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사상

분류:
 

[ 창작 · 기여 ]
[ 연구 · 개발 ]
[ 관련 문서 ]

MBTI


16 Personalities
성격 유형 검사
정신  에너지  본성  전술  자아

외향형 68%
32% 내향형
직관형 77%
23% 현실주의형
사고형 25%
75% 감정형
계획형 33%
67% 탐색형
확신형 11%
89% 민감형
ENFP-T
재기발랄한 활동가, 스파크형

(2023년 12월 19일 검사)
선호 지표의 비교
E 외향 Extrovert
외부 · 표출
내향 Introvert
내면 · 생각
I
S 감각 Sensing
현실 · 실용 · 실천
직관 iNtuition
이상 · 이론 · 예측
N
T 사고 Thinking
논리 · 사실판단
감정 Feeling
인간관계 · 가치판단
F
J 판단 Judging
목적 · 계획 · 절차
인식 Perceiving
자율성 · 유동성
P
[ 4가지 선호 지표에 대한 설명 ]
  • 외향형 (Extraversion)
    • 폭넓은 대인관계를 유지하며 사교적이며 정열적이고 활동적이다.
      • 자기 외부에 주의를 집중함.
      • 외부활동과 적극성.
      • 정열적이고 활동적임.
      • 글보다는 말로 표현하는 편.
      • 경험한 다음에 이해함.
      • 쉽게 알려지는 편.
  • 직관형 (iNtuition)
    • 영감에 의존하며 미래지향적이고 가능성과 의미를 추구하며 신속, 비약적으로 일처리한다.
      • 미래 가능성에 초점.
      • 아이디어 중시.
      • 신속하고 비약적인 일처리.
      • 비유적, 암시적 묘사.
      • 나무보다 숲을 보려는 경향.
      • 씨앗을 뿌림.
  • 감정형 (Feeling)
    • 사람과 관계에 주 관심을 갖고 상황적이며 정상을 참작한 설명을 한다.
      • 사람, 관계가 주관심사.
      • 의미와 영향을 중시.
      • 상황적, 포괄적.
      • 좋고 나쁨(선악).
      • 나에게 주는 의미를 중시함.
      • 우호적 협조.
  • 인식형 (Perceiving)
    • 목적과 방향은 변화 가능하고 상황에 따라 일정이 달라지며 자율적이고 융통성이 있다.
      • 상황에 맞추는 개방성이 있음.
      • 이해로써 수용함.
      • 유유자적한 과정.
      • 융통과 적응.
      • 목적과 방향은 변화할 수 있다는 개방성.
      • 재량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포용성.
기능의 서열
순서 기능 설명
주 기능 Ne 외향 직관
연관성이 희박한 여러 항목의 연결 고리를 찾아내거나 발산적이고 자유로운 상상, 개방적 사고에 뛰어난 편임
부 기능 Fi 내향 감정
내면의 자아를 탐구하고 스스로의 진정성을 보유, 개개인의 가치와 개성을 중요시하는 데에 가장 두각을 드러냄
3차 기능 Te 외향 사고
뚜렷하고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일을 추진하거나 스스로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에 큰 어려움을 겪음
열등 기능 Si 내향 감각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안정적인 선택을 하거나 기존에 반복되던 전통의 가치를 존중하는 데에 서투른 편임
[ 각 기능의 우위 결정 ]
  • MBTI에서는 어떠한 정보를 인식(INPUT)하거나 판단(OUTPUT)하는 방식 차이를 토대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 ENFP는 인식기능이 N(직관), 판단기능이 F(감정)이므로 (자주 쓰는) 주/부기능이 직관 기능과 감정 기능이 된다.
  • 또한, ENFP는 P(인식)유형이기 때문에 인식 기능을 외향으로, 판단 기능을 내향으로 쓴다.[1] 그러므로 주/부기능이 외향 직관(Ne)내향 감정(Fi)이 된다.
  • 마지막으로, ENFP는 E(외향)유형이므로 주기능이 외향 기능이 된다. 따라서, 주기능이 Ne, 부기능이 Fi가 되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3차 및 4차 기능은 각각 부기능과 주기능의 반대인 Te, Si가 된다.
Ne · Ni | Fe · Fi | Te · Ti | Se · Si

성 갈등

여러모로 안타깝다. 현재 한국의 성 갈등은 대다수의 정치인과 언론에 의해 불난 집에 부채질한 꼴이다.

