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국가 | ||||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국가 | ||
키르수스 제국 | 게파르토 제국 |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
![]() ![]() ![]() ![]() ![]() ![]() ![]() | ||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연표 |
보편전기 |
연표 | |
보편전기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포 | 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 |
![]() |
![]() |
![]() |
![]() | ||||||
카노쿠겔 Kanokugel |
드베르그 Dweorg |
리겔 Ligel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죄뢰이 Jöröi |
라퓰러이 Lafülöi |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
![]() ![]() ![]() |
![]() ![]() ![]() ![]() ![]() ![]() ![]() | ||
포 | 차량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카노쿠겔 Kanokugel |
![]() |
드베르그 Dweorg |
![]() |
리겔 Ligel |
![]()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 |
죄뢰이 Jöröi |
![]() |
라퓰러이 Lafülöi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
|
보수당(키르수스어: Konservativener Partei 콘저파티페너 파르타이, KP)은 1530년부터 15__년까지 존속한 키르수스의 고전적 보수주의 정당이다. 산업화와 자유주의에 대한 안티테제로 로센 폰 푸스발트에 의해 창당되어 융커, 지주, 장교, 신념교의 지지를 받았다. 근대적 정당으로서의 정당이 아닌 귀족과 융커의 혈연 및 지연 관계로 이루어져 급여가 없던 과도기적 의회 제도와 맞물려 당비의 개념 없이 의원 개인의 재산으로 활동하였다. 공식적인 당 대회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각 파벌의 사교 모임과 하원 회의를 앞둔 사교 모임이 존재했다.
구성
정파
정책
역사
반개혁
1484년의 레슈텔루프 메르테 폰 베스트로덴 수석각료의 영지 배분 이후 분권화된 봉건 질서는 절대왕정에 종속된 형태로 바뀌며, 융커는 전통적인 기반인 농촌 뿐만 아니라 관료와 장교로서 국가를 구성했다. 슈베른란트 통일 전쟁 이후 로이함펠 라테넨 폰 프란텐샤테 수석각료에 의해 남부 3왕국의 편입에 관한 문제 뿐 아니라 군대와 사회, 경제에 걸친 적극적인 개혁이 이루어지자 융커는 개혁의 강력한 반대자로 기능했다. 1518년, 로이함펠 라테넨 폰 프란텐샤테의 해임으로 개혁은 제동에 걸렸고, 태초부터 불완전한 개혁은 되려 다수의 농민이 융커에게 경제적으로 종속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융커는 농민으로부터 발생한 대상금을 통해 그들의 농장에 자본주의적인 생산 관계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며 그 세를 불렸다.
융커는 폰 노빌치히 수석각료에게 반동적인 주장을 관철하며 개혁을 무위로 돌리고자 했다. 언론에 사전 검열이 적용되고, 개혁에 의해 보장된 대학의 학문적 자율성을 침해했으며, 민중의 결집과 반발을 비밀경찰을 통해 탄압했다. 이에 대학생을 중심으로 형성된 학생조합에서는 반동 세력, 융커에 대한 반발이 증가하였고, 이들 중 일부는 엘리트 혁명을 통해 반동 세력을 분쇄하고 공화정을 수립하고자 하는 이들이 생겨났다. 이들 혁명파는 1520년 반동 세력의 수장인 요르텐 구스타프 폰 푀지닝 백작을 암살하고자 했으나, 그 시도는 실패로 돌아가며 학생조합은 대대적인 탄압을 맞게 된다.
창당
푸스발트
자유보수당 분당
지분계승전쟁
황금시대
역대 총재
선거 결과
선거 | 대표 | 득표 | % | 의석 | +/- |
1531년 | 로센 후베르투스 폰 푸스발트 운트 에를슈타인 | 3,897,231표 | 24.46% | 62석 / 192석 (32.29%) | |
1535년 | 5,827,392표 | 34.81% | 59석 / 192석 (30.72%) | ![]() | |
1540년 | 6,415,862표 | 37.63% | 84석 / 192석 (43.75%) | ![]() | |
1545년 | 오일렘발트 게오르크 지기스문트 폰 푸스발트 운트 에를슈타인 | 7,011,591표 | 40.33% | 105석 / 192석 (54.68%) | ![]() |
1550년 | 롤렌슈타인 하인리히 폰 에벤트로슈 | 4,501,494표 | 25.39% | 59석 / 192석 (30.72%) | ![]() |
1555년 | 2,290,511표 | 12.03% | 33석 / 192석 (17.18%) | ![]() | |
1560년 | 그라울프 뢰베 폰 데어 카루젠 | 2,568,916표 | 11.76% | 59석 / 289석 (20.41%) | ![]() |
1565년 | 루트베르트 빌헬름 폰 루슈텔브루핀트 | 1,974,199표 | 9.59% | 37석 / 289석 (12.80%) | ![]() |
1570년 | 1,923,028표 | 8.82% | 32석 / 289석 (11.07%) | ![]() | |
1575년 | 3,217,839표 | 12.61% | 57석 / 289석 (19.72%) | ![]() | |
같이 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