민제국
본국 및 자치령: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식민지:
입헌군주제 혼합제 양원제
입법부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의회
(Parliament of the Commonwealth Kingdom of Magnius)

상원:연방 왕국 귀족원
(House of Lords of the Commonwealth Kingdoms)
하원:연방 왕국 평민원
(House of Commons of the Commonwealth Kingdoms)
국가
원수
국왕 알버트 3세
정부
요인
수상 빈센트 그레이 캠벨
귀족원 원내총무 애버킬데인 공작 리처드 파인 하인스 경
평민원 원내총무 존 하워드 리치먼드 사
내각부장관 사이먼 리드
재무총리 크리스토퍼 해밀턴
외무상 에드워드 로스 사
내무상 찰스 오스본
글레니아부장관 패트릭 브루스 바렛
에리니아부장관 도널 히긴스
법무상 보챔프 백작 윌리엄 아이작스 경
식민상 엘긴 백작 네빌 콜먼 경
자치령상 캐머런 샤프
신디아상 몰리 자작 스펜서 파슨스 경
제1해군경 피셔 하디 사
전쟁상 씰리 백작 이든 워런-니콜스 경
공군상 라티나 후작 해럴드 서튼 경
대외무역부장관 앤써니 베리-뉴튼 사
산업부장관 아이레 자작 바이런 캐번디시 경
농업수산부장관 월터 홀랜드
노동부장관 버티 맥도널드
보건부장관 제임스 올리버
연금복지부장관 이든 그레이엄
상무원장 피터 바너비
교육원장 잭 하딩
체신부장관 허버트 홉하우스
여당 보수당
경제
경제 체제 혼합 경제
명목
GDP
전체 GDP 제국 전체 1,551억 5,000만 £ (3,103억 ℳ)
본국 442억 4,700만 £ (884억 9,400만 ℳ)
1인당 GDP 제국 전체 73£(146ℳ)
본국 401.5£ (903ℳ)
화폐 공식 화폐 크라운 파딩 (£/Cr., 1£ = 금 약 720mg)
마그니우스 크라운
뉴알레니아 크라운
헤르니소스 길더스(Ǥ)
케이프 크라운
펜데아시아 크라운
신디아 파니(ƒ)
(1£ = 2.01ℳ)
통계
자료
경제성장률 3%
실업률 3.9%
코드와 단위
단위 법정연호 제국력
DST 제국단위계(Worldrealm System)
날짜형식 YYYY-MM-DD
운전석
(통행방향)
우측
(좌측)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알레니아어: Commonwealth Kingdoms of Magnius 커먼웰스 킹덤즈 오브 마그니우스), 또는 마그니우스 제국(알레니아어: Magnian Worldrealm 마그니안 월드렐름)은 그 본국이 헤스페로스벨트 북부에 위치한 섬나라인 식민제국이다. 전 세계에 자치령과 식민지로 영토가 퍼져있으며, 바네버웨센에서는 프리슬란드뉴알레니아 자치령을 통해서 국경을 접하고, 본토에서는 해협 건너로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키르수스, 에르미니아 등의 국가와 인접해 있으며, 식민지를 통해 많은 동방의 국가들과 인접해있다. 수도이자 제국의 최대도시는 로디언이며, 이외에도 히튼, 베오마, 던버니카, 브리지피어 등 수많은 도시가 제국 안에 존재하고 있다. 마그니우스 제국의 본국 영토는 km² 이며, 제국 전체로는 km² 에 달한다. 전세계에 영토가 뻗어있는 만큼 거의 모든 기후대가 제국 안에 있지만, 본국의 기후는 서안 해양성 기후이다. 1663년 기준, 제국 전체 인구는 약 22억 명으로서 그중 약 9,830만 명 정도가 본국에 거주한다. 본국은 크게 알레니아 인, 글레니아 인, 에리니아 인 세 민족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제국 전체적으로 보면 신디아 인, 헤르니소스 인 등 수많은 민족과 종족이 마그니우스 제국의 깃발 아래 살아간다. 제국 안에서 쓰이는 언어는 그야말로 셀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지만, 제국 전체를 통틀어 널리 사용되는 언어는 본국의 사실상 공용어인 알레니아어이다.

마그니우스는 마그니우스 제도 안의 가장 강력한 왕국이었던 알레니아 왕국의 주도 아래 연방 왕국 체제를 수립, 더 나아가 식민제국을 건설하였다. 본래 헤스페로스벨트의 마그니우스 제도 안에 존재하던 수십, 수백개의 크고 작은 부족왕국으로 시작하였고, 10세기에 이르러서는 제도 내에 알레니아 왕국글레니아 왕국 두 왕국의 경쟁 체제가 확립되었고, 이후 알레니아 왕국의 날개 아래 태어난 에리니아 공국이 더해져 3왕국 체제를 만들었다. 서로와 끊임없이 경쟁하던 알레니아글레니아1357년, 알레니아 왕실의 주도 아래 동군 연합을 맺었고, 이는 1295년부터 시작된 알레니아 왕국의 해외 식민지 개척에 날개를 달아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왕권 강화의 움직임은, 알레니아 왕국 건국 당시부터 존재했던 의회의 심기를 건드렸다. 의회왕실의 지속적인 갈등은 1405년알레니아 내전으로 터져나왔다. 12년간의 전쟁 끝에 의회왕실에 승리를 거두었으며, 이후 점차 의회 주도의 입헌군주제가 마그니우스 제도에 자리잡아갔다. 이후 에르미니아라그렌센트 등 당대의 쟁쟁한 해양 열강들과 경쟁하며 산업 혁명의 새싹을 키워 나갔고, 1461년알레니아-에르미니아 전쟁을 통해 에르미니아를 꺾었다. 1473년연방법을 통해 연방 왕국이라는 단일 왕국으로 다시 태어난 마그니우스는, 왕실 계승 갈등 끝에 1500년대양 전쟁을 통해 당대 최강의 강대국이었던 라그렌센트마저 꺾어버리고 최강의 해양 열강으로 거듭났다. 이후 찾아온 산업 혁명은 마그니우스에게 더욱 큰 영광을 안겨주었다. 1570년대모르티민 불황은 영광에 잠겨있던 마그니우스에게 현실을 직시하도록 했다. 경제적 침체의 파도 속에서, 마그니우스는 끊임없이 개혁하며 앞으로 나아갔고, 선거권을 확대하고 제국의 기틀을 재정비하는 등의 노력이 기울여졌다. 이후 반세기 간 마그니우스는 사회 개혁의 파도에 휩쓸렸다. 노동 운동의 정치 세력화 등 수많은 변화를 겪는 도중에도, 제국은 강대해보였으나, 1639년벨티아 전쟁은 시민들의 마음 속에 의심의 씨앗을 뿌리기에 충분할 정도로 마그니우스에게 고전이었다. 이후 일어난 1650년키르수스-그란치프 전쟁과, 1651년연방 전쟁은 세상이 확실하게 바뀌었음을 알려주었다.

마그니우스는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단일 국가이다. 마그니우스의 국왕을 국가원수로 하며, 국왕마그니우스 헌법으로 일컬어지는 일련의 전통과 법령들에 의거, 원칙적으로 국가 운영의 전권을 갖지만, 실제로는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의회에서 선출된 연방 왕국 수상에게 국정을 위임해 운영한다. 마그니우스의 국왕은 마그니우스 본국과 제국을 대표하며, 본국과 자치령, 그리고 식민지의 국왕이고, 신디아 제국의 황제를 겸하며, 왕립 국교회의 수장이다. 연방 왕국 수상은 본국의 정부 수반이자 사실상 제국의 지도자로서, 연방 왕국 의회에서 선출되고 국왕의 형식적인 임명을 받는다. 국왕 폐하의 정부연방 왕국 내각을 구성하며 행정을 주도한다. 연방 왕국 의회양원제로서 대부분이 세습 귀족으로 이루어진 임명제 상원인 633석의 연방 왕국 귀족원과, 본국에서 최소한 7년마다 선출되는 865석의 연방 왕국 평민원으로 구성된다. 왕실과 대립해 의회가 권력을 쟁취해낸 역사때문에 마그니우스의 의회는 막강한 권력을 가졌으며, 특히 산업화 이래 노동 계급이 성장하며 연방 왕국 평민원의 힘이 강해졌다. 마그니우스 제국은 사심제에 의거하여 지방 법원, 식민지 지방 법원, 고등 법원, 최고법원, 최고 정의 재판소, 귀족원 항소 위원회, 추밀원 사법 위원회 등의 다종 다양한 법원을 두고 있으며, 이중 본국과 자치령들의 최고법원 역할을 하는 귀족원 항소 위원회는 세명의 대법관과 여섯명의 상임항소법관으로 이루어져있다.

국명

마그니우스의 국명은 공식적으로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알레니아어: Commonwealth Kingdoms of Magnius 커먼웰스 킹덤즈 오브 마그니우스)이며, 줄여부를 때는 "마그니우스"(알레니아어: Magnius 마그니우스), 혹은 "연방 왕국"(알레니아어: Commonwealth Kingdoms 커먼웰스 킹덤즈)이라고 부른다. 이외에도 마그니우스가 식민제국임을 감안하여, "마그니우스 제국"(알레니아어: Magnian Worldrealm 마그니안 월드렐름), 혹은 "제국"(알레니아어: The Worldrealm 더 월드렐름)이라고도 불린다. "마그니우스"는 슈베린어의 전사(戰士)를 의미하는 Magos가 그 어원으로, 세월이 흐르며 점차 Magnius로 변화하며 고유명사화 되었는데, 이는 고대 마그니우스 제도에 수십 수백개의 소왕국들이 난립하여 전투와 혼란상이 끊이지 않았고, 마치 전사들로 가득 찬 섬과도 같았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커먼웰스 킹덤즈"는 국가, 연방 등 의미가 넓게 사용되는 표현인 Commonwealth와 왕국을 의미하는 Kingdoms으로 이루어져있고, 마그니우스는 세 개의 왕국이 모인 왕국이므로 Kingdom에 복수형 -s를 붙여 이를 나타낸다. 마그니우스의 제국을 이야기할 때 쓰는 표현인 "월드렐름"은 세계를 의미하는 World와 국가, 왕국 등을 의미하는 Realm의 합성어로서 전 세계 곳곳에 식민지와 자치령을 두고 있어 "세계를 아우르고 있는 나라"라는 마그니우스 제국의 자신감을 드러내는 표현이다.

