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신단님이 연습장:Country 문서를 연습장:신단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style="background:#f2f2f2;color:#191919;" width="25%" |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국기.png|100px|가운데]][[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가장 고귀한 연방)|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 style="background:#f2f2f2;color:#191919;" width="25%" |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국기.png|100px|가운데]][[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가장 고귀한 연방)|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
! style="background:#f2f2f2;color:#191919;" width="25%" | [[파일:우크라이나 공화국_국기.png|100px|가운데]][[우크라이나 (가장 고귀한 연방)|우크라이나 공화국]] | ! style="background:#f2f2f2;color:#191919;" width="25%" | [[파일:우크라이나 공화국_국기.png|100px|가운데]][[우크라이나 (가장 고귀한 연방)|우크라이나 공화국]] | ||
! style="background:#f2f2f2;color:#191919;" width="25%" | [[파일:벨라루스의 국기.png|100px|가운데]][[벨라루스 | ! style="background:#f2f2f2;color:#191919;" width="25%" | [[파일:벨라루스의 국기.png|100px|가운데]][[벨라루스 (가장 고귀한 연방)|벨라루스]] | ||
! style="background:#f2f2f2;color:#191919;" width="25%" | [[파일:발트 연방공화국 국기.png|100px|가운데]][[발트 연방공화국 (가장 고귀한 연방)|발트 연방공화국]] | ! style="background:#f2f2f2;color:#191919;" width="25%" | [[파일:발트 연방공화국 국기.png|100px|가운데]][[발트 연방공화국 (가장 고귀한 연방)|발트 연방공화국]] | ||
|- | |-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 | |- | ||
|} | |} | ||
== | == 발트 == | ||
{{글 숨김}} | {{글 숨김}} | ||
{{가장 고귀한 연방}} | [[분류:가장 고귀한 연방]][[분류:설정]]{{틀:가장 고귀한 연방}} | ||
---- | |||
{{미엔지모제 가입국 (가장 고귀한 연방)}} | |||
{{나무위키 국가 정보 | {{나무위키 국가 정보 | ||
| 너비 = 450px | | 너비 = 450px | ||
| 테두리 색 = # | | 테두리 색 = #000 | ||
| 틀 색 = # | | 틀 색 = #fff | ||
| 글씨 색 = # | | 글씨 색 = #000 | ||
| 국명 = | | 국명 = 발트 연방공화국 | ||
| 원어명 = | | 원어명 = Baltijas Federatīvā Republika<nowiki> | </nowiki>Baltimaade Liitvabariik | ||
| 국기 = | | 국기 = 발트 연방공화국 국기.png | ||
| 국기 크기 = 170px | | 국기 크기 = 170px | ||
| 국장 = | | 국장 = 발트 연방공화국 국장.png | ||
| 국장 크기 = 120px | | 국장 크기 = 120px | ||
| 범례 너비 = 30% | | 범례 너비 = 30% | ||
| 범례 배경 색 = #ffffff | | 범례 배경 색 = #ffffff | ||
| 범례 글씨 색 = # | | 범례 글씨 색 = #000 | ||
| 모토 = | | 모토 = Savienība, Cilvēki, Valsts<br>Liit, Rahvas, Riik<br>연합, 국민, 조국 | ||
| 국가 = [[ | | 국가 = [[발트 연방공화국의 국가 (가장 고귀한 연방)|일어나라, 발트여]] [https://www.youtube.com/watch?v=mYvG2PR9a-I] | ||
| 국화 = | | 국화 = 데이지 | ||
| 국조 = | | 국조 = 제비 | ||
| 지도 = | | 지도 = 발트판도.png | ||
| 역사 = | | 역사 = | ||
* 폴로츠크 공국 987년 | * 폴로츠크 공국 987년 | ||
55번째 줄: | 57번째 줄: | ||
| 총 인구 = 4,349,645명 | | 총 인구 = 4,349,645명 | ||
| 인구 밀도 = 45 | | 인구 밀도 = 45 | ||
| 민족 구성 = | | 민족 구성 = 벨라루스인 91.5%, 러시아인 5.7%, 우크라이나인 1.6%, 기타 1.2% | ||
| 출산율 = 1.51명 | | 출산율 = 1.51명 | ||
| 평균 수명 = | | 평균 수명 = 74.13세 | ||
| 기대 수명 = | | 기대 수명 = 74.13세 | ||
| 공용어 =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 | 공용어 =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 ||
| 지역어 = 폴란드어, 우크라이나어, 이디시어 | | 지역어 = 폴란드어, 우크라이나어, 이디시어 | ||
79번째 줄: | 81번째 줄: | ||
| 정치 체제 = 이원집정부제, 양원제, 단일국가, 공화제, 대륙법계 | | 정치 체제 = 이원집정부제, 양원제, 단일국가, 공화제, 대륙법계 | ||
| 민주주의 지수 = 167개국 중 '''51위''' (결함있는 민주주의) | | 민주주의 지수 = 167개국 중 '''51위''' (결함있는 민주주의) | ||
| 여당 = [[ | | 여당 = [[발트 사회민주당 (가장 고귀한 연방)|발트 사회민주당]] | ||
| 신임과 보완 = [[ | | 신임과 보완 = [[발트농민연합 (가장 고귀한 연방)|발트농민연합]] | ||
| 원내 야당 = [[ | | 원내 야당 = [[발트 중앙당 (가장 고귀한 연방)|발트 중앙당]], [[단결! (가장 고귀한 연방)|단결!]], [[기독보수당 (가장 고귀한 연방)|기독보수당]] | ||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체제 |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체제 | ||
| 총 GDP PPP = $ | | 총 GDP PPP = $873억 2,790만 | ||
| 1인당 GDP PPP = $ | | 1인당 GDP PPP = $20,077 | ||
| 총 GDP 명목 = $ | | 총 GDP 명목 = $853억 6,410만 | ||
| 1인당 GDP 명목 = $ | | 1인당 GDP 명목 = $19,626 | ||
| 수입 = $ | | 수입 = $255.3억 | ||
| 수출 = $ | | 수출 = $287.4억 | ||
| 외환 보유고 = $ | | 외환 보유고 = $83억 | ||
| 신용 등급 = | | 신용 등급 = Moody's A3<br>S&P A+<br>Fitch A- | ||
| 화폐 = | | 화폐 = 유로 | ||
| ISO4217 = | | ISO4217 = Euro, € | ||
| 법정 연호 = 서력기원 | | 법정 연호 = 서력기원 | ||
| 시간대 = UTC+ | | 시간대 = UTC+2 '''(발트 표준시)''' | ||
| 도량형 = SI 단위 | | 도량형 = SI 단위 | ||
| ccTLD = . | | ccTLD = .ba | ||
| 국가 코드 = | | 국가 코드 = 112, BA, BAL | ||
| 전화 코드 = + | | 전화 코드 = +428 | ||
| 대한수교현황 = 1950년 수교 | | 대한수교현황 = 1950년 수교 | ||
| 유엔가입 = 1948년 | | 유엔가입 = 1948년 | ||
| 무비자입국 = 양국 모두 90일 | | 무비자입국 = 양국 모두 90일 | ||
| 주한대사관 = 서울특별시 | | 주한대사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br>이태원로 45길 51 | ||
}} | }} | ||
{{글 숨김 끝}} | {{글 숨김 끝}} | ||
== 총리 목록 == | == 총리 목록 == | ||
{ | {{틀:역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총리 (가장 고귀한 연방)}} | ||
{| class="wikitable" | |||
|- | |- | ||
