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슬란드: 두 판 사이의 차이

 
587번째 줄: 587번째 줄:
| 171석
| 171석
|-
|-
| style=" background-color: #333574; color: #fff;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FFF; " |'''대의원 의장<br>(President of the Grand Council)'''
| style=" background-color: #333574; color: #fff;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FFF; " |'''참의원 의장<br>(President of the Grand Council)'''
| 스티브 제프리스<br>{{진보당 (프리슬란드)}}
| 스티브 제프리스<br>{{진보당 (프리슬란드)}}
|-
|-
605번째 줄: 605번째 줄:
'''[[자유국 참의원]](Freestate Grand Council)'''은 자유국의 양원 중 상원으로서, 매 3년마다 치러지는 자유국 총선거에서 전체 의석 171석 중 1/2를 선출한다.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를 대표하는 기관이므로, 의석 배분은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 인구에 관계 없이,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주]]당 5석씩을 배정받고, [[1630년]]의 [[자유주 헌법|개혁 헌법]]에 따라 주는 아니지만, 중앙행정구인 [[레이크사이드 C.D.]] 또한 한명의 상원 의원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렇게 선거로 구성된 [[자유국 참의원]]은 개회와 동시에 의원 한 명을 투표하여 [[자유국 참의원 의장|참의원 의장]]을 선출하게 되는데, [[1630년]] 이전까지는 관례적으로 말루스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 출신 대의원 의원중 하나가 맡았고, [[자유국 헌법|개혁 헌법]] 발효 이후에는 [[레이크사이드 C.D.]]의 참의원 의원이, 당적이 다수당이라는 전제 하에 맡는 것이 관례 아닌 관례가 되어있다. 부의장의 역할은 소수당 원내대표가 맡는다. [[1630년]] 이전까지, 대의원 의원은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 의회들에서 간접 선출하였으나, 이후 주 시민의 직선으로 바뀌었다. 선거권의 경우 만 20세 이상 모든 시민권자 성인에게 주어지며, 피선거권은 만 30세 이상, 자유국 국내에서 5년 이상 거주한 시민권자 성인에게 주어진다.
'''[[자유국 참의원]](Freestate Grand Council)'''은 자유국의 양원 중 상원으로서, 매 3년마다 치러지는 자유국 총선거에서 전체 의석 171석 중 1/2를 선출한다.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를 대표하는 기관이므로, 의석 배분은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 인구에 관계 없이,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주]]당 5석씩을 배정받고, [[1630년]]의 [[자유주 헌법|개혁 헌법]]에 따라 주는 아니지만, 중앙행정구인 [[레이크사이드 C.D.]] 또한 한명의 상원 의원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렇게 선거로 구성된 [[자유국 참의원]]은 개회와 동시에 의원 한 명을 투표하여 [[자유국 참의원 의장|참의원 의장]]을 선출하게 되는데, [[1630년]] 이전까지는 관례적으로 말루스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 출신 대의원 의원중 하나가 맡았고, [[자유국 헌법|개혁 헌법]] 발효 이후에는 [[레이크사이드 C.D.]]의 참의원 의원이, 당적이 다수당이라는 전제 하에 맡는 것이 관례 아닌 관례가 되어있다. 부의장의 역할은 소수당 원내대표가 맡는다. [[1630년]] 이전까지, 대의원 의원은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 의회들에서 간접 선출하였으나, 이후 주 시민의 직선으로 바뀌었다. 선거권의 경우 만 20세 이상 모든 시민권자 성인에게 주어지며, 피선거권은 만 30세 이상, 자유국 국내에서 5년 이상 거주한 시민권자 성인에게 주어진다.


[[자유국 참의원]]의 주요한 권한은 [[프리슬란드 자유국군|군대]]의 파병이나 [[자유국 행정부|연방 행정부]] 등 연방 정부 관료의 임면에 대한 청문과 동의, 외국과의 조약에 대한 승인 (단, 조약이 완전히 발효되기 위해서는 [[자유국 대표원|하원]]의 동의가 필수이다), [[계엄령]] 선포에 대한 동의 등, 자유국 전체를 아우르는 사안에 대한 권한을 독점하고 있다. [[자유국 대표원|대표원]]에서 탄핵소추한 관료에 대한 탄핵심리 또한 [[자유국 참의원|참의원]]이 맡는다. 이외에도 [[자유국 대표원]]과 동일하게 법안을 발의하고 처리할 수 있으나, 모든 법안은 양원의 동의를 필요로 하므로 [[자유국 참의원|상원]]에서 발의되어 통과된 법안은 반드시 [[자유국 대표원|하원]]의 동의를 얻어내야 한다. 이외에도, 세입, 세출 등 예산 법률에 대한 발의는 할 수 없고, [[자유국 대표원|하원]]에서 통과되어 올라온 예산 법률에 대한 수정 및 동의, 혹은 거부만이 가능하다.  
[[자유국 참의원]]의 주요한 권한은 [[프리슬란드 자유국군|군대]]의 파병이나 [[자유국 행정부|연방 행정부]] 등 연방 정부 관료의 임면에 대한 청문과 동의, 외국과의 조약에 대한 승인 (단, 조약이 완전히 발효되기 위해서는 [[자유국 대의원|하원]]의 동의가 필수이다), [[계엄령]] 선포에 대한 동의 등, 자유국 전체를 아우르는 사안에 대한 권한을 독점하고 있다. [[자유국 대의원|대의원]]에서 탄핵소추한 관료에 대한 탄핵심리 또한 [[자유국 참의원|참의원]]이 맡는다. 이외에도 [[자유국 대의원]]과 동일하게 법안을 발의하고 처리할 수 있으나, 모든 법안은 양원의 동의를 필요로 하므로 [[자유국 참의원|상원]]에서 발의되어 통과된 법안은 반드시 [[자유국 대표원|하원]]의 동의를 얻어내야 한다. 이외에도, 세입, 세출 등 예산 법률에 대한 발의는 할 수 없고, [[자유국 대의원|하원]]에서 통과되어 올라온 예산 법률에 대한 수정 및 동의, 혹은 거부만이 가능하다.  