언어 별 명칭
알레니아어 Magnius
Commonwealth Kingdoms of Magnius
Magnian Worldrealm
그란치프어 Magnieus
Royaumes Commonwealth de Magnieus
L'Empire Magnien
라그렌센트어 Aallenia
Magnius Reichsenunion
Magniusen Hofigreich
에르미니아어 Magnius
Imperiano Magnius
에세르어 Magnieus
Království Commonwealthu Magniusu
Magnijská světová říše
키르수스어 Gemeinschaftlicher Lanskapereich
Gemeinschaftlicher Lanskapereich Alenien
Alenischer Weltreich

역사

커네디아 연합, 제국의 씨앗

투쟁왕 시대와 알레니아 내전

대외 전쟁과 산업 혁명의 단초

연방 왕국의 출범, 마침내 하나로

산업 혁명

당신이 평직포를 얼마나 생산할 수 있던지 간에, 내가 모조리 사겠습니다! 어서 방법을 찾아보십시오. 산업혁명 과정에서 전도유망한 분야입니다.

로디언의 직물상이 직공에게 보낸 편지, 1499년

대양전쟁, 패권국으로의 발돋움

마그니우스는, 1514년에 이르러 전세계 역사상 그 어떤 강대국보다도 완벽한 승리를 거두었다. 라그렌센트에 대항한 15년간의 전쟁을 겪으며, 연방 왕국은 유일한 산업 경제를 갖추었고, 유일한 해군 열강국이 되었으며, 사실상 유일한 식민제국이 되었다.

마그니우스의 역사가

번영과 영광

바네버웨센의 평원은 우리의 밀밭이자 숲이며, 펜데아시아는 우리의 목장이다.
케이프에서는 백은과 귀금속을 보내오고 헤르니소스의 황금은 로디언으로 유입되고 있다.
신디아인들은 우리를 위해 차를 심고, 우리 커피와 사탕수수, 향신료 농장은 동방에 걸쳐 뻗어있다.

마그니우스의 경제학자

불황과 개혁

마그니우스 정치와 노동 운동

모르티민 불황기의 여러 개혁으로 마그니우스의 투표권은 대거 확대되었고 민주주의는 진일보하였으나, 여전히 갈 길이 멀은 상태였다. 특히, 마그니우스 노동자들의 노동 및 생활 환경은 여전히 상당히 열악한 상태였다. 여전히 고용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았고, 마그니우스의 사회보장제도는 지극히 기초적인 상태였다. 그럼에도, 1620년대에 이르기까지 마그니우스 노동계는 정치화되지 않은 상태였다. 1580년에 최초의 노동조합이 출범한 이래 수많은 노조들이 세워졌고 노조 가입도 상당히 널리 퍼진 현상이었으나, 이들을 직접적으로 정치 무대에 대표하는 정당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오랜 세월 동안, 마그니우스의 노동 계급은 자유당에 그들을 대변할 권리를 위임했다.

이것이 근본적으로 바뀌게 된 것은 1625년의 일이었다. 2월 4일 아침, 마그니우스 조선 기업들이 만든 어용 노조인 전국조선노동자총연맹아놀드 버클리 앤드 컴퍼니 조선소 지부장 스콧 캐드웰캐스가트의 자택에서 변사체로 발견되었다. 경찰은 해당 사건이 자살이라고 빠르게 결론내렸으나, 다른 소문이 순식간에 퍼져나갔다. 겉으로는 기업들에게 호의적인, 부패한 노동조합 지부장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던 캐드웰이 실제로는 업계의 각종 문제점을 조사하며 부패한 기업가들의 자료를 모으다가 살해당한 것이라는 소문이 퍼진 것이다. 경찰 조사가 지나치리만치 빠르게 진행된 것도 이러한 의심에 바람을 불어 넣었다. 친구의 마지막을 보내주기 위해 캐드웰 자택을 방문한 노동자가 실제로 파기된 자료의 일부가 바닥에 널부러져있는 것을 발견하며 소문은 사실상 사실로 판명되었다. 경찰은 졸속수사를 부인하였으나, 이미 때는 늦은 상황이었다.

4월 19일, 아놀드 버클리 앤드 컴퍼니 조선소의 노동자들은 진상규명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했다. 베른하이어와의 건함경쟁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전함 건조 일정에 쫓겨 파업 따위를 허용할 수 없었던 사측은 외부 노동자들을 데려오며 파업에 대응했고, 이 과정에서 노조와 외부 노동자, 그리고 경찰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했고, 다수의 부상자가 속출했다. 그럼에도 노조는 파업을 멈추지 않았다. 조선소를 봉쇄하고 조선소의 각종 공작기기들을 사보타주하며 투쟁을 이어갔다. 세 주 간의 파업 끝에 경찰이 재조사를 약속했고, 사측도 이에 협조할 것을 약속했다. 노조는 파업을 종료했다. 그러나 파업이 끝나기 무섭게, 사측은 태도를 바꾸어 노조를 고소했고, 이후 법원 판결에서 법원은, 일정 지연 및 기기 사보타주 등으로 인한 손실을 노조 측이 전액 보상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노조는 파산했고, 재조사는 없었다. 파업은 이제 경제적으로 불가능한 일이 되었다.

이 사건과 판례는 마그니우스 전국의 노조 지도자들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노조 및 노동자를 직접 의회에서 대변해 주는 정당이나 단체가 없이, 노동권을 보장받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었다. 의원 중 기업가나 지주가 적지 않았던 자유당으로서는 노동 계급의 이익이 진정으로 반영되지 못한다는 판단 아래 1627년, 전국의 노조 지도자들은 히튼에서 연합노동당(United Labour Party)의 출범을 선언했다. 마그니우스의 노동 계급이 본격적으로 정치세력화되기 시작했다.

완전히 나갈 준비를 갖춘 공작은, 드레드노트 두 척 만큼의 유지비를 잡아먹는다. 그리고 그 전함들만큼이나 공포스럽다.

덩컨 더들리 사, 1636년

사상누각, 그리고 미래

전쟁과 격변의 시대

제국이냐 연방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자연 환경

지리

마그니우스 제도의 지형도
지형도

마그니우스 제국은 식민제국이므로 전 세계에 걸쳐서 다양한 지리 형태가 나타나지만, 가장 중심이 되는것은 마그니우스 본국이므로, 본국 중심으로 서술한다.

마그니우스의 본국은 헤스페로스벨트의 일부로서, 그 중에서도 성단양 북해에 떠 있는 마그니우스 제도 전역을 영토로 삼고 있다. 마그니우스 제도는 크게 섬 세개로 이루어져있는데, 서쪽부터 에리니아, 그랜드 마그니아, 르웰리아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이외의 부속 도서로는 그랜드 마그니아 서남쪽의 더베디아, 동북쪽의 오키드가 있으며 그랜드 마그니아 서북쪽으로는 더 아일이라 불리는 제도군이 존재한다. 마그니우스 제도 내의 가장 큰 산맥은 그랜드 마그니아 북부의 글렌케언 산맥이며, 이 이외에도 그랜드 마그니아 중부의 펜카놀 산맥, 르웰리아고흘레윈 산맥, 그리고 에리니아스파인 산맥이 있다. 마그니우스의 산맥들은 최고 고도를 보유한 글렌케언 산맥의 최고봉이 채 1,500m에 도달하지 못할 정도로 비교적 낮은 편이다. 마그니우스 본국 최대의 강은 알렌스 강으로서, 글렌케언 산맥에서 발원하여 그랜드 마그니아를 북에서 남으로 거의 완전하게 종단한다. 이외에도 워든 강, 아번 강, 라우렐 강, 아이레 강 등 크고 작은 강이 많은 것이 마그니우스 제도이다.

마그니우스 제도의 지명
지명

많은 마그니우스의 주는 그 지역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했던 인구 중심지의 이름을 따서 불려진다. 이런 경우를 제외한 지리적 지명의 경우 해당 지역의 지형과, 그 지역의 역사적, 경제적 특징, 그리고 그 지역을 지나는 강에 따라 나뉘게 된다. 그랜드 마그니아는 남쪽의 알레니아와 북쪽의 글레니아로 크게 나뉜다. 글레니아 동북쪽의 오키드 섬에 바로 마주하고 있는, 글레니아 최북단 지역은 흔히 스터랜드라 일컬어지며, 글렌케언 산맥의 최북단이기도 하다. 스터랜드 서쪽으로는 글렌케언 산맥의 최고봉들이 모여있는 더 피크스 지방이 있으며, 그보다 더 서쪽으로 가면 캐티안 힐즈 지방이 있다. 캐티안 힐즈는 북쪽의 더 아일 제도와 접해있다. 스터랜드, 더 피크스, 캐티안 힐즈, 이렇게 글렌케언 산맥의 세 지방을 묶어 더 마운틴즈라고 부르기도 한다. 글렌케언 산맥의 남쪽에는 비교적 고른 평지인 글레니안 힐랜즈 지방이 위치하고 있다. 그 남쪽으로는 알레니아의 북부 지방, 흔히 인터스트리얼 알레니아라 불리는 지방이 있다. 글레니안 힐랜즈인터스트리얼 알레니아보더랜즈로 묶여 불리기도 한다. 인터스트리얼 알레니아 동쪽의 두툼한 반도는 느위레인이라고 불리며, 인터스트리얼 알레니아 남쪽, 펜카놀 산맥 최북단에 속하는 지방은 블랙컨트리라 불리운다. 블랙컨트리 서쪽으로는 란치아 지방이 위치한다. 알레니아 서부, 펜카놀 산맥 중부에 속하는 지방은 카놀랜즈라 칭하고, 카놀랜즈 남쪽, 해협을 통해 더베디아와 인접해있는 그랜드 마그니아알레니아 최남단 지역은 콘마고라 불리운다. 펜카놀 산맥 동쪽, 알레니아 남부의 평야 지대는 알레니시 플레인즈라 불리는데, 이중에서 평야 동부의 반도는 탐비아라 불리고, 탐비아 동쪽, 마그니우스의 수도권이 위치한 지역은 홈 카운티즈라 불린다. 에리니아는 크게 네 지방으로 나뉜다. 동쪽의 평야지대는 로우랜즈라 불리며, 서부, 스파인 산맥의 최고봉들이 모인 남단은 스파인이라 불린다. 그 북쪽에는 에리닉 힐즈 지방이 위치해있고, 그보다도 북쪽, 에리니아 북단은 킹즈랜드라 불린다. 그랜드 마그니아 동쪽의 르웰리아는 세 지방으로 나뉜다. 서부의 고흘레윈 산맥 전체를 포함하는 고흘레위니아, 르웰리아의 평야 지대 전체를 포함하는 그랜드 밸리가 있으며, 그 동쪽에 더 팁이라 불리는 지방이 있다.