! 국왕 이름 !! 생몰년도 !! 제위 기간 | |||
|- | |- | ||
| | | 지그문트 2세 || 1520 ~ 1572 || 1548 ~ 1572 | ||
|- | |- | ||
| | | 피요르트 1세 || 1548 ~ 1632 || 1572 ~ 1632 | ||
| | |||
|- | |- | ||
| | | 브와디스와프 4세 || 1599 ~ 1650 || 1632 ~ 1650 | ||
|- | |- | ||
| | | 얀 2세 야기엘론치크 || 1623 ~ 1668 || 1650 ~ 1668 | ||
|- | |- | ||
| | | 얀 3세 올브라흐트 || 1647 ~ 1696 || 1668 ~ 1696 | ||
| | |||
| | |||
|- | |- | ||
| | | 루드비히 1세 || 1671 ~ 1733 || 1696 ~ 1733 | ||
|- | |- | ||
| | | 아우구스트 2세 || 1695 ~ 1756 || 1733 ~ 1756 | ||
|- | |- | ||
| | | 아우구스트 3세 || 1734 ~ 1783 || 1756 ~ 1783 | ||
| | |||
| | |||
|- | |- | ||
| | | 루드비히 2세 || 1752 ~ 1815|| 1783 ~ 1815 | ||
|- | |- | ||
| | | 아우구스트 4세 || 1776 ~ 1836 || 1815 ~ 1836 | ||
| | |||
| | |||
|- | |- | ||
| | | 루드비히 3세 || 1799 ~ 1854 || 1836 ~ 1854 | ||
|- | |- | ||
| | | 지그문트 3세 || 1823 ~ 1871|| 1854 ~ 1871 | ||
|- | |- | ||
| | | 브와디스와프 5세 || 1846 ~ 1907 || 1871 ~ 1907 | ||
| | |- | ||
| | | 카지미에시 5세 || 1872 ~ 1946 || 1907 ~ 1946 | ||
| | |||
|- | |- | ||
| | | 루드비히 4세 || 1895 ~ 1993 || 1946 ~ 1993 | ||
|- | |- | ||
| | | 피요르트 2세 || 1956 ~ 현재 || 1993 ~ 현재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1209f; width: 100%; text-align: center" | |||
| style="color: #ffd745;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51440 0%, #01209f 20%, #01209f 80% , #051440);" | '''[[파일:디제스포이아 심볼.png|75px|link=디제스포이아]] <br>디제스포이아 공화국 제11차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정 고등 역사 교과서''' | |||
|- | |- | ||
| | | colspan="11"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51440 0%, #01209f 20%, #01209f 80% , #051440);" | | ||
<div class="mw-customtoggle-desespoiahistory"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color:#ffd745;"><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desespoiahistory"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 |- | ||
| colspan=" | | colspan="1" rowspan="2" style="background: #FFFFFF; color: #1F2024" | <span style="font-size: 9.5pt">국가<br>형성기</span> | ||
| colspan="10" style="background: #ffd745; color: #01209f" | '''[[디제스포이아 왕정국|{{글씨 색|#01209f|서프루시아족}}]]''' | |||
|- | |- | ||
| | | colspan="10" style="background: #ffd745; color: #01209f" | '''[[디제스포이아 왕정국|{{글씨 색|#01209f|서프루시아 공국}}]]''' | ||
| | |||
|- | |- | ||
| | | colspan="1" rowspan="3" style="background: #FFFFFF; color: #1F2024" | <span style="font-size: 9.5pt">왕국<br>시대</span> | ||
| colspan="10" style="background: #ffd745; color: #01209f" | '''[[디제스포이아 왕정국|{{글씨 색|#01209f|서프루시아 왕국}}]]''' | |||
| | |||
|- | |- | ||
| | | colspan="10" style="background: #b00000; color: #fff" | '''[[디제스포이아 왕정국|{{글씨 색|#fff|피루스 왕조}}]]''' | ||
| | |||
|- | |- | ||
| | | colspan="10" style="background: #01209f; color: #ffd745" | '''[[디제스포이아 왕정국|{{글씨 색|#ffd745|디제스포이아 왕정국}}]]''' | ||
|- | |- | ||
| | | colspan="1" rowspan="2" style="background: #FFFFFF; color: #1F2024" | <span style="font-size: 9.5pt">혁명<br>시대</span> | ||
| colspan="5" style="background: #01209f; color: #ffd745" | '''[[디제스포이아 왕정국|{{글씨 색|#ffd745|디제스포이아 왕정국}}]]''' | |||
| | | colspan="5" style="background: #01209f; color: #ffd745" | '''[[디제스포이아 제1공화국|{{글씨 색|#ffd745|디제스포이아 공화정부}}]]''' | ||
| | |||
|- | |- | ||
| | | colspan="10" rowspan="2" style="background: #01209f; color: #ffd745" | '''[[디제스포이아 제1공화국|{{글씨 색|#ffd745|디제스포이아 제1공화국}}]]''' | ||
|- | |- | ||
| colspan=" | | colspan="1" rowspan="3" style="background: #FFFFFF; color: #1F2024" | <span style="font-size: 9.5pt">근대<br>시대</span> | ||
|- | |- | ||
| | | colspan="10" style="background: #01209f; color: #ffd745" | '''[[디제스포이아 제2공화국|{{글씨 색|#ffd745|디제스포이아 제2공화국}}]]''' | ||
| | |||
|- | |- | ||
| | | colspan="5" style="background: #01209f; color: #ffd745" | '''[[디제스포이아 제2공화국|{{글씨 색|#ffd745|디제스포이아 제2공화국}}]]''' | ||
| colspan="5" style="background: #ec1920; color: #ffd745" | '''[[디제스포이아 노동자 공화국|{{글씨 색|#ffd745|디제스포이아 노동자 공화국}}]]''' | |||
| | |||
|- | |- | ||
| | | colspan="1" rowspan="3" style="background: #FFFFFF; color: #1F2024" | <span style="font-size: 9.5pt">현대<br>시대</span> | ||
| | | colspan="10" style="background: #01209f; color: #ffd745" | '''[[디제스포이아 제3공화국|{{글씨 색|#ffd745|디제스포이아 제3공화국}}]]''' | ||
| | |- | ||
| | | colspan="10" style="background: #ffd745; color: #01209f" | '''[[디제스포이아 군사혁명정부|{{글씨 색|#01209f|디제스포이아 군사혁명정부}}]]''' | ||
|- | |||
| colspan="10" style="background: #01209f; color: #ffd745" | '''[[디제스포이아|{{글씨 색|#ffd745|디제스포이아 제4공화국}}]]''' | |||
|- | |- | ||
|-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 {{나무위키 구 국가 정보 | ||
| 너비 = 450px | |||
| 테두리 색 = #01209f | |||
| 틀 색 = #01209f | |||
| 글씨 색 = #ffd745 | |||
| 국명 = 디제스포이아 왕정국 | |||