양원으로 이루어진 [[자유국 대의회]]의 가장 오래된 부분으로서, 건국 당시만 해도 [[자유국 대의회]]가 곧 [[자유국 참의원]]이었다. [[1560년]]의 [[자유국 헌법|자유 헌법]] 발효와 함께 [[자유국 대표원|하원]]이 신설되며 참의원이라는 명칭을 받은 것.
양원으로 이루어진 [[자유국 대의회]]의 가장 오래된 부분으로서, 건국 당시만 해도 [[자유국 대의회]]가 곧 [[자유국 참의원]]이었다. [[1560년]]의 [[자유국 헌법|자유 헌법]] 발효와 함께 [[자유국 대의원|하원]]이 신설되며 참의원이라는 명칭을 받은 것.


==== 자유국 대의원 ====
==== 자유국 대의원 ====
616번째 줄: 616번째 줄:
| 741석
| 741석
|-
|-
| style=" background-color: #333574; color: #fff;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FFF; " |'''대표원 의장<br>(Speaker of<br>the Chamber of Deputies)'''
| style=" background-color: #333574; color: #fff; text-align: center; border: 1px solid #FFF; " |'''대의원 의장<br>(Speaker of<br>the Chamber of Deputies)'''
| 아델버트 헨드릭<br>{{진보당 (프리슬란드)}}
| 아델버트 헨드릭<br>{{진보당 (프리슬란드)}}
|-
|-
632번째 줄: 632번째 줄:
|}
|}


'''[[자유국 대표원]](Freestate Chamber of Deputies)'''은 자유국의 양원 중 하원으로서, 매 3년마다 치러지는 자유국 총선거에서 전체 의석 741석을 선출한다. 자유국 시민을 대표하는 기관이므로, 의석 배분은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 인구에 따라, 시민권자 50만 명 당 한 석을 배분받는다. 배정받은 [[자유국 대표원|대표원]]의원을 어떻게 선출할 지는 각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의 재량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소선거구제]]로 진행된다. 인구가 적은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주]]의 경우 대표원 의석이 지나치게 적을 우려가 있으므로, 인구가 아무리 적어도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주]]에 할당되는 [[자유국 대표원|대표원]] 의석은 최소 2석이 보장된다. 또한 [[1630년]]의 [[자유주 헌법|개혁 헌법]]에 따라, 주가 아닌 중앙행정구인 [[레이크사이드 C.D.]] 또한 1석의 [[자유국 대표원|대표원]] 의석을 배분받는다. 선거로 구성된 [[자유국 대표원]]은 개회와 동시에 의원 한 명을 투표하여 [[자유국 대표원 의장|대표원 의장]]을 선출하고, 부의장의 역할은 소수당 원내대표가 역임하게 된다. 선거권은 만 20세 이상 모든 시민권자 성인들에게 주어지며, 피선거권은 만 20세 이상, 자유국에서 5년 이상 거주 시민권자 성인들에게 주어진다.
'''[[자유국 대의원]](Freestate Chamber of Deputies)'''은 자유국의 양원 중 하원으로서, 매 3년마다 치러지는 자유국 총선거에서 전체 의석 741석을 선출한다. 자유국 시민을 대표하는 기관이므로, 의석 배분은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 인구에 따라, 시민권자 50만 명 당 한 석을 배분받는다. 배정받은 [[자유국 대의원|대의원]]의원을 어떻게 선출할 지는 각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자유주]]의 재량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소선거구제]]로 진행된다. 인구가 적은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주]]의 경우 대표원 의석이 지나치게 적을 우려가 있으므로, 인구가 아무리 적어도 [[프리슬란드의 자유주|주]]에 할당되는 [[자유국 대의원|대의원]] 의석은 최소 2석이 보장된다. 또한 [[1630년]]의 [[자유주 헌법|개혁 헌법]]에 따라, 주가 아닌 중앙행정구인 [[레이크사이드 C.D.]] 또한 1석의 [[자유국 대의원|대의원]] 의석을 배분받는다. 선거로 구성된 [[자유국 대의원]]은 개회와 동시에 의원 한 명을 투표하여 [[자유국 대의원 의장|대의원 의장]]을 선출하고, 부의장의 역할은 소수당 원내대표가 역임하게 된다. 선거권은 만 20세 이상 모든 시민권자 성인들에게 주어지며, 피선거권은 만 20세 이상, 자유국에서 5년 이상 거주 시민권자 성인들에게 주어진다.


