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七星高等學校
![]() |
---|
[ 펼치기 · 접기 ]
|
[ 언어별 명칭 ]
| ||||
칠성고등학교 七星高等學校 Chilsung Highschool | ||||
---|---|---|---|---|
![]() | ||||
[ 다른 표지 및 로고 ]
| ||||
장르 | 액션, 이능력 배틀, 성장, | |||
운영진 | 주요 운영진을 비롯한 모든 러너[4] | |||
러닝 기간 | 2021년 1월 3일 ~ 2021년 9월 14일(본편) 2023년 11월 28일 ~ 2024년 10월 19일(re) | |||
[ 시즌별 ]
| ||||
엔딩 | [ 본편 ]
| |||
[ 리메이크 ]
| ||||
플랫폼 | 카카오스토리(팀봇) | |||
상징색 | #00BEFF
| |||
문서수 | 417개 (제이위키)[7] |
![]() ![]() | |||||||
개장일로부터 | 엔딩일로부터 | ||||||
---|---|---|---|---|---|---|---|
D+1570 | D+1316 | ||||||
2021.1.3 | 2021.9.14 | ||||||
[ 리메이크 ]
|
개요
캐치프레이즈
칠성고등학교는 2021년 1월 3일부터 2021년 9월 14일까지 진행되었던 카카오스토리 팀봇이다.
장르
- 액션
아래의 이능력 배틀과 맞물려 팀봇의 주된 양상이 러너 측과 빌런 측의 대립이며 이에 따라 전투 역극이 거의 매 스토리 진행마다 필수적으로 나온다. - 이능력 배틀
애초에 팀봇의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설정이 이능력이다. 팀봇에는 원소계 키네시스처럼 단순하고 흔한 이능력부터 미네르바 토너먼트나 사상의 척도와 같은 독특하고 복잡한 이능력 등 사람의 머릿수만큼 다양한 이능력이 등장하고, 그런 이능력자들이 각자의 신념과 정의를 이루기 위해 싸운다. - 성장
러너, 즉 팀봇의 주인공 세력으로 볼 수 있는 이들이 아직 미성숙한 고등학생들이며, 이들이 사선을 넘나들고 세계의 운명과 존치를 건 싸움을 겪고 이겨 나가면서 신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성장하고 성숙해지는 과정이 그려진다. 연애
오히려 전쟁통에 사랑이 더 꽃핀다고,사실 그런 건 아무 상관없고 그냥 오너들의 가십거리일 뿐이지만학생들 상호 간에 커플이 많고 커플이든 솔로든 사랑 얘기에 관해 평균적으로 모두 흥미가 많은 편이다.
시즌
- 칠성고등학교 시즌 1
- 칠성고등학교 시즌 2
- 칠성고등학교 시즌 3
- 칠성고등학교 외전: 忘雄
- 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
- 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
- 칠성고등학교: Second Chance
칠성고등학교: Third Order[8]칠성고등학교: 아타락시아[9]
위 목록은 개장 순서이며, 시간 순서 상으로는 외전 → 1기(FC) → 2기(SC) → 3기 → 4기이다. 외전에서 12년 뒤가 1기, 1기에서 1년 뒤가 2기, 2기에서 5년 뒤가 3기이며 3기와 4기는 같은 연도다.
리메이크 시즌인 FC는 1기와 같은 배경이며 SC는 2기와 같다. 즉 FC와 SC는 마찬가지로 1년의 차이가 난다. 하지만 외전과 1기는 12년 차이인 데 반해 외전과 FC는 6년 차이다. 리메이크되면서 설정이 다소 바뀐 듯하다.
엔딩
리메이크
줄거리
설정
등장인물
등장 세력
총괄진
소위 '호미'[10]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총괄진은 총괄과 그외로 나뉘며, 스토리 진행에 NPC로 한 번이라도 참여하여 스토리 진행을 주도한 적이 있는 모든 이들을 말한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닉네임이 아니라 어떤 캐릭터의 오너인지만 기재한다.