| 원어명 = Royaume de Désespoia | |||
| 국기 = 디제스포이아 왕정기.png | |||
| 국기 크기 = 150px | |||
| 국장 = 디제스포이아 왕정장.png | |||
| 국장 크기 = 100px | |||
| 모토 = Loyauté éternelle à Sa Majesté le Roi<br>국왕 폐하에 대한 영원한 충성심 | |||
| 성립 계기 = 건국 | |||
| 멸망 계기 = 디제스포이아 10월 혁명 | |||
| 성립 전 국가 = 피루스 왕조 | |||
| 멸망 후 국가 = [[디제스포이아 제1공화국|{{글씨 색|#01209f|디제스포이아 공화정부}}]] | |||
| 지도 = 디제스포이아 지도.png | |||
| 범례 너비 = 40% | |||
| 범례 배경 색 = #01209f | |||
| 범례 글씨 색 = #ffd745 | |||
| 존속 기간 = B.R. 566년(B.R. 837년) ~ A.R. 1년 9월 21일 | |||
| 국가 = 왕국 찬가 | |||
| 국화 = 금잔화 | |||
| 역사 = | |||
* 서프루시아 공국 B.R. 837년 | |||
* 생활권 확보 전쟁 B.R. 726년 ~ B.R. 705년 | |||
* 서프루시아 왕국 선포 (루멜른 왕조) B.R. 698년 | |||
* 피루스 왕조 (슈제친 왕조) B.R. 633년 | |||
* 디제스포이아 왕조 (제비꽃 반정) B.R. 566년 | |||
* 신앙 혁명 B.R. 542년 | |||
* 장미 정변 B.R. 481년 | |||
* 대륙 전쟁 B.R. 457년 ~ B.R. 426년 | |||
* 코스모스 정변 B.R. 399년 | |||
* 남부 생활권 확장전쟁 B.R. 376년 ~ B.R. 374년 | |||
* 동부 농민 대봉기 B.R. 368년 ~ B.R. 359년 | |||
* 금잔화 정변 B.R. 359년 | |||
* 디제스포이아 - 디셉션 왕조 성립 B.R. 358년 | |||
* 신앙 보호 전쟁 (신성 전쟁) B.R. 332년 ~ B.R. 315년 | |||
* 세베로슐리펜 병합 B.R. 311년 | |||
* 알바진 강 분쟁 B.R. 284년 ~ B.R. 276년 | |||
* 동부 대토벌 B.R. 223년 ~ B.R. 201년 | |||
* 대환국 B.R. 199년 ~ B.R. 193년 | |||
* 디제스포이아 - 베스트메르센 전쟁 B.R. 166년 ~ B.R. 150년 | |||
* 수도 이전 B.R. 144년 | |||
* 화폐 개혁 B.R. 129년 | |||
* 절망의 해 (대흉년) B.R. 111년 | |||
* 전인민 대봉기 B.R. 111년 ~ B.R. 83년 | |||
* 세베로슐리펜 상실 B.R. 92년 | |||
* 피의 수요일 B.R. 53년 | |||
* 대타협 B.R. 44년 | |||
* 디제스포이아 10월 혁명 B.R. 6년 | |||
* 디제스포이아 혁명전쟁 B.R. 6년 ~ B.R. 1년 | |||
* 공화정부 수립 A.R. 1년 | |||
| 위치 = 라테시아 대륙 | |||
| 수도 = 아로전스 (Arrogance) <sub>B.R. 566년 ~ B.R. 144년</sub><br>리그레티아 (Regretia) <sub>B.R. 144년 ~ B.R. 1년</sub><br>불명 <sub>B.R. 1년 ~ A.R. 1년</sub> | |||
| 면적 = 698,700km² | |||
| 총 인구 = 약 4,000만 명 | |||
| 민족 = 서프루시아족, 라이치인, 벨루아인 등 | |||
| 공용어 = 서프루시아어 | |||
| 공용 문자 = 로만 문자 | |||
| 국교 = 코렐교 (Colère) | |||
| 종교 = 코렐교 97%, 무종교·기타 3% | |||
| 군대 = 왕립 디제스포이아군 | |||
| 연호 = 서력 기원 | |||
| 정치 체제 = 전제군주제 | |||
| 국가 원수 명칭 = 국왕 | |||
| 국가 원수 = 오빌리상스 6세 (Obéisance VI) | |||
| 입법부 = 삼부회 | |||
| 여당 = {{정당 둥근상자|'''충성파'''|#ffd745|#01209f}} | |||
| 통화 = 디제스포이아 큐피디트<br>Désespoia Cupidité | |||
| 현재 국가 = [[디제스포이아|디제스포이아 공화국]] | |||
}} | |||
{{목차}} | |||
== 개요 == | |||
디제스포이아 왕정국 (Royaume de Désespoia)는 B.R. 566년<ref>디제스포이아 왕조 수립</ref>(B.R. 837년)<ref>서프루시아 공국 수립</ref>부터 A.R. 1년 까지 현재의 [[디제스포이아|디제스포이아 공화국]] 위치에 존재했던 전제군주국이다. | |||
== 역사 == | |||
=== 제비꽃 반정 이전 === | |||
현재의 디제스포이아 일대에 최초로 사람이 살기 시작했던것은 대략 B.R. 2700년대로 추정된다. 이후 이지역의 토착민족인 프로플족(Propre)이 라테시아 대륙 중앙에 살던 프루시아족과 피가 섞이면서 서프루시아인으로 분화되며 본격적인 디제스포이아의 역사가 시작되게 된다. | |||
서프루시아족은 그 뿌리가 본래 프루시아족에 있는 만큼 기존의 프루이아족과 매우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이후 대륙 중서부에 프루시아인 민족국가인 프루센 왕국(Royaume de Prussen)이 수립되자 프루센 왕국의 봉신국이자 위성국의 개념으로 B.R. 837년 서프루시아 공국(Duché de Ouestprussia)<ref>본래 서프루시아어에서는 서쪽을 뜻하는 전치사로 de l'Ouest 라는 표현을 쓰지만 (ex:서부 영토/Territoires de l'Ouest) 남부 슈제친족의 침공을 받아 성립된 피루스 왕조 이전의 고프루시아어의 흔적으로 인해 Ouestprussia라는 단어를 고유명사로써 현재까지 사용한다</ref>이 세워졌다. 서프루시아 공국은 서부 해안가를 기점으로 점차 그 세력을 키워나갔고 북부의 산악 프로플족을 복속시키며 영토를 확장시켰다. 그러던 와중 프루센 왕국이 동부의 라이치족(현재 메르센 연방의 주류민족)과의 전쟁으로 인해 점차 쇠약해지자 서프루시아 공국은 프루센 왕국을 배신하고 왕국의 서부를 침공, 생활권 확보 전쟁을 일으킨다. | |||
대략 20년간 진행된 전쟁으로<ref>실질적으로는 5~7년 정도 진행되었으나 이후로도 확장정책이 지속되었기에 20년 가량으로 서술한다</ref> 공국의 영토는 많이 확대되었으며 이후 프루센 왕국이 멸망하자 서프루시아 공국의 루테르 공작은 스스로를 국왕으로 선포하고 (루멜른 왕조) 서프루시아를 왕국으로 격상시키니 B.R. 698년의 일이였다. 루테르 공작의 왕국 선포 이후 서프루시아 왕국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봉건제가 완전히 뿌리내렸고 현대 디제스포이아 행정구역의 기초가 되는 5주(州)를 설치하여 미래 중앙집권의 디초를 닦았다. 그러나 오랜기간 이어진 평화는 왕국의 국방 침체시켰고 결국 서프루시아 왕국은 남부 슈제친족의 대대적인 침공을 받아 멸망하고 이민족 왕조인 피루스 왕조 (슈제친 왕조)가 서프루시아에 들어서게 된다. (B.R. 633년) | |||
피루스 왕조와 남부 슈제친족(이하 슈제친족)은 매우 잔학하고 폭압적인 통치를 자행했다. 그들은 국가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군대로 만들었으며 통치에 반대하는 서프루시아인들의 반발을 기마병과 창칼을 이용하여 무참히 짖밟았다. 대략 B.R. 300년대 쯤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피루스 왕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디제스포이아의 국민소설 '모험가의 노래 (Chanson de l'aventurier)'에서는 이 시기의 참상이 날것으로 들어나는데 이는 상당히 수위가 높기 때문에 본 위키에 자세히 서술한다면 제재를 받을 수 있어 자세히 서술할 수 없다. 간략히 서술하자면 물고문을 비롯한 여러 끔찍한 고문들이 왕조에 대항하는 저항군에게 자행되었으며 태형등의 모욕적인 처분과 대규모의 화형등이 집행된 것으로 묘사된다<ref>그렇기에 해당 소설은 상당 부분이 검열 혹은 순화 된 판인 일명 '흑색본'(까맣게 칠해졌다 = 검열되었다 라는 뜻)이 주로 유통되고 있다</ref>. 물론 이 책은 디제스포이아 왕조시기에 집필되었고 피루스 왕조 멸망 이후 200여년이 자나서 쓰여진 글이기에 형평성 및 진실성에 대한 의문이 존재하나 완전히 근거가 없지는 않다는 점에서<ref>저자인 레비앙 차지먼트(Rêvéang Changement)의 선조인 루니아 차지먼트(Lunea Changement)는 실제로 피루스 왕조에 맞서 싸운 저항군 출신이고 모험가의 노래는 그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ref> 실제로 이런 잔혹한 고문이 자행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 |||
