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프레임만큼 애정이 있거나 오버워치만큼 재미가 있는 것도 아닌데 게임들 중 최초로 문서가 분리되었다. 이유는 표의 용량이 너무 커서(...). 처음엔 문단 편집을 할 때마다 렉이 심해서 표만 따로 틀로 분리했는데, 나중에는 그럼에도 용량이 너무 커서 틀이 표로 표시되지 않고 링크로만 표시되었다. 그리고 이 분리 문서를 쓰면서 알게 된 건데, 문서를 분리한다고 해결되는 게 아니었다. 그래서 틀 안의 표를 최소화했다. 정말로 자주 쓰는 브롤러 소수만 남기고 표의 내용을 대거 삭제했다. 그제야 겨우 정상화되었다.
현황 표
이미지 형식으로 계정 현황 보기 | ||||||||||||||||||||||||||||||||||||||||||||||||||||||||||||||||||||||||||||||||||||||||||||||||||||||||||||||||||||||||||||||||||||||||||||||||||||||||||||||||||||||||||||||||||||||||||||||||||||||||||||||||||||||||||||||||||||||||||||||||||||||||||||||||||||||||||||||||||||||||||||||||||||
[ 2025-03-10 22:19 기준 ]
| ||||||||||||||||||||||||||||||||||||||||||||||||||||||||||||||||||||||||||||||||||||||||||||||||||||||||||||||||||||||||||||||||||||||||||||||||||||||||||||||||||||||||||||||||||||||||||||||||||||||||||||||||||||||||||||||||||||||||||||||||||||||||||||||||||||||||||||||||||||||||||||||||||||
계정 기본 정보 | ||||||||||||||||||||||||||||||||||||||||||||||||||||||||||||||||||||||||||||||||||||||||||||||||||||||||||||||||||||||||||||||||||||||||||||||||||||||||||||||||||||||||||||||||||||||||||||||||||||||||||||||||||||||||||||||||||||||||||||||||||||||||||||||||||||||||||||||||||||||||||||||||||||
![]() ʀᴇ⧗Chameleon | ||||||||||||||||||||||||||||||||||||||||||||||||||||||||||||||||||||||||||||||||||||||||||||||||||||||||||||||||||||||||||||||||||||||||||||||||||||||||||||||||||||||||||||||||||||||||||||||||||||||||||||||||||||||||||||||||||||||||||||||||||||||||||||||||||||||||||||||||||||||||||||||||||||
선호 브롤러 및 성장 현황 | ||||||||||||||||||||||||||||||||||||||||||||||||||||||||||||||||||||||||||||||||||||||||||||||||||||||||||||||||||||||||||||||||||||||||||||||||||||||||||||||||||||||||||||||||||||||||||||||||||||||||||||||||||||||||||||||||||||||||||||||||||||||||||||||||||||||||||||||||||||||||||||||||||||
[ 펼치기 · 접기 ] ![]() [ 레온 ]
![]() [ 에드거 ]
![]() [ 파이퍼 ]
![]() [ 콜트 ]
![]() [ 틱 ]
![]() [ 팽 ]
![]() [ 비비 ]
![]() [ 쉘리 ]
![]() [ 리코 ]
![]() [ 베리 ]
![]() [ 맥스 ]
![]() [ 모티스 ]
![]() [ 포코 ]
![]() [ 켄지 ]
![]() [ 스튜 ]
| ||||||||||||||||||||||||||||||||||||||||||||||||||||||||||||||||||||||||||||||||||||||||||||||||||||||||||||||||||||||||||||||||||||||||||||||||||||||||||||||||||||||||||||||||||||||||||||||||||||||||||||||||||||||||||||||||||||||||||||||||||||||||||||||||||||||||||||||||||||||||||||||||||||
기타 | ||||||||||||||||||||||||||||||||||||||||||||||||||||||||||||||||||||||||||||||||||||||||||||||||||||||||||||||||||||||||||||||||||||||||||||||||||||||||||||||||||||||||||||||||||||||||||||||||||||||||||||||||||||||||||||||||||||||||||||||||||||||||||||||||||||||||||||||||||||||||||||||||||||
![]() ![]()
| ||||||||||||||||||||||||||||||||||||||||||||||||||||||||||||||||||||||||||||||||||||||||||||||||||||||||||||||||||||||||||||||||||||||||||||||||||||||||||||||||||||||||||||||||||||||||||||||||||||||||||||||||||||||||||||||||||||||||||||||||||||||||||||||||||||||||||||||||||||||||||||||||||||
![]() ![]()
| ||||||||||||||||||||||||||||||||||||||||||||||||||||||||||||||||||||||||||||||||||||||||||||||||||||||||||||||||||||||||||||||||||||||||||||||||||||||||||||||||||||||||||||||||||||||||||||||||||||||||||||||||||||||||||||||||||||||||||||||||||||||||||||||||||||||||||||||||||||||||||||||||||||
![]() ![]()
| ||||||||||||||||||||||||||||||||||||||||||||||||||||||||||||||||||||||||||||||||||||||||||||||||||||||||||||||||||||||||||||||||||||||||||||||||||||||||||||||||||||||||||||||||||||||||||||||||||||||||||||||||||||||||||||||||||||||||||||||||||||||||||||||||||||||||||||||||||||||||||||||||||||
※ 트로피 개수는 정확한 집계가 아닌 대략적인 값으로, 마지막 편집일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 ↑ 마스터리 골드 III을 달성한 브롤러는 개인적으로 마스터리 칭호를 장착한다.