기후

마그니우스 본국의 기후는 서안 해양성 기후(Cfb)가 거의 전역에 나타난다. 바다 한가운데에 떠있는 섬나라인 만큼 다습하다. 겨울이 다습하고 따뜻하며, 여름이 건조하고 선선하다, 연교차가 그렇게 크지 않은 편. 일조량이 많은 편이 아니며, 비가 자주 오고 안개 또한 자주 낀다. 전역에서 온대 활엽수혼합림이 나타난다. 한편, 북부의 글렌케언 산맥 등 고도가 높은 곳에서는 냉대 습윤 기후(Dfc)가 나타나기도 한다.

자원

정치

마그니우스 제국이 넓고 전세계에 영토가 있는 만큼 정치의 모습도 다종다양하지만, 식민제국인 이상 본국의 정치에 많은 것이 좌우되므로, 본국 위주로 서술한다.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은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단일 국가로서, 3개의 왕국으로 구성되어있다. 단일 국가라고는 하지만, 세 왕국이 저마다의 내무부를 내각에 가지고 있는 등, 제한적인 지방 자치적 성격을 보인다. 이외에도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의회는 가히 절대적이라고 할 만큼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고 있으며, 입법, 행정, 사법의 3권이 전부 의회에서 나오므로, 마그니우스는 3권 분립을 채택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국가 중 하나이다.

국왕


Monarch of the Commonwealth Kingdoms of Magnius
마그니우스의 국왕
Anne II
앤 2세
Edward V
에드워드 5세
Edward VI
에드워드 6세
재위
1470년 3월 8일 ~ 1498년 5월 1일
재위
1498년 5월 1일 ~ 1517년 8월 1일
재위
1517년 8월 1일 ~ 1526년 6월 11일
생몰
1436년 7월 17일 ~ 1498년 5월 1일
생몰
1472년 8월 14일 ~ 1517년 8월 1일
생몰
1499년 ~ 1526년 6월 11일
Anne III
앤 3세
Mary I
메리 1세
Albert I
알버트 1세
재위
1526년 6월 11일 ~ 1579년 11월 22일
재위
1579년 11월 22일 ~ 1620년 10월 25일
재위
1620년 10월 25일 ~ 1629년 1월 29일
생몰
~ 1579년 11월 22일
생몰
~ 1620년 10월 25일
생몰
~ 1620년 10월 25일
Edward VII
에드워드 7세
Albert II
알버트 2세
Albert III
알버트 3세
재위
1629년 1월 29일 ~ 1650년 11월 12일
재위
1650년 11월 12일 ~ 1662년 2월 20일
재위
1662년 2월 20일 ~
생몰
~ 1650년 11월 12일
생몰
1603년 5월 6일 ~ 1662년 2월 20일
생몰
1636년 8월 22일 ~

마그니우스의 국왕(Monarch of the Commonwealth Kingdoms of Magnius)은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의 군주이자,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의 국가 원수이다. 현임 국왕은 커네디아 왕조알버트 3세.

마그니우스의 국왕은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과 그 자치령 및 식민지의 군주로서 마그니우스 제국 전체를 묶는 역할을 하고, 왕립 국교회의 수장이다. 대대로 커네디아 왕가는 단순 장자 상속제를 채택해서, 성별에 관계없이 장자 혹은 장녀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있다. 중간 중간 그 과정이 방해받은 적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오랫동안 지켜져오고 있는 전통 중 하나.

마그니우스는 성문헌법이 없는 국가로서, 관습헌법국왕이 국가 원수를 맡게 된다. 법률 상으로는 군주(Sovereign)라 지칭되며, 지폐와 동전, 공공 건물, 국가 문서, 제복, 군복 등에 국왕의 얼굴이나 상징물이 새겨지는 등 그 자체로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과 제국을 상징하는 존재이다. 성문헌법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국왕의 대권 범위는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은데, 이 범위를 정하는 것이 마그니우스의 사법 체계가 하는 일 중 하나. 이론적으로는 국왕은 국정에 대한 전면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알레니아 내전 등 수많은 충돌을 거치며 많은 권한을 의회에 위임하게 되었다. 그러나 명확히 해야 할 것은, 엄연히 위임한 것이지 이양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국왕은 관습법과 정부 내각의 조언에 따라 그 대권 및 특권을 행사하게 된다.

국왕 폐하의 명예로운 추밀원


His Majesty's Most Honourable Privy Council
설치 1473년
역할 국왕 자문
임기 미정
(국왕의 의사에 따름)
참여 인원
(Privy Counsellors, 추밀원 고문)
추밀원장
(Lord President of the Council, 현재 평민원 의장이 겸직 중)
대법관 전원 (Lord Chancellors)
대장경 (Lord High Treasurer, 수상이 겸직함)
대사령관 (Lord High Constable)
대제독 (Lord High Admiral)
제1야당 대표
(Leader of His Majesty's Most Honourable Opposition)
내각과 그림자 내각 구성원
기타 국왕이 지명한 인원

국왕 폐하의 명예로운 추밀원(His Majesty's Most Honourable Privy Council)은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의 국왕 자문 기구이다. 1410년대알레니아 내전으로 국왕의 권력이 제한받기 전까지는 단순한 자문 기구 이상으로, 국왕이 행정을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었으나, 의회의 권력이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입헌군주제가 형성된 다음부터는 자문기구로 바뀌었다. 현재의 추밀원은 알레니아, 글레니아, 에리니아 세 왕국의 추밀원이 합쳐져 형성된 결과이다.

추밀원 고문은 철저히 국왕의 의사에 따라 임명되기 때문에, 임기가 특별히 정해져있지 않다. 즉, 종신직이다. 그러므로 현재 추밀원 고문은 수백명에 달할 정도로 많은데, 일상적으로 추밀원의 업무에 참여하는 것은 정부 내각 소속 현직 장관으로 임명된 고문들 뿐이다. 내각이 정부 법제상, 이론적으로 추밀원 산하 위원회로 취급되는 만큼, 내각이 의회에 책임을 지듯이 추밀원도 의회에 책임을 진다. 추밀원 의장은 관례적으로 평민원 의장이 겸직한다.

추밀원이 옛날에 하던 업무를 지금은 정부 내각의회가 나눠서 하므로, 업무량이 예전만큼 많지는 않지만, 여전히 중요한 업무 몇가지가 추밀원에 잔존한다. 이러한 업무들을 추밀원 산하 위원회들에 배속되어 잔존하고 있다.

  • 상속 위원회 (Inheritance Committee): 귀족 계승에 대한 청원 업무 및 작위 심사에 대한 업무를 맡는다. 연방 왕국 수상이 국왕에게 올린 서임자 목록은 이 위원회를 거쳐 국왕에게 전달이 된다.
  • 왕실 속령 업무 위원회(Committee for Affairs of the Crown Depenedencies):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에는 왕실의 개인 영지라고 할 수 있는 왕실 속령이 존재하는데, 이들의 법안 및 행정에 대한 심의를 담당한다.
  • 행정 위원회 (Executive Committee): 추밀원의 집행기구로서, 내각 장관들이 소속되어있다.
  • 사법 위원회 (Judicial Committee): 왕실 속령식민지, 그리고 군사 재판의 최고법원 역할을 하며, 귀족원 항소 위원회대법관들과 상임항소법관들, 그리고 기타 2심 법원 판사들로 구성된다.
  • 대학 위원회 (Universities Committee): 고대 대학들에 대한 지원 및 법령을 심의한다.
  • 특허 위원회 (Charters Committee): 국왕이 대학 및 기업, 공공 기업, 정부 기관 등에 발행하는 왕실 특허장(Royal Charters)에 대한 심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 기타 특별 청문 위원회: 추밀원 자체적으로 특정한 사안을 위해 설치한다.

또한 추밀원 위원들은 임명될때 국가의 비밀을 알리지 않겠다는 선서를 하기에, 추밀원 회의는 기밀로 유지가 되므로 추밀원은 하원이나 상원 원 내에서 함부로 꺼낼수 없는 정보를 정부가 야당과 제 3당에 공유하는 매우 중요한 통로로서 기능하며, 왕국 정부가 제국 협의체와 정부 부처들 이외에도 제국의 자치령과 식민지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또 다른 통로이기도 하다. 의회에 소속된 다른 위원회들에 비해 임명 및 구성 절차가 몹시 간편하고 신속하므로, 정부가 신속한 파악이 필요한 사안이 있을 때에도 추밀원이 동원되곤 한다. 정부의 일종의 싱크탱크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것도 추밀원이다.

행정

마그니우스 제국은 본국과 자치령, 그리고 식민지들로 구성된다. 저마다의 제국 구성국이 어느 정도는 고유한 정부 형태와 전통을 지니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본국의 정치적 전통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마그니우스의 행정부인 국왕 폐하의 정부는 내각에 소속된 22개 중앙 부처들과 중앙 부처 산하 기관, 그리고 그 이외 독립된 비장관급 중앙 부처들로 구성된다.

연방 왕국 수상


Prime Minister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수상

연방 왕국 수상(Prime Minister of the Commonwealth Kingdoms)은 정부 수반이자, 정치적인 실권을 가지고 있는 실질적인 국가 지도자이다. 임기는 정해져 있지 않다. 현직 수상은 빈센트 그레이 캠벨.

수상은 원칙적으로는 국왕이 스스로의 뜻에 따라 임명하는 관직이지만, 실제로는 마그니우스의 관습헌법에 따라, 국왕은 총선거에서 의회 원 내 과반, 특히 하원 내 과반 의석을 달성한 정당의 당수 혹은 정당 연합의 대표를 수상으로 임명해야 한다. 총선이 끝나면, 군주는 총선거에서 승리한 당의 당수를 으로 불러내고, 의례적인 축하 인사를 건넨 다음 국왕의 이름으로 내각과 정부를 구성할 권한을 위임한다. 또한 관례적으로, 수상평민원 의원이어야 한다는 정치적인 공감대가 폭 넓게 형성되어있다. 귀족원 의원으로서 수상 직위를 수행하는 것이 위법은 아니지만, 평민원 의원은 총선거에 직접 나가 선출된, 시민의 대표자라는 의식이 선거법 개정 이래 널리 자리잡았고, 정치적으로 활발하여 당 내 권력을 쟁취하는 의원들 역시 대부분 평민원의 보다 실력있는 의원들이기 때문이다.