슈제친족의 가혹한 통치는 일시적으로 그 효과를 보였다. 도심지의 반대자들은 숲과 산으로 그 자취를 감추었고 그저 술집에서의 푸념만이 거리를 떠돌아 다녔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통치는 결코 오래가지 못했다. 애초에 유목 민족 계열이였던 그들은 이런 거대한 국가를 통치하는데에 있어서 그 취약함을 드러냈고 산지에서, 동굴에서 저항세력은 점차 그 힘을 키워가고 있었다. B.R. 600년대 후반부터 왕국 북부를 중심으로 점차 저항의 불꽃이 그동안 쌓여있던 분노를 뚫고 서서히 퍼지기 시작했다. 저항의 불꽃은 머지않아 거대한 들불이 되어 온 국토를 뒤덮었고 분노한 민중의 들불은 침략자이자 수탈자인 슈제친족을 향했다. 지방 군 조직이 붕괴되고 수도인 라피티디아(L'appétidia)에 까지 그 불길이 번져오기 시작하자 당시 라피티디아 서부 리퓨시티니아(Refusitinia) 일대의 호족이였던 큐피디트 디제스포이아(Cupidité Désespoia)<ref>디제스포이아 왕정국의 통화인 큐피디트의 어원이다</ref>는 피루스 왕조에 대항하는 반정을 기획하기 시작하였고 마침내 이를 시행하기에 이른다. | |||
=== 제비꽃 반정과 대륙 전쟁=== | |||
B.R. 566년 큐피디트 디제스포이아는 자기 휘하의 군대를 이끌고 시엘피트 강 (Rivière Cielpuits)을 건너 라피티디아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예상치 못한 서부에서의 공격에 성벽은 금세 허물어졌고<ref>야사에는 당시 국왕이였던 셰질린 3세(Chagrin III)가 서부에서 나타난 군대를 자신들을 도우러 온줄 알고 성문을 열었으나 무참히 학살당했다고 전해진다</ref> 셰질린 3세가 화형에 처해지고 큐피디트 디제스포이아가 스스로를 큐피디트 1세 (Cupidité I)로 선포하면서 피루스 왕조가 끝이나고 디제스포이아 왕조가 도래하게 된다(제비꽃 반정). | |||
=== 코스모스 정변과 동부 농민 대봉기=== | |||
=== 금잔화 정변과 세베로슐리펜 병합 === | |||
=== 알바진 강 분쟁과 쇠퇴 === | |||
=== 혁명과 내전 그리고 멸망 === | |||
{{글 숨김}} | |||
== 국민희망연합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0; max-width: 450px; min-width: 500px; float: r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 #fff" | <big>2034년 대한민국 혁명</big><br>2034년 대한민국 정치위기 <nowiki>|</nowiki> 2034년 죽창혁명<br> | |||
|- | |- | ||
| colspan="2"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죽창혁명1.jpg|width=100%]]</div></center> | |||
|- | |- | ||
| | | align=center colspan="2" style="font-size:8pt" | 5월 25일 대통령실로 향하는 시위대 | ||
|- | |- | ||
| | | colspan="2"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죽창혁명2.jpg|width=100%]]</div></center> | ||
|- | |- | ||
| | | align=center colspan="2" style="font-size:8pt" | 불타는 미래로민주당 당사 | ||
|- | |- | ||
| | | colspan="2"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죽창혁명3.jpg|width=100%]]</div></center> | ||
|- | |- | ||
| | | align=center colspan="2" style="font-size:8pt" | 찢어진 모 육군부대의 태극기 | ||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 #fff" | 날짜 | ||
|- | |- | ||
| | | align=center colspan="2" | [[2034년]] [[5월 23일]] ~ [[2034년]] [[7월 7일]] | ||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 #fff" | 장소 | ||
|- | |- | ||
| | | align=center colspan="2" | [[대한민국]] 전역 | ||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 #fff" | 원인 | ||
|- | |- | ||
| | | align=center colspan="2" |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대표되는 경제불안과 사회 양극화, 불평등<br>문재윤 정부 이후 강화된 인터넷 검열<br>윤석연 정부, 박주명 정부의 불통<br>이대남 세대의 여당과 박주명 정부에 대한 불만<br>젠더갈등, 세대갈등, 계층갈등 등 사회 전반의 분열 | ||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 #fff" | 교전 세력 | ||
|- | |- | ||
| | | align=center | [[파일:플로라 의정부상징.svg|25px]] 박주명 정부<br>[[파일:국방부기.png|25px]] 대한민국 국방부<br>[[파일:대한민국 경찰 참수리.svg|25px]] 대한민국 경찰청 | ||
| align=center | 시위대 | |||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 #fff" | 지휘관 | ||
|- | |- | ||
| | | align=center | [[파일:대한민국 대통령기.png|25px]] 박주명<br>[[파일:국방부기.png|25px]] 서진국<br>[[파일:대한민국 경찰 참수리.svg|25px]] 장광희 | ||
| align=center | 이현국 <br> 곽도혁 |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 | |||
| style="background-color:# | {{글 숨김 끝}} | ||
== ???? == | |||
{| class ="wikitable" style="width: 400px; border: 2px solid #1d2088; font-size: 10pt;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ydp |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파일:태극기.png|25px|border]] '''대한민국의 특별시''' | |||
|- |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 |||
{|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1px; font-size: 10pt;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border: 9px solid #fff" | |||
| width="46%" style="background:#fff; color: #fff;text-align: left" | '''[[파일:충주시 로고.png|x65px|오른쪽]]''' | |||
| width="64%" style="background:#fff; color:#000; text-align: left" | <big><big>'''충주특별시'''</big></big><br><div style="margin: -4px 0px">忠州特別市<br><small><div style="margin: -8px 0px">Chungju Metropolitan Government</small></div> | |||
|- | |||
|} | |||
|- |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div style="margin: -5.0px -9.0px">{{#multimaps: 36.990695, 127.925967 | height = 150px}}</div> | |||
|- |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시청 소재지''' | |||
| colspan="2" style="width: 7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글씨 색|#337AB7|중구 세종대로}} 110 ({{글씨 색|#337AB7|태평로1가}}) | |||
|- |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하위 행정구역''' | |||
| colspan="2" style="width: 7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32구 | |||