결론만 말하자면 페미니즘도 아니고 안티 페미니즘도 아니다. 세상엔 여성 차별·혐오도, 남성 차별·혐오도 만연하다고 생각한다. 말은 번지르르하지만 그냥 무책임한 중립 기어라는 뜻이다.

취향

음악

장르로는 발라드, 어쿠스틱, 팝, 뉴에이지, 에픽 오케스트라, 아트코어 등을 좋아하고 락, 힙합, 헤비메탈 등을 꺼린다.

가사가 있는 노래 중엔 발라드 등의 한국 가요, 시티팝, 제이팝, 애니메이션 음악(주제가) 등을 좋아하고 힙합, 랩 등을 꺼린다.[2]

특히 한국 노래보단 일본 노래를 좋아하는 편인데, 일본의 밴드 음악이나 싱어송라이터들을 좋아한다. 요아소비, 아이묭, 요루시카, 스다 마사키, 호시노 겐, 백 넘버, Novelbright, Mrs. GREEN APPLE, RADWIMPS, SEKAI NO OWARI 등. 힘차고 쾌청한 느낌의 곡이든 잔잔하고 고요한 곡이든 제이팝이라면 대부분 가리지 않고 좋아한다. 제이팝 이외에도 애니메이션 주제가나 우타이테, 보컬로이드 쪽도 좋아하는 걸 보면 그냥 오타쿠답게 음악 취향도 그쪽으로 빠진 듯싶다.

가사가 없는 음악 중엔 뉴에이지, 아트코어 등을 좋아한다. 이쪽은 좋아하는 작곡가도 있는데, a-hisa, Plum, Sereno다.

일본 서브컬처

일본의 서브컬처, 즉 오타쿠 문화를 좋아한다.

 자세한 내용은 김찬/사상/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종교

없다. 예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거기다 신의 존재 자체를 믿지 않는 무신론자.

사실 무신론보단 무지론에 가까울지도 모르겠는데, 종교에서 숭배하는 신의 개념은 믿지도 수용하지도 않지만 그것이 아닌 자연을 초월한 어떤 미지의 무언가가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 정도는 염두에 두고 있다. 피라미드를 비롯한 세계 7대 불가사의나 현대 과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수많은 수수께끼의 현상들이 아직도 이 세계에 만연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은 대부분 추후 과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규명될 가능성이 높지만, 그때가 되면 더 많은 수수께끼들이 생겨날지도 모른다.

또한 귀신, 유령 등의 영적 존재는 믿지 않지만 저승이나 사후세계의 개념 자체는 믿는다. 그 존재를 믿는 게 아니다.

종교와는 조금 무관할지도 모르겠지만 외계인(인류 외의 지구 밖 행성의 지성체 문명)의 존재는 강력히 믿는다. 아무 근거도 없지만 만일 이 우주에 지성을 가진 생명체가 이룬 문명이 지구의 인류뿐이라면 그건 너무나도 심각한 공간 낭비다.

  1. MBTI에서의 마지막 지표 J/P는 각각 (외향)판단형과 (외향)인식형을 의미한다. 따라서, J유형은 내향인식/외향판단, P유형은 외향인식/내향판단 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눈여겨볼 점은 인식/판단 기능 지표가 같아도 마지막 지표의 차이로 인해 사용하는 기능이 아예 반대가 된다.
  2. 싫어하는 편은 아니다. 사실 장르 자체가 싫다기보단 본인과 가장 심하게 틀어진 사람 중 한 명이 그쪽 관련 종사자이기 때문이 좀 더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