- ↑ 원래는 가장 좋아하는 레온 21연승이었는데 메그의 하이퍼차지 출시 이후 저티어에서 올리다 보니 레온을 뛰어넘는 연승을 갖게 되었다. 사실 레온 이전에도 버즈 라이트이어 22연승이었지만 삭제되어서 프로필에 뜨지도 않는다.
- ↑ 트루 골드, 하물며 트루 실버라도 보유한 브롤러는 레온이 유일하다.
- ↑ 참고로 레온은 트루 실버/골드와 기간제/단종을 포함해 올스킨이다. 고양이, 상어, 샐리, 트루 실버, 트루 골드, 다이노, 메카(라이트/섀도우), 핼러윈, 하얀 늑대, 늑대인간. 전설 스킨의 팔레트 스왑까지 총 12개. 스킨뿐 아니라 핀도 전부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하이퍼차지 신규 출시 때만 얻을 수 있는 하이퍼차지 아이콘과 핀은 없다. 레온의 하이퍼차지가 출시될 당시엔 게임을 접은 상태였기 때문.
- ↑ 모든 기어를 보유 한 건 레온이 최초이면서 유일하다. 하물며 레온은 신화 기어까지 있는데도.
- ↑ 최초로 골드 III을 달성했다.
원래는 레온이었어야 했는데... - ↑ 참고로
개척자 스킨인 스타 쉘리를 가지고 있다. 스타 쉘리를 안 쓰는 이유는 희소성은 뛰어나지만 반대로 외형은 별로라서.
상세
잼민이 때 한창 하다가 한동안 뜸한 후 군복무 도중 시간 때우기용으로 다시 시작했다.[1]
가장 좋아하는 브롤러는 레온이며, 이에 따라 플레이 타임이나 트로피(24.05.26 기준 약 839개, 26랭크)도 레온이 가장 높다. 계정의 배지도 레온이며 닉네임도 초록색에 Chameleon으로 맞추었다. 이유라면 일단 캐릭터성이나 요구되는 플레이 스타일이 취향과 맞았고, 브롤스타즈를 한창 하던 때 마침 레온이 희대의 OP로 날아다니던 시절이었기 때문이다. 플레이 타임만큼이나 숙련도도 다른 브롤러들과 비교하면 확실히 낫다. 복귀 후 메타에 익숙해지고 많은 브롤러를 함께 키우게 되면서 레온의 트로피나 숙련도가 다른 브롤러에 비해 낮아도 여전히 가장 좋아하는 브롤러다. 단종까지 포함해 올스킨(트루골드 포함), 올핀, 올기어는 레온이 유일하다.
모든 모드 중 가장 인기가 많은 솔로 쇼다운은 그다지 즐기지 않는다. 랜덤이더라도 쇼다운은 대부분 듀오로 하며, 그외에 브롤 볼이나 하이스트와 같은 팀 모드를 좋아하는 편이다. 그중에도 가장 좋아하는 건 브롤 볼이며, 다음으로 하이스트, 클린 아웃, 바운티의 순서다.
원거리 브롤러가 강한 힘을 내는 넓은 맵에서는 레온의 한계를 명확히 느끼고 원거리 브롤러를 한다. 이때는 그때그때 선호에 따라 콜트 또는 파이퍼를 한다. 하이스트처럼 압도적인 딜로 찍어눌러야 할 땐 주로 콜트, 그게 아닌 나머지 경우엔 주로 파이퍼를 하는 편이다.