|- |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면적''' | |||
| colspan="2" style="width: 7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983.48㎢ | |||
|- |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인구''' | |||
| colspan="2" style="width: 7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10,451,700명 | |||
|- |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인구밀도''' | |||
| colspan="2" style="width: 7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10,627.26명/㎢ | |||
|- |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시장''' | |||
| style="width: 25%;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국민의힘}} | |||
| style="width: 45%;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글씨 색|#337AB7|조길형}} <small>(3선)</small><ref>연속적인 임기로만 따지면 초선. 재선 임기 중 {{글씨 색|#337AB7|2011 충주특별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가 {{글씨 색|#337AB7|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다시 당선되어 3선이다. 따라서 {{글씨 색|#337AB7|2022년}} 및 {{글씨 색|#337AB7|2026년}} 선거에도 출마 가능.</ref> | |||
|- |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교육감''' | |||
|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둥근상자|진보|#FFFFFF|#79d2cc|#79d2cc}} | |||
| style="width: 4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글씨 색|#337AB7|김병우}} <small>(3선)</small> | |||
|- | |- | ||
| colspan="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국회의원''' | ||
<div class="mw-customtoggle- | | colspan="2" style="font-weight:" |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 | <div class="mw-customtoggle-Elaina2"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Elaina2"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 |||
|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small>{{더민주}}</small> | |||
| style="width: 4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국민의힘}}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정의당}}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민생당}}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무소속}}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 |} | ||
|- | |- |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시의회''' | |||
| colspan="2" style="font-weight:" | | |||
<div class="mw-customtoggle-Elaina0"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Elaina0"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 |||
|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small>{{더민주}}</small> | |||
| style="width: 4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국민의힘}}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정의당}}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민생당}}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무소속}}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 |} | ||
|- | |- |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구청장''' | |||
| colspan="2" style="font-weight:" | | |||
<div class="mw-customtoggle-Elaina3"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Elaina3"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 |- | ||
|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small>{{더민주}}</small> | |||
| style="width: 4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국민의힘}}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정의당}}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민생당}}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무소속}}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석 | ||
|- | |- | ||
|} | |||
|- | |- | ||
| | | rowspan="3" style="width: 15%;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상징''' | ||
| style="width: 15%;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시화''' | |||
| colspan="2" style="width: 7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국화 | |||
|- | |||
| style="width: 15%;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시목''' | |||
| colspan="2" style="width: 7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사과나무 | |||
|- | |||
| style="width: 15%;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시조''' | |||
| colspan="2" style="width: 7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원앙 | |||
|- |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지역번호''' | |||
| colspan="2" style="width: 7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02''' | |||
|- | |||
| colspan="2" style="width; 30%; 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1d2088;" | '''ISO 3166-2''' | |||
| colspan="2" style="width: 70%; 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KR-11''' | |||
|} | |||
== 르메이 == | |||
== 민국 38 == | |||
{{글 숨김}} | |||
[[분류:민국 38]][[분류:설정]]{{민국 38}} | |||