반복된 헌장들과 알레니아 내전, 그리고 권리 조례의회군주에 대해 절대적인 권력을 보장 받는 마그니우스의 헌정 체제 하에서, 수상은 의원들의 선출로 성립된 수반으로 사실상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며 행정 수반으로서 왕국의 행정 권한을 실질적으로 행사한다. 타국 조약 조인 등에 대한 외교권과 내각 각료에 대한 고위 공직자 임면권, 귀족원 의원에 대한 임명권으로 해석될 수 있는 귀족 서임 대상자 추천권, 의회 해산권 등을 가지며, 국왕이 형식적으로 가지고 있는 국왕 폐하의 군대에 대한 실질적인 통수권을 행사한다. 이에 따라, 수상의회의 동의가 있다는 전제 하에 최고위급 장교에 대한 임면권을 가지며, 정부 부처를 통해 군대를 통솔한다.

마그니우스 제국을 사실상 지도하는 제국 전체의 지도자라는 위치, 그리고 폭 넓게 행사 가능한 행정권에 비해, 정부 내에서 연방 왕국 수상의 위치는 의외로 대통령제 국가의 대통령처럼 절대적이지는 않다. "수PrimeMinister"이라는 표현에서 미루어 볼 수 있듯, 수상 개개인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변화가 있을 수는 있으나, 대체로 절대적인 행정 수반이라기 보다는 내각의 우두머리 장관이라는 느낌이 강한 자리. 수상 개개인의 정치적 능력에 따라 임기 격차가 매우 거대할 수 있는 자리이기도 하다.

국왕 폐하의 정부


Cabinet of the Commonwealth Kingdoms
연방 왕국 내각
Grey Campbell Ministry
14th December 1656 -
Prime Minister of
the Commonwealth Kingdoms

연방 왕국 수상
Vincent Grey Campbell
빈센트 그레이 캠벨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Leader of
the House of Lords

귀족원 원내총무
Lord Richard Fyne-Hines,
Duke of Everkildane

에버킬데인 공작 리처드 파인-하인스 경
1649년 3월 4일
|
보수당
Chief Whip
평민원 원내총무
Sir John Howard Richmond
존 하워드 리치먼드 사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Cabinet Secretary
내각부장관
Simon Reed
사이먼 리드
1656년 12월 14일
|
무소속
(직업 관료)
Chancellor of the Exchequer
재무총리
Christopher Hamilton
크리스토퍼 해밀턴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Affairs

외무상
Sir Edward Roth
에드워드 로스 사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Secretary of State for
Home Office

내무상
Charles Osborne
찰스 오스본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Secretary of State for
Glenia

글레니아부장관
Patrick Bruce Barett
패트릭 브루스 바렛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Secretary of State for
Erynia

에리니아부장관
Donal Higgins
도널 히긴스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Attorney General
법무상
Lord William Issacs,
Count of Beauchamp

보챔프 백작 윌리엄 아이작스 경
1655년 3월 1일
|
보수당
Secretary of State for Colonies
식민상
Lord Neville Collman,
Count of Elgin

엘긴 백작 네빌 콜먼 경
1650년 9월 3일
|
보수당
Secretary of State for Dominions
자치령상
Cameron Sharpe
캐머런 샤프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Secretary of State for Sindia
신디아상
Lord Spencer Parsons,
Viscount of Mollie

몰리 자작 스펜서 파슨스 경
1650년 9월 3일
|
보수당
First Lord of
the Admiralty

제1해군경
Fisher Hardy
피셔 하디 사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Secretary of State for War
전쟁상
Lord Eden Warren-Nicoles,
Earl of Sillie

씰리 백작 이든 워런-니콜스 경
1650년 9월 3일
|
보수당
Secretary of State for Air
공군상
Lord Harrold Sertone,
Marquis of Lartina

라티나 후작 해럴드 서튼 경
1652년 3월 4일
|
보수당
Minister of
Foreign Trade

대외무역부장관
Sir Anthony Barry-Neuwton
앤써니 베리-뉴튼 사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Minister of Industry
산업부장관
Lord Bryron Caverndish,
Viscount of Aire

아이레 자작 바이런 캐번디시 경
1650년 9월 3일
|
보수당
Minister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농업수산부장관
Walther Holland
월터 홀랜드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Minister of Labour
노동부장관
Bertie McDonald
버티 맥도널드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Minister of Health
보건부장관
James Oliver
제임스 올리버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Minister of
Welfare and Pensions

연금복지부장관
Eden Graham
이든 그레이엄
1654년 11월 12일
|
보수당
President of
the Board of Trade

상무원장
Peter Barnerby
피터 바너비
1650년 9월 3일
|
보수당
President of
the Board of Education

교육원장
Jack Harding
잭 하딩
1656년 12월 14일
|
보수당
Postmaster-General
체신부장관
Herbert Hophouse
허버트 홉하우스
1652년 5월 19일
|
보수당
비장관급 부처
(Non-Ministerial Department)
왕국 기부위원회 (Charity Commission of the Realm)
경쟁위원회 (Competition Commission)
왕립 검찰청 (Crown Prosecution Service)
산림국 (Forestry Commission)
정부법률국 (Government Legal Department)
정부보험계리국 (Government Actuary's Department)
국왕 폐하의 토지등기국 (His Majesty's Land Registry;HM Land Registry)
국세청 (Inland Revenue)
국왕 폐하의 세관 (His Majesty's Customs and Excise; HM Customs and Excise)
우체국 저축은행 (Post Office Savings Bank)
국립 기록원 (National Archives)
연방 왕국 통계청 (Commonwealth Kingdoms Statistics Authority)

국왕 폐하의 정부(His/HerMajesty's Government or HM Government), 혹은 국왕 폐하의 내각(His/Her Majesty's Cabinet or HM Cabinet)은 마그니우스 본국과 자치령 및 식민지를 관할하는 마그니우스의 중앙 정부이다. 이중 내각은 마그니우스 정부의 최고 의사 결정 기관이다. 내각은 연방 왕국 수상과 장관 22인, 기타 장관급 관료 2인과 부장관(Deupty Secretary/Minister/President)들, 그리고 정무차관(Parliamentary Under Secretary/Minister/President)들로 구성이 되어있다.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는 만큼 내각 구성원들은 전원 원 내에 의석이 있는 의회 의원들로 구성되는데, 귀족원이든 평민원이든 의회 원 내에 의석이 있다면 장관으로 임명될 수 있다. 선거 과정에서 검증을 거친 인물들이 각료로 임명되기 마련이므로, 장관 임면에 있어서 의회의 동의는 요구되지 않는다.

중앙 부처는 크게 장관급 부처와 비장관급 부처로 나뉜다. 장관급 부처 사이에도 격이 존재하는 편인데, 이른바 국무대관(Great Offices of State)라 하여 핵심 부처로 취급되는 재무성과 내무성, 외무성, 법무성 4개 부처에 더해 글레니아에리니아 지역을 담당하는 각 부의 장관들, 제국과 연관되는 업무를 보는 식민 관련 3개 부처(식민성, 자치령성, 신디아성) 장관, 전쟁 관련 3개 부처(전쟁성, 해군성, 공군성) 장관들은 전통적인 호칭이 없으면 상(Secretary of State)이라 지칭하며, 기타 7개 일반 부처의 장관들은 장관(Minister), 비교적 중요성이 떨어지거나 아직 개혁이 되지 않은 전통적인 부처의 장관은 원장(President)이라 지칭한다.

이외에도 역사가 긴 의원내각제 전통을 보여주듯 통일이 되지 않은 관직 명도 상당한 편인데, 재무성의 장관인 재무총리(Chancellor of the Exchequer)법무상(Attorney General), 해군성의 장관인 제1해군경(First Lord of the Admiralty), 그리고 체신부장관(Postmaster-General)이 있다. 이러한 장관급 각료들 이외의 비장관급 부처의 수장은 내각에 소속되지 않으며, 내 의원이 아닌 고위 공무원이 임명된다. 내각부장관의 경우, 마그니우스 공무원 조직(His Majesty's Civil Service)을 통솔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장관급 부처임에도 내 의원이 아닌 고위 공무원이 임명된다. 이름은 장관이지만 수상이 공무원 조직의 공식적인 수반이므로, 사실상 부장관에 가까운 역할.

차관이 상당히 많은 정부 구조로서, 부처 내 부서마다 각각 내 의원인 정무차관(Parliamentary Under Secretary/Minister/President)과 공무원인 사무차관(Civil Under Secretary/Minister/President)이 존재한다. 이런 구조 특성상, 마그니우스 헌정 질서에서는 정부에 직접 소속되어 활동하는 의원 숫자가 백명이 훌쩍 넘어가는 것이 당연지사.

입법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의회
Parliament of the Commonwealth Kingdoms of Magnius
설치 1473년
전신 알레니아 왕국 의회
글레니아 왕국 의회
에리니아 왕국 의회
구성 방식 다당제, 양원제
임기 임명제(연방 왕국 귀족원), 최대 7년(연방 왕국 평민원)
역할 연방 왕국 입법부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의회(Parliament of the Commonwealth Kingdoms of Magnius)는 마그니우스의 입법부이다. 연방 왕국 귀족원연방 왕국 평민원의 양원으로 구성된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마그니우스는 관습헌법을 채택한 국가로서 성문헌법전이 없고, 그 역사적인 배경에 따라 이른바 의회주권주의(Parliamentary Sovereignty)를 채택하고 있다. 일반적인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국가 보다도 의회의 권력이 강력한데, 절대적이고 무한하다고 평가 할 수 있는 수준. 의회에서 통과시킬 수 있는 법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법안을 통과시키는 방법 또한 의회의 재량이며, 통과된 법안은 의회에서 폐지할 때 까지 존속하게 된다. 다른 정치 기관은 의회의 입법권을 일절 침해할 수 없는데다가, 다른 국가 같으면 의회 법률의 위헌성을 심사할 법원 또한, 최종심 법원이 의회에 속해있기 때문에 법원 또한 의회를 견제하지 못한다.