레온 외에는 에드거에 애정을 느끼고 키우고 있다. 획득한 지 일주일도 채 되지 않아 파워 레벨을 11까지 올렸으니 말이다. 이유라면 역시 레온과 마찬가지로 플레이 스타일이 취향과 맞았다. 그러나 레온보다는 조금 더 적극적으로 전선에 나서서 기습 암살보다는 기습 근접 난전을 벌이는 타입이라, 두 브롤러의 이러한 재미 차이로 번갈아 하고 있다. 레온과 에드거를 보유한 모든 브롤러 중 가장 먼저 파워 레벨 11에 도달하고 하이퍼차지를 보유했다.
경쟁전은 다이아몬드 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다이아몬드를 달성하고부터는 파워 레벨 9 이상의 브롤러가 12명이나 필요하기 때문에 강제로 경쟁전이 봉인되었다. 파워 레벨 9 이상의 브롤러는 현재 8명으로, 8레벨이 4명 이상 있으므로 5000 코인만 있으면 경쟁전을 재개할 수 있다. 하이퍼차지 하나 값이다
레온 다음으로 파이퍼 20랭크를 달성했다. 레온이 모든 브롤러 중 가장 애정하고 대표되는 브롤러라면 파이퍼는 원거리 한정으로 그렇게 될 듯. 특히 자동 조준기 가젯을 획득한 후부터 근접 대응이 수월해지면서 더욱 재미를 붙이게 되었다. 돈을 모으게 되면 남은 가젯과 기어들을 구매하게 될 듯하다. 그러니 어서 파이퍼 하이퍼차지도 출시해달라 사실 캐릭터 매커니즘을 생각하면 참 어려운 개발이긴 할 것 같다
세 번째로 에드거 20랭크를 달성했다. 역시 레온과 유사한 플레이 스타일로 즐기는 것이 재미있어 붙잡게 되었다.
레온이 모든 브롤러 중 압도적인 트로피 수 1위였지만, 24년 5월 3일부로 파이퍼가 레온의 트로피 수를 넘는 일이 발생했다. 레온의 트로피를 올리기 위해 젬 그랩을 했지만 무려 15전 2승 13패라는 기록을 달성하고 반대로 파이퍼는 돌연변이[2]를 획득한 후 승승장구 하고 있기 때문이다.
레온, 에드거, 파이퍼에 이어 콜트도 20랭크를 달성하며 주캐 반열에 올랐다. 하이퍼차지를 비롯한 여러 아이템들을 구매하고 스킨까지 장만하여 전보다 훨씬 자주 기용하고 있다.
의외로 위 넷 다음은 틱이 되었다. 틱 20랭크를 달성하기 전까지 고질라 이벤트로 돌연변이가 한창이었는데, 이때 틱의 돌연변이[3]의 재미를 뒤늦게 깨닫고 틱을 성장시키며 자주 사용한 게 남았기 때문이다. 지금은 돌연변이가 끝났지만 이때 틱을 조금 성장시킨 것이 아깝기도 하고 스로어를 하나 마련해 두고 싶다고도 생각했으며 실제로 틱이 운용 난이도가 낮아 채용하게 된 것이다.
여섯 번째 20랭크[4]는 팽이다. 에드거에 관심을 가졌을 무렵부터 팽도 한번 키워보고 싶다고 생각했었는데, 일단 신화 등급인 데다가 가지고 있지도 않았고 스타 로드에서도 한참 뒤에나 열려서 단념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브롤 패스를 구매해서 보석이 어느 정도 쌓였고 마침 팽이 상점에서 할인하고 있어서 보석을 조금만 더 보태 바로 구매할 수 있었다. 브롤 패스로 넘치게 된 코인으로 레벨을 올리면서 가젯, 기어, 스타 파워도 사고 블링으로는 당시 신규 스킨인 팽가드를 샀다. 한번에 10레벨에 하이퍼차지 제외 풀세트를 맞췄고 트로피가 18랭크쯤에는 코인도 조금 더 보태 11레벨과 하이퍼차지까지 종결시켰다. 확실히 처음 특수 공격을 채우기 힘든 레온이나 특수 공격이 있어도 카운터가 너무 많아 활약하기 힘든 에드거와 달리 다대일 싸움에도 강하고 일대일도 강한 팽은 새로운 재미를 느끼며 요새 가장 자주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는 9레벨 이상 브롤러가 13명이어서 다이아몬드 이상에서도 경쟁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처음 다이아 경쟁전을 했을 땐 우선 너무나도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초기 브롤러 선택이 지겨웠고, 확실히 골드 이하보다 체감적으로 확 올라간 듯한 게임 수준에 적잖이 힘들어하기도 했다. 아마 앞으로 경쟁전은 시간이 많을 때 오래 마음먹고 해야 할 듯싶다.