---- | |||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c9151e; max-width: 450px; width: 450px; float: right" | |||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c9151e; color:#000;" | '''<big>국민파</big>'''<br>홍콩자주연맹<br>國民派 <nowiki>|</nowiki> 香港解放聯盟<br>The Nationalists <nowiki>|</nowiki> The Union of Hong Kong Liberationists | ||
| | |||
|- | |- | ||
| colspan="4" width=30% style="background:#fff" | [[파일:국민파.png|200px]] | |||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표어''' | |||
| colspan=" | | colspan="2" align=left | '''祖國和自由是我們的生命<br>조국과 자유는 우리의 생명''' | ||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활동 지역''' | |||
| colspan=" | | colspan="2" align=left | {{국기나라|홍콩 (민국 38)}}<br>{{국기나라|중화민국 (민국 38)}} [[광둥성 (민국 38)|광둥성]] 남부 | ||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결성''' | |||
| colspan=" | | colspan="2" align=left | [[1993년]] [[9월 24일]] | ||
|- | |- | ||
! colspan=" | ! rowspan="2"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성격''' | ||
| colspan="2" align=left | <del>해방군</del><sup>(자칭)</sup>, <del>호국군</del><sup>(자칭)</sup> | |||
|- | |- | ||
| colspan="2" align=left | 정치깡패, 삼합회, 불법무장단체 | |||
| colspan=" | |||
|- | |- | ||
! colspan=" | ! rowspan="2"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이념''' | ||
| colspan=" | | colspan="2" align=left | <del>홍콩 민족주의</del><sup>(자칭, ~ 1998)</sup><br><del>홍콩 독립</del><sup>(자칭, ~ 1998)</sup><br><del>자유민주주의</del><sup>(자칭, ~ 1998)</sup><br><del>풀뿌리 민주주의</del><sup>(자칭, ~ 1998)</sup> | ||
|- | |- | ||
| colspan="2" align=left | 국수주의<br>우익대중주의<br>인종주의<br>혐중·혐한·혐북(혐 아시아)<br><del>친일</del> → 혐일<ref>기존에는 동아시아 국가들 중 중국과 가장 거리감이 있는 [[남일본 (민국 38)|남일본]]의 우익세력들과의 연계가 있다는 의심을 받았으며 당시 수장 린페이가 난징대학살을 부정하는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었으나 2004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이 국민파를 비판하며 선을긋자 반일로 돌아섰고 이후 2008년 일본인 관광객 납치사건 당시 인질 3명 중 1명을 살해하고 2명에게 중상을 입힌 이후로 혐일로 돌아섰다.</ref> | |||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설립자''' | |||
| colspan=" | | colspan="2" align=left | 샤오쥔 | ||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수장''' | |||
| colspan="2" align=left | 샤오쥔<sup>(1대, 사망)</sup><br>린페이<sup>(2대, 사형)</sup><br>장야오윈<sup>(3대, 수감)</sup><br>가오카싱<sup>(4대, 현임)</sup> | |||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우호단체''' | |||
| colspan=" | | colspan="2" align=left | [[공민역량 (민국 38)|공민역량]]<sup>( ~ 1999)</sup> | ||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적대단체</small>''' | |||
| colspan=" | | colspan="2" align=left | [[중화민국 (민국 38)|중화민국 행정원]]<br>중화민국 경찰<br>[[홍콩 (민국 38)|홍콩특별행정구 행정부]]<br>홍콩특별행정부 경찰<br>[[홍콩 보수당 (민국 38)|홍콩 보수당]]<br>[[홍콩민주연맹 (민국 38)|홍콩민주연맹]]<br>[[공민역량 (민국 38)|공민역량]] | ||
{{구분선1}} | |||
중국 본토 삼합회<br>광둥 삼합회<br>대만 삼합회 | |||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주요 사건''' | |||
| colspan=" | | colspan="2" align=left | 1997년 홍콩 반환 반대운동<br>1999년 중국인 피랍사건<br>2000년 한국인 납치사건<br>2003년 퉁치화 행정장관 암살미수 사건<br>2004년 홍콩 보수당 당사 테러미수 사건<br>2008년 일본인 관광객 납치사건<br>2009년 광둥 항쟁<ref>일본에서 들여온 명칭으로 여기서 항쟁은 민중혁명이 아닌 폭력조직간의 패싸움을 의미한다</ref><br>2010년 홍콩민주연맹 북구 지역당원 폭행사건<br>2011년 개리 판 공민역량 대표 저격 미수사건<br>2019년 쌍십절 반중 폭동 | ||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SNS''' | |||
| colspan="2" align=left | [[파일:트위터 아이콘.png|21px|link=]] <ref>2017년 영구정지</ref> | |||
|- | |- | ||
| colspan="2" width=30% style="background:#f5f5f5; color:#000;" | '''테러 지정''' | |||
| colspan=" | | colspan="2" align=left | [[중화민국 (민국 38)|중화민국]]<sup>(본토, [[홍콩 (민국 38)|홍콩]], [[마카오 (민국 38)|마카오]])</sup>, [[대한민국 (민국 38)|대한민국]], [[일본국 (민국 38)|일본국]], [[일본인민공화국 (민국 38)|일본인민공화국]], [[베트남 (민국 38)|베트남]], [[필리핀]], [[미국]] : 다음 국가는 이 단체를 테러조직으로 간주함 | ||
|- | |- | ||
|} | |} | ||
{{목차}} | {{목차}} | ||
== 개요 == | == 개요 == | ||
{{youtube|5x8ert-y6ys}} | |||
'''국민파(國民派, The Nationalists)''' 혹은 이전명칭 홍콩자주연맹 (香港解放聯盟, The Union of Hong Kong Liberationists)은 홍콩의 정치깡패, 삼합회의 일부로 홍콩에서 가장 악명높은 최대의 삼합회이다. 현재 중화민국 행정원과 홍콩특별행정구 행정부, 마카오특별행정구 행정부, 광둥성 정부, 타이완 자치성 정부등에 의해 범죄조직으로 지정되어 있다. | |||
== 상세 == | |||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0; max-width: 450px; min-width: 450px; float: right; text-align: center"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 #fff" | <big>1968년 중국 민주항쟁</big><br>1968年民主運動<br>Democratic Protest in 1968 | |||
|- | |||
| colspan="2"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중국68혁명.png|width=100%]]</div></center> | |||
|- | |||
| colspan="2" | 장제스의 독재에 반대하는 우한시내의 시위대 | |||
|- | |||
| colspan="2"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중국68혁명2.jpg|width=100%]]</div></center> | |||
|- | |||
| colspan="2" | 난징 총통부로 향하는 시위대 | |||