이러한 의회 권력의 절대성을 보여주는 것이 이른바 사권박탈법(Act of Forfeiture)라는 것인데, 이것은 일체의 수사 및 재판 과정 없이, 의회특정인을 죄인이라고 특정하여 입법을 하여 하원에서 통과가 되면, 그대로 처벌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선거법이 개정되고 마그니우스에 민주주의가 정착된 이후로는 이러한 극단적인 법률은 사실상 사장되어 입법되지 않고 있지만, 이런 권한이 이론적으로는 의회에 남아있다는 사실 자체가 마그니우스 헌정 질서에서 의회의 막강한 권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토록 의회의 권력이 강력하기 때문에, 의회에서 선출되어 구성되는 마그니우스의 의원내각제 정부 또한 상당히 막강한 권한과 권력을 행사 할 수 있다. 극히 소수의 경우가 아니면 정부 내각의회 다수당이 구성하기 마련이고, 따라서 의회의 막강한 권력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 물론 이러한 막강한 권력의 배경에는 국왕의회 간의 처절한 권력 투쟁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민중의 영향력이 정치에 뿌리내렸기 때문에 막강한 권력이 있다고 해도, 오남용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있다.

모든 법안은 국왕은 국왕의 재가(Royal Assent)를 얻어야 효력을 얻는다. 즉 국왕이 원칙적으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행사된 적이 드문 편.

연방 왕국 귀족원


House of Lords of the Commonwealth Kingdoms
연방 왕국 귀족원
House of Lords
15th December 1656 -
His Majesty's Government
Conservative Party
보수당
251석 / 633석 (39.65%)
His Majesty's Most Honourable Opposition
Liberal Party
자유당
Labour Party
노동당
Monarchist Party
국왕당
198석 / 633석 (31.28%) 12석 / 633석 (1.90%) 3석 / 633석 (0.47%)
Cross-Bench
무소속
166석 / 633석 (26.22%)
정원 633석 (법적으로 고정되지 아니함)
귀족원 의장
(Speaker of the
House of Lords)
알레니아 대법관(Lord Chancellor)
알레시아 공작
에드가 가드너-리드 경
귀족원 부의장
(Deputy Speaker of
the House of Lords)
글레니아 대법관
글렌피든 백작
피터 잭슨-처치워드 경
에리니아 대법관
킬다라 공작
존 조제프 더빈 경
임기 종신 (임명제)
의석 구성 (1663년 현재)
성직 귀족
(Lords Spiritual)
27석
세속 귀족
(Lords Secular)
마그니우스 귀족 (Magnian Peers) 307석
알레니아계 귀족 159석
글레니아계 귀족 102석
에리니아계 귀족 46석
제국 귀족 (Worldrealm Peers) 299석
뉴알레니아계 귀족 70석
펜데아시아계 귀족 41석
케이프계 귀족 39석
신디아 거주 마그니우스계 귀족 34석
신디아계 귀족 69석
기타 식민지 귀족 43석
총 606석

연방 왕국 귀족원(House of Lords of the Commonwealth Kingdoms)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의회의 양원 중 상원으로서, 선거로 구성되지 않고 전석이 임명직으로 구성되는, 말 그대로 귀족원이다. 법적으로 의석이 정해지지 않았으며, 남작 이상의 작위를 지닌 귀족이면 귀족원 의원의 자격이 있다. 또한 마그니우스 제국의 시민권법에 따라서, 본국 뿐 만 아니라 자치령과 식민지의 작위를 받은 귀족도 귀족원에 참여할 자격이 있다. 현재의 귀족원 의석 정원 633석은 수천, 수만 명에 달하는 제국의 귀족들 중 출석 명부에 주기적으로 이름을 올리고 출석하는 의원들의 숫자. 남작 이상의 세습 귀족 작위를 받은 의원 외에도 왕립 국교회 성직자 27명이 국교회의 대표로서 의석을 가지고 있다. 새 회기가 시작할 때마다 의장을 새로 선출하는데, 오래된 정치적 전통에 따라 귀족원 의장은 알레니아 대법관이 역임한다. 귀족원 의장을 선출할 때에는 부의장 또한 함께 선출하는데, 이 또한 오래된 전통에 따라 글레니아 대법관에리니아 대법관이 역임한다. 대법관귀족원 의원 중 임명되는 종신직으로서, 마그니우스 사법 체계의 수장이기도 하다.

귀족원의 권한은 시대가 흐르며 변화해 왔는데, 1636년 이전까지는 평민원의 법안에 대한 무제한적인 거부권을 가져, 하원에 비해 상원의 권한이 더 강력한 구조였으나 이후 예산을 두고 보수당이 장악한 귀족원자유당이 장악한 평민원이 대충돌했고, 국왕자유당의 손을 들어주고 귀족원에 수백명의 자유당 귀족을 대량 생산하겠다며 사실상의 협박을 한 이후, 정국 주도권을 평민원에 내주었다. 이후 1636년1636년 의회법에 의해 예산에 대한 거부권을 박탈당했으며, 1640년 거부권을 평민원이 재석 의원 2/3의 표결로 취소할 수 있는 법안이 통과되며 더더욱 권한이 약화되었고, 마지막으로 1650년, 하원에서 통과된 법안은 상원의 동의 없이, 통과 후 반년이 지나면 입법이 완료되게 하고, 거부권 또한 2년이 지나면 자동으로 기각이 되게 하는 의회법 개정안이 통과되며 현재의 형태에 이르렀다.

이렇게 마그니우스 민주주의의 발전에 따라 꾸준하게 권력이 약화되어온 귀족원이지만, 귀족원의 권한은 명시적인 법률상의 권한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다. 대체로 귀족원에 정기적으로 출석하는 고위 귀족이라면 전통있는 귀족이거나, 소속 정당에서 오랫동안 성공적으로 활동한 거물 정치인으로서, 그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내각의 추천을 받아 작위를 받은 경우이기 때문에, 귀족원 자체의 권한은 크게 축소되었을 지라도 그 소속 구성원들의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더욱이 제국 전체의 귀족들이 의석을 얻을 수 있는 귀족원이므로, 제국 전체를 아우르는 입법기관이 없는 현재의 마그니우스 제국 체제 하에서는, 제국 곳곳의 귀족이 모인 귀족원이 사실상의 제국 의회 역할을 수행하므로 비록 귀족 계층에 치우쳐있을 지언정 제국을 대표하는 입법 기관이라는 비공식적인 위상을 가지고 있고, 마그니우스 사법 체계의 최고심 법원이라고 할 수 있는 귀족원 항소 위원회 또한 귀족원 의원인 대법관 세 명과 상임항소법관 여섯 명으로 이루어져있으므로, 입법에서의 권한은 크게 축소되었으나 사법권 등의 권한은 그대로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특이사항으로, 귀족원 의원은 명예직이기 때문에 매우 월급을 적게 받는다. 작위를 가진 제국 전체의 귀족들이 전부 로디언으로 몰려들어 귀족원에서 표결을 하지 않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

연방 왕국 평민원


House of Commons of the Commonwealth Kingdoms
연방 왕국 평민원
33rd Parliament of the Commonwealth Kingdoms
15th December 1656 -
His Majesty's Government
Conservative Party
보수당
435석 / 865석 (50.29%)
His Majesty's Most Honourable Opposition
Liberal Party
자유당
Labour Party
노동당
Commonwealth Communist Party
제국공산당
368석 / 865석 (42.54%) 49석 / 865석 (5.66%) 8석 / 865석 (0.92%)
Monarchist Party
국왕당
4석 / 865석 (0.46%)
정원 865석
평민원 의장
(Speaker of the
House of Commons)
추밀원장(Lord President)
에반스 윌프레드 사
임기 관례상 최대 7년 (소선거구제 FPP)
의석 구성
(1663년 현재)
(구성국 별로 의석을 특별하게 배분하지 아니함)
알레니아: 516석
글레니아: 85석
에리니아: 264석

연방 왕국 평민원(House of Commons of the Commonwealth Kingdoms)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의회의 양원 중 하원으로서, 최대 7년마다 치러지는 연방 왕국 총선거에서 전체 의석 865석을 선출한다. 이름대로 연방 왕국의 평민, 민주주의 정착 이후에는 시민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 약 12만 명의 유권자마다 의원 한 명 꼴로 선거구가 배정된다. 선거로 구성된 평민원은 개회와 동시에 평민원 의장을 선출하는데, 평민원의 정치적 전통 상 평민원 의장은 여러번의 회기를 연임하는 것이 보통. 의장의 지역구에는 주요 정당들이 후보를 내지 않는 전통이 있다. 이 의장 선출 과정이 특이한데, 거수 투표를 진행한 뒤 선출된 의장을 동료 의원들이 의장석까지 질질 끌고 가는 것이다. 이것은 국왕의회가 격렬하게 충돌했던 투쟁왕 시대 당시, 의회, 특히 평민원의 대표로 국왕과 대면해야 했던 의장의 목이 떨어지는(!) 일이 많았으므로, 의장이 상당히 위험한 직책이었기 때문이다. 의장의 목이 추풍낙엽처럼 떨어지던 시대는 오래전에 끝났지만, 전통만큼은 굳건하게 남아있다. 세습 귀족은 귀족원에 자동으로 의석을 얻을 수 있으므로, 평민원에 대한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갖고 있지 않다.

실질적으로 마그니우스, 더 나아가 제국의 정치를 주도하는 기관으로서 대체로 평민원에서 수상이 선출되고, 내각 각료들도 대부분 평민원 의원들로 꾸려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귀족원의 법안 거부권을 평민원이 묵살할 수 있는 수단이 많으므로, 귀족원은, 적어도 입법 상에서는 평민원에 대해 견제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국왕평민원 원 내에 들어올 수 없고, 의회 개회식 또한 귀족원에서 진행한다. 군주평민원 원 내에 들어올 수 있는 경우는 딱 하나로, 의회 해산이 그 경우. 그러나 국왕이 자의적으로 의회를 해산하던 시대는 아주 오래전에 끝났고, 수상의회 해산을 건의하면 국왕은 그를 사후 승인하되 원 내에서 이를 선포하는 것은 수상이기 때문에 국왕이 민주주의 정착 이후에 평민원 원 내에 들어온 적은 거의 없다.