[[자유국 대표원]]의 고유한 권한은 자유국 시민들의 직접적인 대표자로서, 자유국 정부를 감시하고, 그에 맞는 입법과 정책 입안을 하는 것이다. 또한 세입과 세출 등, 예산에 관한 법제는 반드시 [[자유국 대표원|대표원]]에서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자유국 행정부|연방 행정부]]의 예산 운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외에도 [[자유국 대표원]]은 [[자유국 대의원]]을 견제하는 역할 또한 가지고 있다. 연방 정부 관료들에 대한 탄핵소추의 권한 또한 [[자유국 대표원]]의 고유한 권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기도 3년으로 짧고, 예산을 제외할 경우 연방 전체를 아우르는 묵직한 현안들은 [[자유국 대의원|상원]]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자유국 대표원|대표원]] 의원의 권위는 [[자유국 대의원|대의원]] 의원에 비하면 다소 떨어지는 것이 사실. 그렇기 때문에 [[자유국 대표원|대표원]] 의원들에게는 위원회에 배정받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정부를 감시하고, 법제 및 정책 입안의 핵심이 되는 것이 [[자유국 대표원|대표원]] 위원회이기 때문.
[[자유국 대의원]]의 고유한 권한은 자유국 시민들의 직접적인 대표자로서, 자유국 정부를 감시하고, 그에 맞는 입법과 정책 입안을 하는 것이다. 또한 세입과 세출 등, 예산에 관한 법제는 반드시 [[자유국 대의원|대의원]]에서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자유국 행정부|연방 행정부]]의 예산 운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외에도 [[자유국 대의원]]은 [[자유국 참의원]]을 견제하는 역할 또한 가지고 있다. 연방 정부 관료들에 대한 탄핵소추의 권한 또한 [[자유국 대의원]]의 고유한 권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기도 3년으로 짧고, 예산을 제외할 경우 연방 전체를 아우르는 묵직한 현안들은 [[자유국 참의원|상원]]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자유국 대의원|대의원]] 의원의 권위는 [[자유국 참의원|참의원]] 의원에 비하면 다소 떨어지는 것이 사실. 그렇기 때문에 [[자유국 대의원|대의원]] 의원들에게는 위원회에 배정받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정부를 감시하고, 법제 및 정책 입안의 핵심이 되는 것이 [[자유국 대의원|대의원]] 위원회이기 때문.


[[자유국 헌법|건국 헌법]]에는 [[자유국 대표원|대표원]]에 해당하는 기구가 없었다. 제도적 기반은 [[1554년]]의 남부 동맹 연합 의정원 하원에 두고 있으며, [[1560년]]의 [[자유국 헌법|자유 헌법]]으로 [[자유국 대의회|연방 입법부]]에 편입되었다.
[[자유국 헌법|건국 헌법]]에는 [[자유국 대의원|대의원]]에 해당하는 기구가 없었다. 제도적 기반은 [[1554년]]의 남부 동맹 연합 의정원 하원에 두고 있으며, [[1560년]]의 [[자유국 헌법|자유 헌법]]으로 [[자유국 대의회|연방 입법부]]에 편입되었다.


=== 사법 ===
=== 사법 ===

2025년 5월 14일 (수) 06:58 기준 최신판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국가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국가
키르수스 제국 게파르토 제국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베른하이어 베른하이어 공국  ·  에르미니아 에르미니아 합중국  ·  마그니우스 마그니우스 제국  ·  프리슬란드 프리슬란드 자유국  ·  그란치프 그란치프 국민국  ·  코르보날 코르보날 연합국  ·  크래스터프 크레스터프 왕국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연표


-546
1423
고전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1423
1664
근대
현대


보편전기
연표
-546
1483
1664
고전 고대
고대 후기
중세 초기
중세 성기
중세 말기
근대
현대














보편전기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차량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무기
권총  ·  기관단총 소총  ·  기관총

게파르토 ㅔㄱㅣㅋㅔㅈㅔㅅ·ㅍㅜㅅㅡㅋㅏ 49M

게파르토 Moosmeier 32M pistol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26식 수포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엘빙거 권총



게파르토 ㅍㅜㅅㅡㅋㅏ1651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41형 표준 영도진 보병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이리야-야조프 45식 보병용 소총

그란치프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르브 소총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무흐타레프 장비

키르수스 Maschinen Gewehr 57

게파르토 ㅗㅌㅗㅁㅏㅌㅏ·ㅍㅜㅅㅠㅋㅏ

차량
키르수스 Panzerabwehrkanonen 1656

게파르토 49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1M 6.3qb Bergbombarde

게파르토 52M 6.3qb bombarde

게파르토 50/54M 33qb Bergbombarde

키르수스 1656년식 야전차량 경형

키르수스 1654년식 전선장갑차량

게파르토 53M 3톤 중형트럭 어비거일



잠수함 함선
전투기 폭격기
키르수스 퇴브리크크루비엔 Ddkf.V

그란치프게파르토 가르당 17

게파르토 53M 반도르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3 키드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피어스마린 F.5 돌핀

키르수스 그니베겐 GFz.III

마그니우스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하디 베넷 타입P

아인종
카노쿠겔
Kanokugel
드베르그
Dweorg
리겔
Ligel
테살리데스
Teßalides
죄뢰이
Jöröi
라퓰러이
Lafülöi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프리슬란드
Freisland
프리슬란드 자유국
Freisland Freestate
Friestaat Freisland

 

1514년 - 현재
국가 자유국 찬가
Hymn of the Freestate
국목 세쿼이아
국화 라일락
국조 독수리
표어 자유와 의무
the Freedom and the Duty
프리슬란드 자유국
수도 레이크사이드 C.D.
최대 도시 말루스
대통령 (개혁 헌정)
1630년~1635년 휴버트 론 (국가개혁당)
1635년~1644년 조엘 카르마르손 (국가개혁당)
1644년~1651년 파사미아 아덴베크 (국가개혁당)
1651년~1657년 존슨 맥클라이언트 (진보당)
1657년~1663년 제임스 칼라무어 (윤리당)
1663년~ 헨리 엔터딕손 (진보당)
자유국 건국, 건국 헌정(제 1 자유국) 1514년 7월 17일
자유국 내전 발발 1554년 6월 8일
자유국 내전 종결 1559년 8월 5일
자유 헌정(제 2 자유국) 1560년 1월 13일
대파란 1629년 10월 19일
개혁 헌정(제 3 자유국) 1631년 12월 3일
휴버트 론 암살 1635년 10월 9일
연방전쟁 1651년
인문 환경
인구 전체 인구 본토 : 369,740,274 명
공화국 : 892,000 명
민족 구성 헤스페로사 계(백인): 87.5%
라그렌센트(베른하이어) 계: 36.6%
알레니아(마그니우스) 계: 34.4%
에르미니아 계: 12.2%
키르수스 계: 3%
기타 헤스페로사 계: 1.3%
신디아 계: 6.4%
헤르니소스 계: 4.5%
기타: 1.6%
공용어 알레니아어(Alenish)
라그렌센트어(Lagrisch)
공용 문자 슈베른 문자
군대 프리슬란드 자유국군
세부 군대 육군 프리슬란드 자유국 대육군
해군 프리슬란드 자유국 대해군
공군 프리슬란드 자유국 대공군
행정구역
행정
구역
자유주 34개
공화국 2개
중앙행정구 레이크사이드 C.D.
정치
정치 체제 대통령중심제, 다당제, 공화정, 연방제
입법부 자유국 대의회
(Grand States General of the Freestate)