|- | |||
| colspan="2" | <center><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중국68혁명3.jpg|width=100%]]</div></center> | |||
|- | |||
| colspan="2" | 경찰과 충돌하는 시위대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fff;" | '''날짜''' | |||
|- | |||
| colspan="2" text-align=center | [[1968년]] [[6월 11일]] ~ [[1968년]] [[7월 13일]]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fff;" | '''장소''' | |||
|- | |||
| colspan="2" text-align=center | [[중국 (민국 38)|중국]] 전역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fff;" | '''원인''' | |||
|- | |||
| colspan="2" text-align=center | 장제스 총통의 편법을 이용한 4선연임과 독재<br>국민당의 장기집권과 부패<br>유럽 유학생들의 귀국으로 인한 자유주의 기조의 확산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fff;" | '''시위당사자''' | |||
|- | |||
| colspan="1" width=50% text-align=center | [[파일:중화민국의 국기.png|25px|link=]] 중화민국 제1공화국<br>[[파일:중화민국의 통합 군기.png|20px|link=]] 중화민국 국군<br>[[파일:중국 국가공안국 로고.png|20px|link=]] [[중화민국 국가공안국 (민국 38)|중국 국가공안국]]<br>[[파일:중화민국 경찰의 문장.png|20px|link=]] 중국 경찰<br>[[파일:중화민국의 국휘.png|20px|link=]] 장제스 정부<br>[[파일:중국 국민당의 문장.png|20px|link=]] [[중국 국민당 (민국 38)|중국국민당]] | |||
| colspan="1" width=50% text-align=center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fff;" | '''지휘관''' | |||
|- | |||
| colspan="1" width=50% text-align=center | - | |||
| colspan="1" width=50% text-align=center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fff;" | '''참여 인원''' | |||
|- | |||
| colspan="1" width=50% text-align=center | - | |||
| colspan="1" width=50% text-align=center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fff;" | '''인적 피해''' | |||
|- | |||
| colspan="1" width=50% text-align=center | - | |||
| colspan="1" width=50% text-align=center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fff;" | '''결과''' | |||
|- | |||
| colspan="2" text-align=center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000; color:#fff;" | '''영향''' | |||
|- | |||
| colspan="2" text-align=center | - | |||
|- | |||
|} | |||
{{글 숨김 끝}} | {{글 숨김 끝}} | ||
== 각주 == | == 각주== |
2022년 10월 19일 (수) 23:49 기준 최신판
![]() |
발트
총리 목록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총리 | ||||||||||||||||||||||||||||||||||||||||||||||||||||||||||||||||||||||||||||||||||||||||||||||||||||||||||||||||
[ 펼치기 · 접기 ]
|
국왕 이름 | 생몰년도 | 제위 기간 |
---|---|---|
지그문트 2세 | 1520 ~ 1572 | 1548 ~ 1572 |
피요르트 1세 | 1548 ~ 1632 | 1572 ~ 1632 |
브와디스와프 4세 | 1599 ~ 1650 | 1632 ~ 1650 |
얀 2세 야기엘론치크 | 1623 ~ 1668 | 1650 ~ 1668 |
얀 3세 올브라흐트 | 1647 ~ 1696 | 1668 ~ 1696 |
루드비히 1세 | 1671 ~ 1733 | 1696 ~ 1733 |
아우구스트 2세 | 1695 ~ 1756 | 1733 ~ 1756 |
아우구스트 3세 | 1734 ~ 1783 | 1756 ~ 1783 |
루드비히 2세 | 1752 ~ 1815 | 1783 ~ 1815 |
아우구스트 4세 | 1776 ~ 1836 | 1815 ~ 1836 |
루드비히 3세 | 1799 ~ 1854 | 1836 ~ 1854 |
지그문트 3세 | 1823 ~ 1871 | 1854 ~ 1871 |
브와디스와프 5세 | 1846 ~ 1907 | 1871 ~ 1907 |
카지미에시 5세 | 1872 ~ 1946 | 1907 ~ 1946 |
루드비히 4세 | 1895 ~ 1993 | 1946 ~ 1993 |
피요르트 2세 | 1956 ~ 현재 | 1993 ~ 현재 |
???
![]() 디제스포이아 공화국 제11차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정 고등 역사 교과서 | |||||||||||||||||||||||||||||||||||||||||||||||||||||||||||||||||||||||||||||||||||||||||||||||||||||||||||||||||||||||||||||||||||||||
[ 펼치기 · 접기 ]
|
Royaume de Désespoia | ||||
![]() |
![]() | |||
---|---|---|---|---|
국기 | 국장 | |||
Loyauté éternelle à Sa Majesté le Roi 국왕 폐하에 대한 영원한 충성심 | ||||
B.R. 566년(B.R. 837년) ~ A.R. 1년 9월 21일 | ||||
상징 | ||||
국가 | 왕국 찬가 | |||
금잔화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아로전스 (Arrogance) B.R. 566년 ~ B.R. 144년 리그레티아 (Regretia) B.R. 144년 ~ B.R. 1년 불명 B.R. 1년 ~ A.R. 1년 | ||||
698,700km² | ||||
라테시아 대륙 | ||||
인문환경 | ||||
약 4,000만 명 | ||||
서프루시아족, 라이치인, 벨루아인 등 | ||||
서프루시아어 | ||||
코렐교 (Colère) | ||||
코렐교 97%, 무종교·기타 3% | ||||
왕립 디제스포이아군 | ||||
서력 기원 | ||||
정치 | ||||
전제군주제 | ||||
(국가 원수) |
오빌리상스 6세 (Obéisance VI) | |||
삼부회 | ||||
충성파 | ||||
경제 | ||||
디제스포이아 큐피디트 Désespoia Cupidité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디제스포이아 왕정국 (Royaume de Désespoia)는 B.R. 566년[1](B.R. 837년)[2]부터 A.R. 1년 까지 현재의 디제스포이아 공화국 위치에 존재했던 전제군주국이다.
역사
제비꽃 반정 이전
현재의 디제스포이아 일대에 최초로 사람이 살기 시작했던것은 대략 B.R. 2700년대로 추정된다. 이후 이지역의 토착민족인 프로플족(Propre)이 라테시아 대륙 중앙에 살던 프루시아족과 피가 섞이면서 서프루시아인으로 분화되며 본격적인 디제스포이아의 역사가 시작되게 된다.
서프루시아족은 그 뿌리가 본래 프루시아족에 있는 만큼 기존의 프루이아족과 매우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이후 대륙 중서부에 프루시아인 민족국가인 프루센 왕국(Royaume de Prussen)이 수립되자 프루센 왕국의 봉신국이자 위성국의 개념으로 B.R. 837년 서프루시아 공국(Duché de Ouestprussia)[3]이 세워졌다. 서프루시아 공국은 서부 해안가를 기점으로 점차 그 세력을 키워나갔고 북부의 산악 프로플족을 복속시키며 영토를 확장시켰다. 그러던 와중 프루센 왕국이 동부의 라이치족(현재 메르센 연방의 주류민족)과의 전쟁으로 인해 점차 쇠약해지자 서프루시아 공국은 프루센 왕국을 배신하고 왕국의 서부를 침공, 생활권 확보 전쟁을 일으킨다.