매우 살벌한 토론 문화를 자랑하며, 거의 인신공격에 가까운 발언들이 매일같이 오가는 곳이다. 마그니우스 정치인이라면 어지간히 말을 잘하지 않고서야 상대방에게 휘말려버리기 일수. 매주 금요일마다 수상평민원에 나와 그 주의 국정 운영을 설명하는 자리는 마그니우스 정치의 꽃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치열하다. 표결 절차도 매우 독특한데, 일단 최소 60명이 재석해야 회의가 성립한다. 이때 여당, 혹은 야당 단독 60명이어서는 안되고, 한 명이라도 서로 다른 당의 의원이 재석해야 한다. 이후 의장이 안건을 상정하고, 찬반 여부를 의원들에게 묻는데 의원들이 만장일치로 "네(Aye)""아니오(Nay)"를 외치면 그 자리에서 표결이 종료되지만, 만약 다른 목소리가 단 하나라도 섞여 있으면 토론 과정에 돌입한다. 이때 토론은 결론이 날 때까지 진행한다. 그럼에도 끝까지 의견차가 발생하면, 의장이 상정한 토론 시간이 끝난 뒤 표결에 돌입한다. 이때 과정은 다음과 같다.

  • 하원 의장"표결! 복도를 비우시오!(Division! Clear the Lobbies!)"라고 외침으로서 표결을 선언한다.
  • 본회의실 양쪽에 붙어있는 두 개의 부속실의 문이 열린다. 의장 기준 오른쪽 방이 찬성의 방(Ayes Room)이고, 왼쪽 방이 반대의 방(Nays Room)이다. 의원들은 문을 걸어나감으로서 투표를 하게 되고, 투표 시간은 14분을 준다. 이때 표결이 발생하면 의회 건물 전체, 그리고 근처 음식점과 술집 등에 설치된 종을 울려 표결 중임을 알린다. 표결 시간이 끝나면 진영을 바꾸는 것이 금지된다.
  • 여야에서 차출된 감표위원들이 의원들의 숫자를 센다. 이때 여야에서 각각 두명씩 차출하는데, 대체로 원내 총무(Chief Whip)과 원내 부총무(Deputy Whip)이 이 역할을 맡는 것이 관례. 이후 감표위원들은 의장에게 결과를 보고한다.
  • 의장이 표결 결과를 선포한다.
  • 만약 가부동수가 나온다면 의장의 재량으로 추가 토론을 시작하거나, 그것이 곤란한 상황일 경우 현상 유지를 하는 쪽으로 투표한다.

사법

마그니우스의 사법 체계는 마그니우스를 구성하는 개의 왕국마다 꽤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연방법 아래서 각 왕국들의 사법의 자유를 어느정도 보장받았기 때문인데, 연방 왕국 전체적으로는 사심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그 법원들의 구성이 차이가 있는 편.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의 법원 체계
알레니아 왕국 글레니아 왕국 에리니아 왕국
지방 법원
(Provincial Court)
왕립 법원
(Crown Court)
치안 법원
(Sheriff Court)
지방 법원
(Provincial Court)
주 법원
(County court)
고등 법원
(High Court)
항소 법원
(Court of Appeal)
치안 항소 법원
(Sheriff Appeal Court)
국왕 폐하의 법원
(King's Own Court)
보편 법원
(General Court)
고등 정의 법원
(High Court of Justiciary)
최고 법원
(Court of Session)
최고 정의 재판소
(Court of Justice)
귀족원 항소 위원회
(Appellate Committee of the House of Lords)

불문법과 보통법 체계를 가진 마그니우스는 재판에 있어 판례와 의회 의사록, 재판 관행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명문화 된 법률이 당연히 존재하지만, 관습과 전통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 형사재판에 있어서는 배심원제를 택하고 있고, 민사 재판의 경우 배심원제와 판사에 의한 재판을 모두 채택하고 있다. 선택은 피고와 원고에게 맡기는 방식. 왕국 전체의 최고심 법원인 귀족원 항소 위원회는 자치령들의 최고심 4심 법원이기도 하며, 추밀원 소속의 추밀원 사법 위원회는 식민지들의 최고심 4심 법원이다.

귀족원 항소 위원회


Appellate Committee of the House of Lords
설치 1586년
구성 방식 임명제 (수상 지명 하에 국왕이 임명)
구성 인원
대법관
(Lord Chancellor)
귀족원 의장 겸 알레니아 대법관
알레시아 공작
에드가 가드너-리드 경
귀족원 부의장 겸 글레니아 대법관
글렌피든 백작
피터 잭슨-처치워드 경
귀족원 부의장 겸 에리니아 대법관
킬다라 공작
존 조제프 더빈 경
상임항소법관
(Lords of Appeal)
알렌머스셔 백작 다니엘 왓슨 경
레오덴 백작 덩컨 키트-레드클리프 경
카레온 백작 루이스 피어스 경
라크 자작 존 윌버포스 경
사우스포트 공작 브랜던 로스킬 경
캐스가우 자작 제임스 놀란 애크너 경
정년 종신직
역할 연방 왕국 및 자치령 최고 법원

귀족원 항소 위원회(Appellate Committee of the House of Lords)는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과 마그니우스 제국의 최고심 4심 법원으로, 본국과 자치령들의 1,2,3심 법원 위에 있는 마그니우스 제국 사법 체계의 최고위 법원이다. 마그니우스의 불문헌법 및 자치령들의 헌법, 그리고 식민지 사법 체계에 있어 최종적인 판단을 하는 법원이다.

귀족원 항소 위원회대법관 세명과 상임항소법관 여섯명으로 구성되는데, 대법관의 경우 각각 수상 지명 하에 국왕의 임명을 받은 알레니아, 글레니아, 그리고 에리니아 3심 법원들의 장이고, 상임항소법관의 경우 수상 지명 하에 법조계 종사 경력이 있는 귀족원 의원을 국왕이 임명한다. 이때, 알레니아 대법관은 귀족원 의장(Speaker of the House of Lords)와 국새상서(Lord Keeper of the Privy Seal)을 겸하며, 세명의 대법관 모두 추밀원의 일원이다. 사실상 알레니아 대법관귀족원 항소 위원회의 위원장인 셈. 대법관의 경우, 임명되기 위한 자격 요건으로는 법정 변호사(Barrister)로 15년 이상을 재직하거나, 고등 법원(High Court, 알레니아 민사 항소 법원), 항소 법원(Court of Appeal, 알레니아 형사 항소 법원), 치안 항소 법원(Sheriff Appeal Court, 글레니아 민형사 항소 법원),국왕 폐하의 법원(King's Own Court, 에리니아 민형사 항소 법원)에서 판사로 3년 이상 재직한 경력이 있어야한다. 상임항소법관의 경우 이러한 경력 제한이 없으나, 귀족원 의원 중 법조계 경력이 있는 의원이 임명되는 것이 관례. 최초에는 기존 귀족원 의원이 상임항소법관이 되는 경향성이 강했으나, 17세기 들어 법관으로서의 경험이 풍부한 평민에게 귀족 작위를 주고, 상임항소법관으로 임명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전통적으로, 연방 왕국 귀족원은 왕국과 제국 내 최고법원의 역할을 겸해왔다. 1586년 이전까지, 귀족원 내에서 진행되는 재판은 귀족원 내 재적한 법률 경험이 있는 귀족원 의원들의 자문 하에 일반 법률 표결과 동일하게 진행되었으나 당연하게도 재판이 지나치게 정치적일 수 있는 부작용이 있었기에, 1586년, 선거법 개정과 함께 최고법원 기능은 귀족원 산하 귀족원 항소 위원회에 이관되었다. 이전의 귀족원이 행하던 역할대로, 귀족원 항소 위원회는 본국과 자치령들의 최고법원으로서 기능하며, 민형사 재판을 모두 진행한다. 평민원이 통과시킨 법률이 마그니우스의 불문헌법과 전통, 관례에 적합한 지 심사하고, 고위 공직자들의 탄핵 심판을 맡으며, 자치령들의 법이 제국 전체의 관습적인 보통법과 인권 등에 어긋나지 않는지 심사한다. 사심제라는 특성상 법원 3개를 통과하고 허가를 받아 항소 위원회에 상정된 사건은 매우 복잡하거나, 중요하거나, 사회적으로 매우 큰 화제가 되는 사건이기 마련이므로 재판 때 마다 상당한 관심을 받으며, 이들의 판결에 따라 연방 왕국, 더 나아가 제국 자치령들의 사회 및 통념이 흔들리기도 한다.

최종심 법원을 입법부에 직접 종속시키는 것이 아닌, 대륙 국가들처럼 별개의 독립적인 사법부를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은 1586년 이래 꾸준히 제기되는 의견이지만, 주류 의견은 되지 못한다. 그럼에도 이러한 소수 의견을 의식해서인지, 항소 위원회는 판결에 신중을 기해 논란을 최대한 없애려는 모습을 많이 보인다.

제국 협의체


Conferences of the Worldrealm
Worldrealm Conference
제국 회담
Committee for Worldrealm Commerce
the Commerce Committee
제국 상업 위원회
Committee for Worldrealm Warfare
the War Committee
제국 전쟁 위원회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수상(Prime Minister)
마그니우스 자치령상
(Secretary of State for Dominions)
마그니우스 신디아상(Sindia Secretary)
마그니우스 식민상
(Secretary of State for Colonies)
각 자치령 수상 및 총독(Governor-General)
신디아 수상 및 총독(Viceroy)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수상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재무총리
(Chancellor of the Excheqer)
마그니우스 대외무역부 장관
(Minister of Foreign Trade)
마그니우스 산업부 장관(Minister of Industry)
마그니우스 상무원장
(President of the Board of Trade)
각 자치령 및 신디아 수상
각 자치령 및 신디아 재무장관
각 자치령 및 신디아 경제장관
연합 동방 회사 이사회
제국 내 주요 20여개 기업의 수장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수상
마그니우스 전쟁상(Secretary of State for War)
마그니우스 제1해군경(First Lord of the Admiralty)
마그니우스 공군상(Secretary of State for Air)
각 자치령 및 신디아 군사 장관
마그니우스 제국총참모장
(Chief of the Worldrealm General Staff)
마그니우스 제1해양경(First Naval Lord)
마그니우스 공군참모장(Chief of Air Staff)
각 자치령 및 신디아 군 참모장

마그니우스 제국의 수많은 자치령들과 식민지들의 조율 및 협력은, 오랫동안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즉 본국의 장관급 부처들을 통해 이뤄져왔다. 그러나, 자치령들의 힘이 커지고, 현재 식민제국의 구조를 보다 나아간 연방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는 공감대 형성에 따라, 제국 전체를 아우르는 일련의 협의체들이 생겨났다. 현재도 상시적인 제국의 세부적인 정책 조율은 자치령/신디아/식민성 장관들을 중계한 각 부 부처 장관들의 몫이나, 제국 전체의 정책 방향 결정은 사실상 하술할 협의체들의 권한이 되어있다.