상원:자유국 대의원
(Freestate Grand Council)
하원:자유국 대표원
(Freestate Chamber of Deputies)
국가
원수
대통령 헨리 엔터딕손
정부
요인
부통령 프란시스 러먼스
대의원 의장 스티브 제프리스
대표원 의장 아델버트 헨드릭
최고법원장 폴 브란덴우드
국무부 장관 도레누스 트라이푸스
재무부 장관 사이먼 해킨스
전쟁부 장관 제임스 도널
법무부 장관 아드라노스 바판
내무부 장관 카일 맥킨저
농무부 장관 존슨 딕킨스
상무부 장관 펜세빌 레이니아
교통부 장관 어밍스 바르투스
교육부 장관 조셉 두카누스
우정부 장관 제이콥 맥스웰
사회부 장관 조지 갤무어
여당 진보당
경제
경제 체제 혼합 경제
명목
GDP
전체 GDP 2,043.6억 FFL. (1,572억 ℳ)
1인당 GDP 552.5 FFL. (425ℳ)
화폐 공식 화폐 자유국 리브르(FFL., 1FFL. = 금 약 275mg)
(1FFL.= 0.77ℳ)
코드와 단위
단위 법정연호 건국력
독립력
날짜형식 YYYY-MM-DD
운전석
(통행방향)
좌측
(우측)

프리슬란드 자유국(알레니아어: Freisland Freestate 프리슬란드 프리스테이트 , 라그렌센트어: Friestaat Freisland 프라이스타트 프리슬란드), 또는 자유국(알레니아어: Freestate 프리스테이트 , 라그렌센트어: Friestaat 프라이스타트)은 바네버웨센 중부에 위치한 공화국이다. 북쪽으로 마그니우스 제국뉴알레니아 자치령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와 [[]]와 접한다. 수도는 레이크사이드 C.D.이며, 말루스, 시우다드, 뉴포트 등의 대도시가 프리슬란드 국경 안에 존재하고 있다. 프리슬란드의 영토는 km²이고, 온대에서 냉대 기후까지 넓은 기후 분포를 보이고 있다. 1663년 기준 인구는 약 3억 7,000만 명이며, 알레니아 계와 라그렌센트 계를 위시하여 수많은 민족과 종족으로 구성되어있다. 국경 안에서 쓰이는 언어는 다양하지만, 법적으로 인정되는 공용어는 알레니아어라그렌센트어이다.

1514년, 알레니아 계와 라그렌센트 계, 그리고 바네버웨센 원주민과 신디아헤르니소스계 노예들이 섞인 땅이었던 식민지 바네버웨센은, 일련의 정치적 동맹 관계와, 대양 전쟁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프리슬란드 독립 전쟁을 거쳐 독립 공화국 프리슬란드로 거듭났다. 그러나 신생 공화국의 앞길은 그리 순탄하지 못했다. 독립 이후에도 알레니아 계와 라그렌센트 계의 갈등은 지속되었고, 이러한 갈등은 주와 연방정부와의 갈등, 그리고 도시와 농촌간의 갈등으로 이어져 공화국의 정계를 끊임없이 흔들었다.
결국 이는 1554년, 정치위기와 함께 자유국 내전으로 폭발했고, 5년간의 내전 끝에 프리슬란드는 제 2 자유국 시대를 열며 번영기를 맞이했다. 백금 시대라 불린 이 70년 남짓한 번영기 동안 프리슬란드는 산업화를 이루어내며 신대륙의 당당한 일인자로 올라설 수 있었으나, 1629년 주식시장 붕괴와 함께 대파란이라고 불린 경제 붕괴가 찾아오며 번영기는 처참한 종말을 맞이하였다. 이후 부통령으로서 대통령직을 승계받은 휴버트 론의 리더십 아래 프리슬란드는 한번 더 헌법을 개정하며 개혁 헌정, 또는 제 3 자유국 시대를 맞이하고 경제 붕괴를 어느정도 극복하는가 하였으나, 휴버트 론의 급작스러운 암살로 정국은 다시 한번 혼란 속으로 빠져들었다.
이후 지도자들의 지지율 확보를 위한 포퓰리즘과 프로파간다 속에서 프리슬란드는 더욱 팽창주의적으로 돌변하였고, 신대륙에서의 패권을 두고 처음에는 에르미니아, 그 다음에는 마그니우스전쟁을 치르기에 이르렀다. 자유국의 패전으로 끝난 연방 전쟁 뒤 자유국 정계는 다시 한번 재편되었으나, 전쟁이 끝난 지 12년 뒤인 1663년, 여전히 프리슬란드는 안정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프리슬란드 자유국은 대통령제 연방제 공화국이다. 프리슬란드의 대통령을 국가 원수로 하고, 대통령자유국 헌법에 의해 행정에 대한 권한 일체를 지니게 되며, 행정부와 내각을 구성하고 임명한다. 또한 대통령자유국 최고법원최고법원장최고법관들을 임명할 수 있으나, 자유국 대의회의 인준이 필요하다. 자유국 대통령은 6년마다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에서 34개의 자유주와 1개의 중앙행정구에서 선출된 377명의 선거인단에 의해 간접 선출되나, 그 제도적 특성상 직선제에 근접한 성향을 띄고 있다.
자유국 대의회양원제로서 자유주중앙행정구에서 선출된 자유국 참의원자유국 대의원으로 구성된다. 자유국 대의원은 3년마다 치러지는 자유국 총선거에서 각 자유주 별로 인구 비율에 맞춰 선출된 741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대의회의 하원 역할을 수행한다. 자유국 참의원은 3년마다 치러지는 자유국 총선거에서 각 자유주마다 2명씩 선출된 의원 171명으로 구성되며, 대의회의 상원 역할을 수행한다. 대의원은 프리슬란드 시민들을, 참의원프리슬란드의 자유주들을 대표하는 입법 기관으로서 기능한다.
프리슬란드의 연방 사법 제도는 삼심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군,시법원자유국 순회법원, 그리고 자유국 최고법원으로 구성되어있다. 자유국 최고법원은 프리슬란드 연방 사법 체계의 최고위 법원으로서, 한명의 자유국 최고법원장과 여덟명의 자유국 최고법관으로 구성되어있다.