그냥 갑자기 생각난 건데 브롤스타즈에도 오버워치의 완전난장판 같은 특별 모드가 있었으면 좋겠다.
- 모든 브롤러의 체력 +100%[5]
- 두 가지 스타 파워 효과 동시 적용
- 두 가지 가젯을 횟수 제한 없이 사용 가능
- 가젯의 재사용 대기 시간 6초 → 3초[6]
- 모든 브롤러의 재장전 시간 -50%
상상만 해도 재밌겠다...
2024년 7월 20일에 팽이 모든 브롤러 중 최초로 골드 III을 달성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트로피를 어느 정도 올려놨다가 끔찍한 연패로 100개 이상이 떨어져 오기로라도 복구하기 위해 팽을 계속 플레이하면서 마스터리가 올랐는데, 그러다가 최근 폼이 올랐는지 운이 좋았는지 이번엔 반대로 승승장구로 연승하며 트로피를 900개 이상까지 올리고 마스터리도 그만큼 빠르게 올리게 되었다. 원래는 최초의 골드 III은 레온에게 주고 싶었는데[7] 여러모로 기쁘면서도 아쉽게 됐다.
2024년 8월 10일 드디어 레온도 골드 III을 달성했다. 드디어 그토록 갖고 싶었던 레온의 마스터리 칭호 '은신의 귀재'를 과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날 무슨 일인지 레온 플레이가 잘 풀려서 쉽게 달성할 수 있었다.
이제야 덧붙이는 거지만 모든 플레이를 랜덤큐로만 한다. 경쟁전 신화 III도, 트로피 맥시멈 티어도, 보스전 크레이지 XVI도 모두 랜덤큐로만 달성한 기록들이다. 슬슬 힘에 부치지만 어쩔 수 없다. 그야 주위에 브롤스타즈를 나처럼 깊게 즐기기는커녕 그나마 플레이라도 하는 지인이 한 명도 없다...
2024년 9월 21일에 포코가 첫 30랭크[8]를 달성했다. 하지만 정상적인 방법은 아니고 스폰지밥 파워업을 이용했기 때문에 떳떳한 기록이라고는 할 수 없다. 스폰지밥 파워업 서포터 3레벨을 달성한 후 일부러 포코에게 극도로 유리한 트리오 쇼다운, 핫 존, 5대5 브롤 볼 등에서만 포코를 플레이하여 높은 승률을 보일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모티스가 맥시멈 티어[9]를 달성했다. 물론 모티스도 천사와 악마 이벤트 때 달성한 것이지만 스폰지밥 파워업과 달리 밸런스가 막장인 이벤트는 아니라는 점이 위안이다. 그래도 모티스는 트로피 개편 이후, 즉 1000 트로피까지는 이전보다 더 올리기 쉬워졌을 때 달성했으므로 개편 이전 30랭크만큼의 위상은 없다. 처음 1005를 달성한 그 다음판부터 연패를 박아서 900 초반까지 떨어졌다가 한동안 올리지 못했는데, 이후 다시 연승으로 1010까지 복구하는 데 성공했다.
- ↑ 정확히는 샌디가 신규 브롤러로 출시될 때쯤(2019년 9월 18일) 접었다가 안젤로가 신규 브롤러로 출시될 때쯤(2024년 3월 7일) 다시 시작했다. 약 5년만에 하는 셈이다.
- ↑ 애모 하나에 탄환 두 개를 발사한다. 덕분에 킬 결정력과 DPS가 확 치솟았다.
- ↑ 특수 공격을 사용하면 머리 폭탄이 3개가 생성된다. 돌연변이 중에도 손에 꼽을 정도로 사기로 여겨지며 실제로 돌연변이 틱이 한번 특수 공격을 충전하면 그때부터 판의 흐름이 일방적으로 흐르는 경우가 잦다.
- ↑ 이제는 "20랭크 달성"이라는 게 "주력 브롤러로 결정"과 동의어가 되어 버렸다.
- ↑ 쇼다운 파워 큐브 상자를 제외한 소환물 등도 전부.
- ↑ 대신 이 경우 릴리의 증발 가젯은 무한정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외적으로 그림자 세계에서 나올 때 재사용 대기 시간 적용
- ↑ 실제로 이 시기 레온도 마스터리가 골드 II에 22400쯤이라 얼마 안 남긴 했었다.
- ↑ 트로피 시스템 개편 이후 맥시멈 티어
- ↑ 트로피 시스템 개편 이전 30랭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