  • 제국 회담 (Worldrealm Conference): 로버트 보포트 내각(1611년~1618년)에 의해 1612년에 처음 개회한 제국 회담은, 제국 전체의 단결성을 강화하고 본국의 정책 결정 방향에 있어 자치령들의 의향을 어느정도 받아들이기 위해 생겨났다. 그 빈도가 결정되어있지 않으나, 관례적으로 적어도 5년에 한번씩은 열리고 있으며, 본국의 수상이 바뀔때에도 관례적으로 소집된다. 해당 회담에서는, 제국 전체의 외교 정책 방향이 가장 중요하게 다뤄진다.
  • 제국 상업 위원회 (Committee for Worldrealm Commerce): 1651년 조지 커밍-브루스 전시 거국내각(1649년~1656년)에 의해 설치된 제국 상업 위원회는, 당시에는 장기전을 상정했던 연방 전쟁에 대한 장기적인 경제적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비록 연방 전쟁은 2개월의 단기전으로 끝났으나, 제국이 연방으로 나아가는 길에 각 자치령과 본국간 경제 정책의 공식적인 협의장이 있으면 유용할 것이라는 판단에 상설화되었고, 이후 3년에 한번씩 개회하고 있다.
  • 제국 전쟁 위원회 (Committee for Worldrealm Warfare): 1640년 덩컨 더들리 내각(1635년~1641년)에 의해 설치된 제국 전쟁 위원회는, 당시 케이프 자치령에서 진행중이었던 벨티아 전쟁에서, 마그니우스군의 예상치 못한 고전에 대응한 일련의 개혁들의 일환으로 설치되었다. 최초에는 합동 참모 본부의 성격을 띄었으나 이후 해당 역할은 1651년 제국 전쟁 위원회 산하 참모장위원회(Chiefs of Staff Committee)로 이관되었고, 제국 전쟁 위원회 자체는 제국 전체의 군사 정책을 조율하는 보다 포괄적인 목적을 띄게 되었다. 원칙적으로, 각 자치령과 식민지들의 합동 참모 본부에 해당하는 기구들은 제국 전쟁 위원회 산하 위원회로서 기능한다.

행정 구역


Dominions and Colonies
마그니우스 제국의 구성국
Metropole
본국
Commonwealth Kingdoms of Magnius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헤스페로스벨트
Dominions and Self-Governing Colonies
자치령과 준자치령
Dominion of New Alenia
뉴알레니아 자치령

바네버웨센
Union of Cape
케이프 연방

헤르니소스
Pendeasian Confederation
펜데아시아 연방

펜데아시아
Sindian Raj
신디아 제국

신디아
Protectorates
보호령
Occidentian Federation
옥시덴티아 연방

바네버웨센
North Hernisos Federation
북헤르니소스 연방

헤르니소스
Northern Cotian Protectorate
북코티아 보호령

헤르니소스
Southern Cotian Protectorate
남코티아 보호령

헤르니소스
Lucalan Federation
루칼라 연방

헤르니소스
Nobadian Protectorate
노바디아 보호령

헤르니소스
Beltian Protectorate
벨티아 보호령

헤르니소스
Karbil Protectorate
카르빌 보호령

헤르니소스
Balaad Protectorate
발라드 보호령

헤르니소스
Kingdom of Laftfars
라프파스 왕국

투디아
Upregistanian Federation
우프레기스타니아 연방

신디아
Kingdom of Nemia
네미아 왕국

신디아
Saralian Federation
사랄리아 연방

신디아
Colonies and Crown Colonies
식민지와 왕령 식민지
Crown Colony of King William Isles
킹 윌리엄 제도 왕령 식민지

헤스페로스벨트
Crown Colony of King Charles Isles
킹 찰스 제도 왕령 식민지

바네버웨센
Colony of Lonly Island
론리 섬 식민지

바네버웨센
Crown Colony of Parime
파리메 왕령 식민지

디흐트에이븐
Colony of Forlorn Isles
포로언 제도 식민지

디흐트에이븐
Crown Colony of Anonimic Isles
무명양 제도 왕령 식민지

디흐트에이븐
Port Edward Colony
포트 에드워드 식민지

헤르니소스
Crown Colony of Cape Paraia
케이프 파라이아 왕령 식민지

헤르니소스
Colony of Jamestone
제임스턴 식민지

헤르니소스
Port Coen Colony
포트 코엔 식민지

헤르니소스
Freesville Crown Colony
프리스빌 왕령 식민지

헤르니소스
Colony of Bornia
보니아 식민지

헤르니소스
Colony of Kerma
케르마 식민지

헤르니소스
Crown Colony of Prince George Isles
프린스 조지 제도 왕령 식민지

헤르니소스
Crown Colony of Hope Isles
호프 제도 왕령 식민지

펜데아시아
Crown Colony of Queen Anne Island
퀸 앤 섬 왕령 식민지

펜데아시아
Colony of Riauria
리아우리아 식민지

신디아
Port Maria Crown Colony
포트 마리아 왕령 식민지

신디아

마그니우스 제국은 다양한 종류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국 전체를 이끄는 본국(Metropole)인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을 제외하면 마그니우스 제국의 구성국은 자치령(Dominion), 준자치령(Self-Governing Colony), 보호령(Protectorate), 식민지(Colony), 그리고 왕령 식민지(Crown Colony)로 나뉜다.

자치령은 거의 독립국에 준하는 제국 구성국으로서, 제국 회의 등 제국 협의체에 참여하고 내정에 대한 거의 완전한 자치를 보장받으며, 독자적인 외무 정책이 가능하다. 물론 그렇다고 할 지라도, 제국 전체의 외교 정책은 본국의 주도를 따라가는 편. 독자적인 군대 운용이 가능하고, 관세 등 독자적인 경제 정책의 시행이 가능하다. 제국이 연방화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지금은 이러한 독자적인 부분도 본국과 협의 하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자치령 정부가 원한다면 얼마든지 전체 노선과 다른 정책을 밀고 가는 것이 가능하다. 자치령에 마그니우스 본국은 군주의 대리인으로서 총독(Governer-General)을 파견하고 총독은 자치령의 사실상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며, 본국의 뜻을 자치령 정부에 전하는 역할을 한다. 마그니우스 제국의 자치령은 현재 뉴알레니아 자치령, 케이프 연방, 펜데아시아 연방의 3개국이 있다.

준자치령은 특이한 지위로서, 신디아 제국만이 이 지위를 가지고 있다. 신디아 제국은 내정에 있어 자치를 보장받고 독자적인 군대를 운용할 수 있지만, 군사 및 외교 정책에 있어 본국에서 보낸 관료들의 감사를 받는다. 신디아 제국군의 장교는 반드시 75% 이상이 본국에서 파견된 장교로 이루어져 있어야만 한다. 또한 내부 경제 정책에 있어서는 자치를 보장받지만 독자적인 관세 정책 수립에 있어 제한을 받게 된다. 그러나 다른 자치령들처럼 독자적인 의회를 구성할 수 있고, 실제로 주기적인 총선거를 치르기도 한다. 신디아 제국 의회신디아 제국 내각의 절반을 구성할 수 있다. 신디아 제국의 국가 원수이자 행정 수반은 본국에서 파견되는 총독이지만, 신디아의 중요성을 감안해서, 신디아 총독은 총독이라 부르지 않고 부왕(Viceroy)라 칭한다. 부왕은 신디아의 황제인 마그니우스의 국왕의 뜻을 대변하고, 신디아의 국정 운영을 주도한다. 현재 신디아 제국은 자치령 지위를 약속 받은 상황이다.

보호령은 흔히 이야기하는 식민지들 중 가장 느슨한 경우의 식민지로서, 현지인들이 정부를 구성하고 중앙 입법부의 일부(대체로 절반에서 1/3)을 선출 할 수 있지만, 보호령 정부에서 시행되는 정책 및 업무는 전부 본국에서 파견하거나 선정한 고문을 통과해야 하며, 독자적인 군사권 및 외교권은 존재하지 않는다. 주기적인 총선거가 이루어지긴 하지만 그 투표 계층은 식민지 지배 계층 혹은 엘리트나 식민지 거주 마그니우스인들 이상으로 확대되지 않는 것이 보통. 이러한 보호령들은 본국에서 파견한 총독, 혹은 일부 "예민한" 보호령들에서는 통감(Resident-General)이 국정을 주도하며 본국의 의사를 반영한다. 현재 마그니우스는 13개의 보호령을 거느리고 있다.

식민지는 본국에서 파견한 총독의 지배 아래 정부 전체를 식민 당국이 구성한다. 입법부가 존재하고 현지인으로 이루어지긴 하지만, 이는 전석 총독 및 본국의 임명에 따라 이루어진다. 독자적인 외교권 및 군사권이 존재하지 않고, 사실상 내치의 자유도 지극히 제한적으로 보장받는다. 이러한 식민지들에서 총독이 행사하는 행정권은 가히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총독의 성향에 따라 식민지 전체가 하나의 기업처럼 통치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현재 마그니우스는 8개의 식민지를 통치하고 있다.

왕령 식민지는 직할 통치에 가장 가까운 상태로서, 본국에서 파견한 총독의 지배 아래 정부 전체를 식민 당국이 구성하고, 허울상의 입법부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총독 아래 입법, 행정, 사법권이 집중되고 따라서 외교권, 군사권 및 내정의 자유는 일체 존재하지 않는다. 식민지와 같이, 파견된 총독의 성향에, 왕령 식민지인들의 생활상은 크게 좌우받게 된다. 비교적 느슨하게 운영될 수도 있으나, 한편으론 수익만을 향해 모든 것을 갈아 넣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현재 마그니우스는 10개의 왕령 식민지를 가지고 있다.