국명

프리슬란드의 국명은 공식적으로 "프리슬란드 자유국"(알레니아어: Freisland Freestate 프리슬란드 프리스테이트 , 라그렌센트어: Friestaat Freisland 프라이스타트 프리슬란드)이며, 줄여 부를때는 "프리슬란드" (알레니아어: Freisland 프리슬란드 , 라그렌센트어: Freisland 프리슬란드)나 "자유국"(알레니아어: Freestate 프리스테이트 , 라그렌센트어: Friestaat 프라이스타트)이라고 부른다. "프리슬란드"는 라그렌센트어로 말 그대로 "자유로운 땅"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바네버웨센 중부에 처음 정착한 라그렌센트 계 정착민들이 본국의 귀족 등이 없는 "자유로운 Frei Land "이라고 식민지를 일컬은 것이 정착되었다. "자유국"이라는 국명은 건국 헌법 제정 시에 채택된 이름으로서, 구대륙의 왕과 귀족들로부터 자유로운 공화국임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언어 별 명칭
알레니아어 Freisland
Freisland Freestate
라그렌센트어 Freisland
Freistaat Freisland
그란치프어 Terredeloin
État libre de Terredeloin
에르미니아어 Freisland
Freisland Ribrenacion
에세르어 Terredeloen
Svobodný stát Terredeloenu
키르수스어 Freisland
Freiesstadt Freisland

역사

식민지 바네버웨센

대양 전쟁과 독립 전쟁

건국 헌정, 제 1 자유국의 개막

내전으로 가는 길

54년 정치 위기

자유국 내전

자유 헌정과 제 2 자유국

백금 시대, 자유와 번영

운명의 일주일, 그리고 대파란

...그가 다리에서 뛰어내리는 모습은, 음울한 신대륙 사업가의 과장된 허세로 가득 차 있었다.

말루스 증권거래소 의장, 1629년

휴버트 론과 개혁 헌정

우리 시대의 프리슬란드 인들은 운명과 마주하고 있습니다.

휴버트 론, 1631년

암살, 그리고 광란

연방 전쟁, 그리고 패전

...대의회에 요청합니다. 1651년 2월 9일부터 마그니우스 제국과 자유국 사이에 전쟁 상태가 존재했다는 것을 선언해주시기를!

파사미아 아덴베크, 1651년

자유는 우리를 어디로 이끄는가?

정치

프리슬란드 자유국은 연방제 대통령제 공화국으로서, 34개 자유주로 구성된다. 각 자유주는 주 국경 안에서 행정, 입법, 사법에 대해서 자치권을 가지지만, 자유주 간의 문제 및 국방외교 등 연방 전체에 관련된 문제는 연방 정부인 자유국 정부의 관할로 배정된다. 또한 자유국(연방)법은 특정한 경우가 아니면 각 자유주법에 우선하며, 자유국 헌법은 자유주 헌법에 우선한다. 자유주연방 정부 간의 권한과 권력 균형 문제는 자유국의 역사 동안 끊임없이 변화해 왔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프리슬란드 인들이 관심을 가지는 문제이다.

자유국 대통령


President of the Freestate
프리슬란드의 대통령
1대
[[|
]]
2대
[[|
]]
3대
[[|
]]
재임
1514년 ~ 1528년
재임
1528년 ~ 1535년
재임
1535년 ~ 1549년
정당
-
정당
-
정당
-
4대
[[|
]]
5대
[[|
]]
6대
[[|
]]
재임
1549년 ~ 1554년
재임
1554년 ~ 1566년
재임
1566년 ~ 1578년
정당
-
정당
-
정당
-
7대
[[|
]]
8대
[[|
]]
9대
[[|
]]
재임
1578년 ~ 1590년
재임
1590년 ~ 1602년
재임
1602년 ~ 1608년
정당
-
정당
-
정당
-
10대
[[|
]]
11대
[[|
]]
12대
[[|
]]
재임
1608년 ~ 1620년
재임
1620년 ~ 1626년
재임
1626년 ~ 1630년
정당
-
정당
-
정당
-
13대
Hubert Lorne
휴버트 론
14대
Joel Karmarson
조엘 카르마르손
15대
Pasameir Adenbeck
파사미어 아덴베크
재임
1630년 ~ 1635년
재임
1635년 ~ 1644년
재임
1644년 ~ 1651년
정당
국가개혁당
정당
국가개혁당
정당
국가개혁당
16대
Johnson McClyent
존슨 맥클라이언트
17대
James Calamoor
제임스 칼라무어
18대
Henry Enterdickson
헨리 엔터딕손
재임
1651년 ~ 1657년
재임
1657년 ~ 1663년
재임
1663년 ~
정당
진보당
정당
윤리당
정당
진보당
The Freedom and the Duty

자유국 대통령(President of the Freestate)은 프리슬란드 자유국의 국가 원수이자, 행정 수반을 겸한다. 임기는 6년이며, 한 회에 한하여 중임이 가능하다.