주요 운영진 | 본편 | |
---|---|---|
리메이크 | ||
그외 |
|
리메이크, 특히 그중 러닝 기간이 길었던 세컨드 찬스에서는 총괄 계정의 프로필 사진이 어두운 밤하늘이었기 때문에 총괄이나 호미보다 '깜하(까만 하늘)'라고 더 많이 불렸다. 아예 엔딩 후기에서 총괄진이 본인들을 이렇게 칭했을 정도.
평가
3.67 | ★★★★★ |
별점 부여하러 가기 |
기여자
주니
팀봇을 직접 뛴 참여자들, 즉 러너들의 평이 매우 좋은 편에 속한다. 이야기 전개의 어색함[11], 운영진의 사소한 갈등으로 인한 진행 저속화[12], 특정 인물 편향[13] 등 비판할 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압도적으로 긍정적인 평가가 절대다수다.
패러디
작품 속에 많은 패러디가 나온다. 오마주 수준부터 표절 수준까지 다양하다. 아래는 사례.
- 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유성 폭격 편에서 김영희가 개화하는 장면이 주술회전에서 고등학생인 고죠 사토루가 후시구로 토우지와 싸우다가 각성하게 되는 장면과 비슷하다.
명대사
갤러리
테마곡
기타
- 칠성고등학교는 카카오스토리에서 팀봇으로 진행되었고 총괄진에서 위키를 적극 이용하거나 홍보한 것도 아니므로 사실상 이 '칠성고 위키'는 단지 러너 중 한 명의 팬심에서 비롯한 아카이브일 뿐이지만, 그래도 위키가 팀봇 및 세계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사례가 없지는 않다.
둘러보기
김찬 기여 작품 | ||||||||||||||||
---|---|---|---|---|---|---|---|---|---|---|---|---|---|---|---|---|
[ 대표 팀봇 ]
[ 그외 세계관 ]
| ||||||||||||||||
창작 작품 보러가기 |
- ↑ 원래 고등학교는 High School로 띄어써야 하지만 팀봇 이름은 붙여 쓴다.
- ↑ 현재 로고는 칠성고등학교: First Children부터 사용되었다.
- ↑ 현재 메인 표지는 First Children 계정의 프로필 사진이다.
- ↑ 운영진을 팀봇 연출에 가담하여 스토리를 조정한 사람으로 본다면 말 그대로 러너 모두가 동시에 운영진이다. 이는 굵직한 스토리를 기획하고 구상한 실 운영진들의 노고가 크다.
- ↑ 마지막 스토리 진행 종료 기준이며 완전한 운영 종료는 2024년 3월 4일이다.
- ↑ 마지막 스토리 진행 종료 기준이며 에필로그 및 완전한 운영 종료는 2024년 10월 26일이다.
- ↑ 작성해야 할 문서까지 더하면 이보다 많다.
- ↑ 개장 예정 없음.
- ↑ 정규 시즌이 아니며 개장된 적 없음.
- ↑ 밭을 갈 때 사용하는 그 호미. 팀봇이라는 밭을 직접 일구고 갈기 때문에 지어졌다. '운영진에 뛰어든다' 또는 '스토리 진행에 NPC로 참여한다'는 말을 '호미를 쥔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 ↑ 사실 이건 운영진이 전문 시나리오 작가가 아니므로 당연히 생길 수밖에 없는 문제다. 오히려 반대로 아마추어끼리 기획한 이야기가 이 정도라는 점이 놀라울 정도. 애초에 영화나 드라마 시나리오를 전문으로 쓰는 각본가는 있을 수 있어도 카카오스토리 팀봇을 위한 전문 시나리오 작가라는 직업이 있을 리가 없다.
- ↑ 특히 칠성고등학교 시즌 4: Finale는 이로 인해 1부와 2부가 나뉘었으며 그 사이 공백 기간이 무려 한달 가까이 되었다.
- ↑ 주로 운영진 또는 그와 가까운 지인의 캐릭터. 그러나 이도 팀봇의 편하고 유려한 진행을 위해 어느 정도 불가피한 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