경제

개요

마그니우스 제국의 경제 통계
구성국 1인당 GDP 명목 GDP 인구 GDP 구성 비율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401.5£
903ℳ
442억 4,700만 £
884억 9,400만 ℳ
약 9,830만 명 28.52%
뉴알레니아 자치령 161£
322ℳ
193억 2,000만 £
386억 4,000만 ℳ
약 1억 2,000만 명 12.45%
케이프 연방 78.5£
157ℳ
67억 5,100만 £
135억 200만 ℳ
8,600만 명 4.35%
펜데아시아 연방 89£
178ℳ
56억 9,600만 £
113억 9,200만 ℳ
약 6,400만 명 3.67%
신디아 제국 45.5£
91ℳ
700억 7,000만 £
1,401억 4,000만 ℳ
약 15억 4,000만 명 45.17%
기타 식민지 31£
62ℳ
90억 5,200만 £
181억 400만ℳ
약 2억 9,200만 명 5.83%
총합 (평균) 70.5£
141ℳ
1,551억 5,000만 £
3,103억 ℳ
약 22억 명 100%

마그니우스 제국의 경제 체계는 전형적인 식민제국의 그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와 자치령들에서 수출된 1차산업품은 본국으로 수출되어 2차산업품으로 가공 및 제조되고, 그것을 다시 식민지와 자치령들에 수출하는 구조이다.

산업

교통

마그니우스 본국의 철도망
마그니우스 철도망

국방


His Majesty's Armed Forces
국왕 폐하의 군대
Royal United Army
왕립 연합 육군
Royal Navy
왕립 해군
Royal Air Service
왕립 공군

사회

마그니우스의 사회 구조는 크게 3단계로 나뉘어있는데, 상류층 내지 고소득층 전반을 일컫는 어퍼 클래스(Upper Class), 중산층을 일컫는 미들 클래스(Middle Class), 그리고 노동자층 전반과 서민, 저소득층 계층을 묶는 워킹 클래스(Working Class)이다. 이 3단계의 신분 구조는 제도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사회적인 것에 가까우며, "공식적인" 신분제로는 공/후/백/자/남의 5등작으로 나뉜 고위 귀족(Lords)과 하위 귀족(Sirs)로 이루어진 귀족 계층, 그리고 평민 계층으로 나뉘는 비교적(?) 단순한 체계를 채택하고 있다.

마그니우스의 상하원 대립이 심한것은 이 공식적인 신분간의 대립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인데, 귀족원과 평민원은 각 계급의 아성이 되기 마련이고, 따라서 어떤 통합적인 경험을 겪지 않은 마그니우스 사회의 분열은 양원의 대립으로 그대로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비교적 실리적이고 합리적이며, 때때로 진보적인 모습을 보이는 마그니우스의 '산업 귀족'들의 특수성에 따라, 귀족주의적인 국가라기엔 상당한 수준의 사회 개혁이 도입되어있다. 마그니우스 국가의 복지 제도는 비록 호혜적인 성격을 띄긴 하지만, 이 나라의 귀족들의 입김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생각해보면 기적에 가까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보았을때, 마그니우스의 귀족계급은 대체적으로 우파~중도 우파의 정치 성향을 띄며, 평민 계급은 중도 좌파~좌파의 정치 성향을 띈다.

인구

마그니우스 제국의 인구는 1663년 기준 22억 100만 명에 달한다. 이중 거의 70%에 육박하는 인구가 신디아 제국에 집중되어있다. 나머지 인구는 주로 본국과 , 그리고 보호령들에 나누어 분포하고 있고, 식민지들과 왕령 식민지들에 거주하는 인구 비율은 상대적으로 소수이다. 구성국에 따라 출생률 격차는 존재하지만, 제국 전체적으로 인구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제국 구성국 별 인구
국명 면적 인구 지역 수도 지위
마그니우스 연방 왕국 9,830만 명 헤스페로스벨트 로디언 본국
뉴알레니아 자치령 1억 2,000만 명 바네버웨센 브리지피어 자치령
케이프 연방 8,600만 명 헤르니소스 호프타운
펜데아시아 연방 6,400만 명 펜데아시아 스웨인버그
자치령 총 합 2억 7,000만 명
신디아 제국 15억 4,000만 명 신디아 준자치령
옥시덴티아 연방 1,400만 명 바네버웨센 보호령
북헤르니소스 연방 675만 명 헤르니소스
북코티아 보호령 3,000만 명
남코티아 보호령 2,000만 명
루칼라 연방 2,000만 명
노바디아 보호령 600만 명
벨티아 보호령 1,200만 명
카르빌 보호령 20만 명
발라드 보호령 30만 명
라프파스 왕국 1,000만 명 투디아
우프레기스타니아 연방 150만 명 신디아
네미아 왕국 350만 명
사랄리아 연방 1억 2,600만 명
보호령 총 합 2억 5,025만 명
론리 섬 식민지 5만 명 바네버웨센 식민지
포로언 제도 식민지 11만 명 디흐트에이븐
포트 에드워드 식민지 50만 명 헤르니소스 포트 에드워드
제임스턴 식민지 200만 명 제임스턴
포트 코엔 식민지 160만 명 포트 코엔
보니아 식민지 950만 명
케르마 식민지 200만 명
리아우리아 식민지 400만 명 신디아 리아우리아
식민지 총 합 1,976만 명
킹 윌리엄 제도 왕령 식민지 100만 명 헤스페로스벨트 왕령 식민지
킹 찰스 제도 왕령 식민지 30만 명 바네버웨센
파리메 왕령 식민지 1,140만 명 디흐트에이븐
무명양 제도 왕령 식민지 3만 명
케이프 파라이아 왕령 식민지 400만 명 헤르니소스 파라이아
프리스빌 왕령 식민지 90만 명 프리스빌
프린스 조지 제도 왕령 식민지 6만 명
호프 제도 왕령 식민지 7만 명 펜데아시아
퀸 앤 섬 왕령 식민지 3만 명
포트 마리아 왕령 식민지 500만 명 신디아 포트 마리아
왕령 식민지 총 합 2,279만 명
제국 총 합 22억 100만 명

민족

언어

종교

교육

언론

복지 및 기타

귀족 작위 체계

국왕 (King(남성)/Queen(여성))
경칭:
구어:"Your Majesty"(폐하)
문어: His/Her Majesty
왕실 공작 (Prince(남성과 여성 공통))
경칭:
구어:"Your Grace"(저하)
문어: His/Her Grace
마그니우스 왕실 전용 작위.

공작 (Duke(남성)/Duchess(여성))
경칭:
구어:"Your Grace"(저하)
문어: His/Her Grace
옛 알레니아 왕국 및 글레니아 왕국 건국 이전, 본 섬의 소왕국 왕실가였거나, 혹은 그에 준함.

후작 (Marquess(남성)/Marchioness(여성))
경칭:
구어:"My Lord/Lady"(각하)
문어: The Most Honourable
에리니아와 르웰리아 등, 마그니우스 제도 본 섬 이외의 부속 도서의 지배작위 중 공작에 준함.

백작 (Earl, Count(남성)/Countess(여성))
경칭:
구어:"My Lord/Lady"(각하)
문어: The Right Honourable
주 단위 영토 지배자, 혹은 그에 준함. Count는 알레니아 왕국 이전부터 내려오던 작위이며, Earl은 에릴 왕가 개창시, 이전의 내전으로 인해 수가 많이 빈 백작위를 채우기 위해 왕실에서 임명받은 관리자 Elderman이 변형.

자작 (Viscount(남성)/Viscountess(여성))
경칭:
구어:"My Lord/Lady"(각하)
문어: The Right Honourable
성을 둘러친 도시/마을 지배자, 혹은 그에 준함.

남작 (Baron(남성)/Baroness(여성))
경칭:
구어:"My Lord/Lady"(각하)
문어: The Right Honourable
성을 둘러치지 않은 도시/마을 지배자, 혹은 그에 준함.

기사 (Knight)
경칭:“Sir/Dame"
공식적인 작위가 주어지지 않은 하급 귀족, 혹은 그에 준하는 훈장 수훈자.

문화

마그니우스의 문화는 옛날부터 "대륙 본토"와는 다소 다른 성격을 띄었는데, 현재의 마그니우스 문화도 섬나라적인 특수성을 띄고 있고, 대륙 본토에 비해 그 경향성이 보수적이다. 마그니우스 문화의 보수성은 건축양식등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일단 문화의 첨단에는 몇년 주기를 두고 다소 뒤처져있는데다, 베른하이어 등의 최첨단 유행은 마그니우스에 잘 녹아들지 못했다. 콘크리트를 사용한 모더니즘 건축 양식의 유행도, 이 고집 센 섬나라만큼은 정복할 수 없었다.

문학

예술

대중 매체

요리

마그니우스의 식문화는 다소 악명이 높은 편. 식민제국이라 제국 전역에서 각종 식재료와 요리법이 본국으로 쏟아져 들어오고 또 그러한 "수입된" 식품은 상당히 맛이 있다고들 하지만, 마그니우스 자체의 식문화는 고기에 강하게 치우쳐있고, 특히 튀긴 것이 다소 과하다 싶을 만큼 많은 편이다. 아무래도 예로부터 풍요로운 땅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 마그니우스의 땅이었으니, 토착 음식도 다소 척박한 편. 이렇다보니, 먹을 것을 찾느라 돌아다녔더니 식민 제국을 이룩했노라는 자조적인 농담마저 있을 정도이다.

스포츠

대외 관계

마그니우스는 연방법으로 섬의 왕국들이 연합을 형성하기 이전인 알레니아 왕국 시대부처, 헤스페로스벨트 본토의 외교적-정치적 상황에 크게 개입하지 않는 고립주의를 고수해왔고, 거대한 식민제국을 이룩한 현 시점에도 해당 방침은 '당당한 고립(Magnificent Isolation)'이라는 정책기조 아래 유지되고 있다.

이런 전통적인 정책 방향에 따라 마그니우스 제국은 이렇다할 우방국도, 적대국도 없는 편인데, 그나마 라이벌에 가장 가까운 것이 식민지를 두고 전쟁을 벌인 적이 있고 헤스페로스벨트 국가들 중 가장 해양 진출에 적극적인 편인 베른하이어 공국. 이러한 특성은, 거의 온 대륙이 휘말렸었던 키르수스-그란치프 전쟁에서도 마그니우스는 고집스럽게 중립을 유지했다는 사실로 잘 드러난다.

이러한 '외교적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마그니우스는 누구에게도 뒤처지지 않는 거대한 해군을 보유 중이다.

같이 보기

프론트 포커스
Copyright 2022.이화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