대통령은 대외적으로 프리슬란드 자유국을 대표하며, 상원하원을 통과한 법률에 대한 승인 및 거부와 통수권, 자유국 행정부 주요 관 및 최고법관 임명권, 계엄령의 선포와 해제, 법률에 준하는 행정 명령 선포, 입법 권고권, 사면권 등 행정 전반에 대한 권한을 가지게 된다.

프리슬란드 행정의 핵심이 되는 자리이기 때문에, 유사시에 대한 대응책이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는데, 대통령이 탄핵이나 사망, 혹은 기타 이유로 직무 수행이 불가능할 경우 부통령대통령직을 승계 받게 되며, 부통령또한 그 어떤 이유로든 직무 수행이 불가능 할 경우, 국무부 장관부터 시작하여 의전 순위 순서대로, 내각 장관들이 대통령직을 수행한다. 만약 모든 장관들이 직무 수행이 불가능한 상황일 경우, 자유국 대표원에서 대통령 권한대행을 선임하고, 전쟁과 천재지변이 없을 경우, 90일 안에 새로운 대통령 선거를 실시해야 한다. 이때, 대통령직을 승계받은 부통령이나 장관들에게 적용되는 규칙이 하나 있는데, 승계 받은 당시 남아있는 대통령의 임기가 2분의 1 (3년) 이상이라면 6년 임기를 전부 수행 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즉, 대통령직을 승계 받아 3년 이상 임기를 수행한 부통령과 장관은 대통령 선거에서 한번밖에 선출될 수 없다는 의미.

자유국 대통령 선거는 선거인단의 간접 선거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간접 선출이라는 형식 자체는 자유국 성립 이래 변하지 않았으나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방식은 자유국의 한 세기 반의 독립 역사 동안 꾸준하게 바뀌어왔다. 현재의 프리슬란드 선거인단제는, 각 별로, 내부의 대통령 후보들의 지지율에 따라 선거인단을 구성하고, 이 선거인단으로 최종 투표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혹자는 이를 "준직선제", 혹은 "직선제적 성격을 가진 간선제"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선거권은 만 20세 이상 모든 시민권자들에게 주어지고, 피선거권은 만 40세 이상, 자유국 국내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시민권자 성인에게 주어진다.

자유국 대통령의 권한 자체는 강하지만, 그만큼 입법부사법부의 견제 대상이기도 하다. 외교 조약을 맺는다거나, 최고법관 임명, 계엄령 선포 등 주요한 권한 행사 시에는 의회의 승인을 얻어야 하며, 통수권 역시 선전 포고 등, 중대한 권한 행사 시에는 반드시 자유국 대의회의 동의를 얻어내야 한다. 가장 중요하게도 대통령을 탄핵할 권한은 자유국 대의회가 가지고 있다.

행정

프리슬란드의 행정부연방제 공화국인 프리슬란드의 특성상 연방 행정부, 혹은 자유국 행정부 정부로 나뉜다. 각자의 행정부를 어떻게 구성할 지는 개개의 자유주의 재량에 달렸으나, 많은 경우, 자유주 정부는 중앙 정부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유국 행정부는 내각에 소속된 11개 중앙 부처들과 중앙 부처 산하 기관, 그리고 그 이외 독립된 비장관급 중앙 부처들로 구성된다. 장관과 차관을 포함한 중앙부처장들은 자유국 대통령이 임면권을 가지고 있지만, 임명에 앞서 자유국 대의회의 청문회 및 인준 절차를 통과해야 임명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프리슬란드에서 개각은 매우 드문 일이며, 큰 사건이 있지 않다면 대통령 당선 당시에 임명된 장관진이 거의 변화 없이 대통령 임기 내 유지되는 일도 드물지 않다.

내각


Cabinet of the Freestate
자유국 내각
First Enterdickson Administration
17th June 1663 -
Vice President of
the Freestate

부통령
Francis Loummons
프란시스 러먼스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Secretary of State
국무부 장관
Dorrenus Tripus
도레누스 트라이푸스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Secretary of the Tresury
재무부 장관
Simon Hackins
사이먼 해킨스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Secretary of War
전쟁부 장관
James Donnel
제임스 도널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Secretary of Justice
법무부 장관
Adranos Baffan
아드라노스 바판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Secretary of the Interior
내무부 장관
Kyle McKinser
카일 맥킨저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Secretary of Agriculture
농무부 장관
Johnson Dickens
존슨 딕킨스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Secretary of Commerce
상무부 장관
Pennceville Raynia
펜세빌 레이니아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Secretary of Transport
교통부 장관
Earmings Bartuths
어밍스 바르투스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Secretary of Education
교육부 장관
Joseph Dukanus
조셉 두카누스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Secretary of
Postal Service

우정부 장관
Jacob Maxwell
제이콥 맥스웰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Secretary of
Social Affairs

사회부 장관
George Gallmoore
조지 갤무어
1663년 6월 17일
|
진보당

자유국 내각(Cabinet of the Freestate)자유국 행정부의 최고 자문 기관이다. 자유국 대통령은 내각 회의에 참여하지만, 엄밀히 말해 내각의 일원은 아니다. 내각의 수장은 자유국 부통령이며, 이외에도 내각에는 자유국 선거관리국 국장, 대통령 보좌참모장 등 장관은 아닌 독립 행정 부처의 수장들과, 대통령 보좌진이 참여할 수 있다.