대략 20년간 진행된 전쟁으로[4] 공국의 영토는 많이 확대되었으며 이후 프루센 왕국이 멸망하자 서프루시아 공국의 루테르 공작은 스스로를 국왕으로 선포하고 (루멜른 왕조) 서프루시아를 왕국으로 격상시키니 B.R. 698년의 일이였다. 루테르 공작의 왕국 선포 이후 서프루시아 왕국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봉건제가 완전히 뿌리내렸고 현대 디제스포이아 행정구역의 기초가 되는 5주(州)를 설치하여 미래 중앙집권의 디초를 닦았다. 그러나 오랜기간 이어진 평화는 왕국의 국방 침체시켰고 결국 서프루시아 왕국은 남부 슈제친족의 대대적인 침공을 받아 멸망하고 이민족 왕조인 피루스 왕조 (슈제친 왕조)가 서프루시아에 들어서게 된다. (B.R. 633년)
피루스 왕조와 남부 슈제친족(이하 슈제친족)은 매우 잔학하고 폭압적인 통치를 자행했다. 그들은 국가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군대로 만들었으며 통치에 반대하는 서프루시아인들의 반발을 기마병과 창칼을 이용하여 무참히 짖밟았다. 대략 B.R. 300년대 쯤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피루스 왕조 시기를 배경으로 한 디제스포이아의 국민소설 '모험가의 노래 (Chanson de l'aventurier)'에서는 이 시기의 참상이 날것으로 들어나는데 이는 상당히 수위가 높기 때문에 본 위키에 자세히 서술한다면 제재를 받을 수 있어 자세히 서술할 수 없다. 간략히 서술하자면 물고문을 비롯한 여러 끔찍한 고문들이 왕조에 대항하는 저항군에게 자행되었으며 태형등의 모욕적인 처분과 대규모의 화형등이 집행된 것으로 묘사된다[5]. 물론 이 책은 디제스포이아 왕조시기에 집필되었고 피루스 왕조 멸망 이후 200여년이 자나서 쓰여진 글이기에 형평성 및 진실성에 대한 의문이 존재하나 완전히 근거가 없지는 않다는 점에서[6] 실제로 이런 잔혹한 고문이 자행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슈제친족의 가혹한 통치는 일시적으로 그 효과를 보였다. 도심지의 반대자들은 숲과 산으로 그 자취를 감추었고 그저 술집에서의 푸념만이 거리를 떠돌아 다녔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통치는 결코 오래가지 못했다. 애초에 유목 민족 계열이였던 그들은 이런 거대한 국가를 통치하는데에 있어서 그 취약함을 드러냈고 산지에서, 동굴에서 저항세력은 점차 그 힘을 키워가고 있었다. B.R. 600년대 후반부터 왕국 북부를 중심으로 점차 저항의 불꽃이 그동안 쌓여있던 분노를 뚫고 서서히 퍼지기 시작했다. 저항의 불꽃은 머지않아 거대한 들불이 되어 온 국토를 뒤덮었고 분노한 민중의 들불은 침략자이자 수탈자인 슈제친족을 향했다. 지방 군 조직이 붕괴되고 수도인 라피티디아(L'appétidia)에 까지 그 불길이 번져오기 시작하자 당시 라피티디아 서부 리퓨시티니아(Refusitinia) 일대의 호족이였던 큐피디트 디제스포이아(Cupidité Désespoia)[7]는 피루스 왕조에 대항하는 반정을 기획하기 시작하였고 마침내 이를 시행하기에 이른다.
제비꽃 반정과 대륙 전쟁
B.R. 566년 큐피디트 디제스포이아는 자기 휘하의 군대를 이끌고 시엘피트 강 (Rivière Cielpuits)을 건너 라피티디아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예상치 못한 서부에서의 공격에 성벽은 금세 허물어졌고[8] 셰질린 3세가 화형에 처해지고 큐피디트 디제스포이아가 스스로를 큐피디트 1세 (Cupidité I)로 선포하면서 피루스 왕조가 끝이나고 디제스포이아 왕조가 도래하게 된다(제비꽃 반정).
코스모스 정변과 동부 농민 대봉기
금잔화 정변과 세베로슐리펜 병합
알바진 강 분쟁과 쇠퇴
혁명과 내전 그리고 멸망
????
![]() | |||||||||||||
| |||||||||||||
지도를 불러오는 중... | |||||||||||||
시청 소재지 | 중구 세종대로 110 (태평로1가) | ||||||||||||
하위 행정구역 | 32구 | ||||||||||||
면적 | 983.48㎢ | ||||||||||||
인구 | 10,451,700명 | ||||||||||||
인구밀도 | 10,627.26명/㎢ | ||||||||||||
시장 | 조길형 (3선)[9] | ||||||||||||
교육감 | 진보 | 김병우 (3선) | |||||||||||
국회의원 |
[ 펼치기 · 접기 ]
| ||||||||||||
시의회 |
[ 펼치기 · 접기 ]
| ||||||||||||
구청장 |
[ 펼치기 · 접기 ]
| ||||||||||||
상징 | 시화 | 국화 | |||||||||||
시목 | 사과나무 | ||||||||||||
시조 | 원앙 | ||||||||||||
지역번호 | 02 | ||||||||||||
ISO 3166-2 | KR-11 |
르메이
민국 38
각주
- ↑ 디제스포이아 왕조 수립
- ↑ 서프루시아 공국 수립
- ↑ 본래 서프루시아어에서는 서쪽을 뜻하는 전치사로 de l'Ouest 라는 표현을 쓰지만 (ex:서부 영토/Territoires de l'Ouest) 남부 슈제친족의 침공을 받아 성립된 피루스 왕조 이전의 고프루시아어의 흔적으로 인해 Ouestprussia라는 단어를 고유명사로써 현재까지 사용한다
- ↑ 실질적으로는 5~7년 정도 진행되었으나 이후로도 확장정책이 지속되었기에 20년 가량으로 서술한다
- ↑ 그렇기에 해당 소설은 상당 부분이 검열 혹은 순화 된 판인 일명 '흑색본'(까맣게 칠해졌다 = 검열되었다 라는 뜻)이 주로 유통되고 있다
- ↑ 저자인 레비앙 차지먼트(Rêvéang Changement)의 선조인 루니아 차지먼트(Lunea Changement)는 실제로 피루스 왕조에 맞서 싸운 저항군 출신이고 모험가의 노래는 그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 ↑ 디제스포이아 왕정국의 통화인 큐피디트의 어원이다
- ↑ 야사에는 당시 국왕이였던 셰질린 3세(Chagrin III)가 서부에서 나타난 군대를 자신들을 도우러 온줄 알고 성문을 열었으나 무참히 학살당했다고 전해진다
- ↑ 연속적인 임기로만 따지면 초선. 재선 임기 중 2011 충주특별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가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다시 당선되어 3선이다. 따라서 2022년 및 2026년 선거에도 출마 가능.
- ↑ 기존에는 동아시아 국가들 중 중국과 가장 거리감이 있는 남일본의 우익세력들과의 연계가 있다는 의심을 받았으며 당시 수장 린페이가 난징대학살을 부정하는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었으나 2004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이 국민파를 비판하며 선을긋자 반일로 돌아섰고 이후 2008년 일본인 관광객 납치사건 당시 인질 3명 중 1명을 살해하고 2명에게 중상을 입힌 이후로 혐일로 돌아섰다.
- ↑ 일본에서 들여온 명칭으로 여기서 항쟁은 민중혁명이 아닌 폭력조직간의 패싸움을 의미한다
- ↑ 2017년 영구정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