내각 구성 시, 법으로 규정되지는 않았으나 자유국의 역사를 통틀어 존중 받아온 관례가 몇 가지 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전쟁부 장관에 현역 및 퇴역 군인을 임명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우정부나 교통부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부처에는 현업 종사 경험이 있는 인물을 임명한다는, 좀 더 느슨한 관례 또한 존재한다.

입법


프리슬란드 자유국 대의회
Grand States General of the Freestate
설치 1514년 (명목상), 1560년 (실질적)
전신 자유국 대의회 (건국 의회, 1514년~1559년)
구성 방식 다당제, 양원제
임기 6년(자유국 참의원), 3년(자유국 대의원)
역할 자유국 입법부

자유국 대의회(Grand States General of the Freestate)는 프리슬란드 자유국의 입법부이다.

프리슬란드는 연방제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연방 전체를 관할하는 입법 기관과 각 자유주의 입법 기관이 별개로 존재한다. 주의 입법기관을 어떻게 구성할 지는 전적으로 개개의 자유주의 권한이지만, 대체로 연방 의회인 자유주 대의회의 구성 방식을 따르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자유국 대의회를 파악하면 기타 자유주 의회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얼추 알 수 있다.

건국 초기의 자유국 대의회는 현재의 제도상에 비추어 보자면 하원이 없고 상원만이 존재하는 단원제 의회였으나, 1554년에서 1559년에 걸친 자유국 내전 이후 개정된 자유국 헌법이 발효되며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다. 명목상으로는 건국 의회라고도 부르는 1514년자유국 대의회를 기관의 뿌리로 치지만, 제도적 기반은 1554년 북부에 맞서 결성된 남부 동맹의 연합 의정원에 기반을 두고 있고, 완전한 형태를 갖추게 된 것은 1560년인 것이다.

자유국 헌법에 따라 자유국 대의회는 입법에 관한 모든 권한을 독점한다. 자유국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에도 재적 의원 3분의 2의 동의 아래 거부권을 무시하고 입법이 가능할 정도로 입법에 대한 자유국 대의회의 권한은 절대적이다. 단, 모든 법률은 의 동의를 얻어내야 하며, 이렇게 통과시킨 법일 지라도 자유국 헌법에 어긋난다는 자유국 최고법원의 판단이 있다면 해당 법률은 무효화 되므로, 완전히 무소불위의 권력을 지닌 기관은 아니다. 입법에 있어 상원하원은 대등한 관계에 놓여있다. 상원하원 모두 독자적인 법률 입안이 가능하되, 어디에서 발의 되었느냐에 관계없이 양원의 동의는 필수이기 때문이다.

이외에 자유국 대의회는 헌법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법을 제정할 수 있고, 대통령이 제출한 예산안을 완전히 수정하거나 아예 거부할 수 있으며, 연방 행정부에 속한 모든 공무원들에 대한 탄핵권을 가진다. 이렇게 행정부에 대한 막강한 견제권을 지니고 있는 것이 자유국 대의회이므로, 대통령제를 채택한 자유국이지만 의회의 권위는 결코 낮지 않다.

자유국 참의원


Freestate Grand Council
자유국 참의원
44th Grand States General
22th August 1663 -
Majority
Progressive Party
진보당
66석 / 171석 (38.60%)
Minority
Moralist Party
윤리당
National Reform Party
국가개혁당
55석 / 171석 (32.16%) 50석 / 171석 (29.24%)
정원 171석
참의원 의장
(President of the Grand Council)
스티브 제프리스
진보당
다수당 원내대표
(Majority Leader)
톰 스미스
진보당
소수당 (제2당) 원내대표
(Minority Leader)
제이콥 얀센
윤리당
임기 6년
(3년마다 전체 의석의 1/2를 선출,
중선거구제 FPP)
의석 구성
(1663년 현재)
주 당 5석 (총 170석)
+
중앙행정구 의석 1석

자유국 참의원(Freestate Grand Council)은 자유국의 양원 중 상원으로서, 매 3년마다 치러지는 자유국 총선거에서 전체 의석 171석 중 1/2를 선출한다. 자유주를 대표하는 기관이므로, 의석 배분은 자유주 인구에 관계 없이, 당 5석씩을 배정받고, 1630년개혁 헌법에 따라 주는 아니지만, 중앙행정구인 레이크사이드 C.D. 또한 한명의 상원 의원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렇게 선거로 구성된 자유국 참의원은 개회와 동시에 의원 한 명을 투표하여 참의원 의장을 선출하게 되는데, 1630년 이전까지는 관례적으로 말루스 자유주 출신 대의원 의원중 하나가 맡았고, 개혁 헌법 발효 이후에는 레이크사이드 C.D.의 참의원 의원이, 당적이 다수당이라는 전제 하에 맡는 것이 관례 아닌 관례가 되어있다. 부의장의 역할은 소수당 원내대표가 맡는다. 1630년 이전까지, 대의원 의원은 자유주 의회들에서 간접 선출하였으나, 이후 주 시민의 직선으로 바뀌었다. 선거권의 경우 만 20세 이상 모든 시민권자 성인에게 주어지며, 피선거권은 만 30세 이상, 자유국 국내에서 5년 이상 거주한 시민권자 성인에게 주어진다.

자유국 참의원의 주요한 권한은 군대의 파병이나 연방 행정부 등 연방 정부 관료의 임면에 대한 청문과 동의, 외국과의 조약에 대한 승인 (단, 조약이 완전히 발효되기 위해서는 하원의 동의가 필수이다), 계엄령 선포에 대한 동의 등, 자유국 전체를 아우르는 사안에 대한 권한을 독점하고 있다. 대의원에서 탄핵소추한 관료에 대한 탄핵심리 또한 참의원이 맡는다. 이외에도 자유국 대의원과 동일하게 법안을 발의하고 처리할 수 있으나, 모든 법안은 양원의 동의를 필요로 하므로 상원에서 발의되어 통과된 법안은 반드시 하원의 동의를 얻어내야 한다. 이외에도, 세입, 세출 등 예산 법률에 대한 발의는 할 수 없고, 하원에서 통과되어 올라온 예산 법률에 대한 수정 및 동의, 혹은 거부만이 가능하다.

양원으로 이루어진 자유국 대의회의 가장 오래된 부분으로서, 건국 당시만 해도 자유국 대의회가 곧 자유국 참의원이었다. 1560년자유 헌법 발효와 함께 하원이 신설되며 참의원이라는 명칭을 받은 것.

자유국 대의원


Freestate Chamber of Deputies
자유국 대의원
44th Grand States General
22th August 1663 -
Majority
Progressive Party
진보당
372석 / 741석 (50.20%)
Minority
National Reform Party
국가개혁당
Moralist Party
윤리당
Revolutionary Party
혁명당
301석 / 741석 (40.62%) 65석 / 741석 (8.78%) 2석 / 741석 (0.27%)
Liberation Party
해방당
1석 / 741석 (0.13%)
정원 741석
대의원 의장
(Speaker of
the Chamber of Deputies)
아델버트 헨드릭
진보당
다수당 원내대표
(Majority Leader)
스미스 베렌드
진보당
소수당 (제2당) 원내대표
(Minority Leader)
피터 프레드릭손
국가개혁당
임기 3년(대체로 소선거구제 FPP)
의석 구성
(1663년 현재)
주 별로, 50만 명 당 1석
단, 최소 2명을 보장함 (총 740석)
+
중앙행정구 의석 1석

자유국 대의원(Freestate Chamber of Deputies)은 자유국의 양원 중 하원으로서, 매 3년마다 치러지는 자유국 총선거에서 전체 의석 741석을 선출한다. 자유국 시민을 대표하는 기관이므로, 의석 배분은 자유주 인구에 따라, 시민권자 50만 명 당 한 석을 배분받는다. 배정받은 대의원의원을 어떻게 선출할 지는 각 자유주의 재량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소선거구제로 진행된다. 인구가 적은 의 경우 대표원 의석이 지나치게 적을 우려가 있으므로, 인구가 아무리 적어도 에 할당되는 대의원 의석은 최소 2석이 보장된다. 또한 1630년개혁 헌법에 따라, 주가 아닌 중앙행정구인 레이크사이드 C.D. 또한 1석의 대의원 의석을 배분받는다. 선거로 구성된 자유국 대의원은 개회와 동시에 의원 한 명을 투표하여 대의원 의장을 선출하고, 부의장의 역할은 소수당 원내대표가 역임하게 된다. 선거권은 만 20세 이상 모든 시민권자 성인들에게 주어지며, 피선거권은 만 20세 이상, 자유국에서 5년 이상 거주 시민권자 성인들에게 주어진다.

자유국 대의원의 고유한 권한은 자유국 시민들의 직접적인 대표자로서, 자유국 정부를 감시하고, 그에 맞는 입법과 정책 입안을 하는 것이다. 또한 세입과 세출 등, 예산에 관한 법제는 반드시 대의원에서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연방 행정부의 예산 운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외에도 자유국 대의원자유국 참의원을 견제하는 역할 또한 가지고 있다. 연방 정부 관료들에 대한 탄핵소추의 권한 또한 자유국 대의원의 고유한 권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기도 3년으로 짧고, 예산을 제외할 경우 연방 전체를 아우르는 묵직한 현안들은 상원에서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대의원 의원의 권위는 참의원 의원에 비하면 다소 떨어지는 것이 사실. 그렇기 때문에 대의원 의원들에게는 위원회에 배정받는 것이 중요한 일이다. 정부를 감시하고, 법제 및 정책 입안의 핵심이 되는 것이 대의원 위원회이기 때문.

건국 헌법에는 대의원에 해당하는 기구가 없었다. 제도적 기반은 1554년의 남부 동맹 연합 의정원 하원에 두고 있으며, 1560년자유 헌법으로 연방 입법부에 편입되었다.

사법

프리슬란드의 사법 체계는 연방제를 채택한 자유국의 특성상, 행정부나 입법부와 같이 자유국 법원자유주 법원의 이중 체계로 구성되어있다. 이름에서 미루어 짐작이 가능하듯이, 자유국 법원은 연방법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자유주 법원은 각 자유주 내의 주법을 다룬다. 연방 사법 체계는 삼심제로 구성되어있으나, 자유주 법 체계는 각 자유주에 따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 대부분의 자유주는 연방 전체와 비슷한 삼심제로 구성되어있지만, 일부 자유주의 경우 이심제를 채택하는 등, 주 사법 체계를 어떻게 구성하는가는 자유주의 재량이기 때문.

프리슬란드 자유국의 연방 사법 체계를 구성하는 법원은 세 종류인데, 1심 법원이자 주 사법 체계와 공유하는 군(County Courts), 시법원(Municipal Courts), 2심 법원인 자유국 순회법원(Freestate Rounding Courts), 그리고 3심 법원이자 헌정 최고 법원인 자유국 최고법원(Sovereign Court of the Freestate)이 그것이다. 이외에도 1심 특수 법원으로 행정 법원과 특허 법원, 그리고 재산 법원이 추가로 존재한다. 모든 자유국 연방 판사는 자유국 대통령이 임명하고 자유국 대의회의 인준을 받게 된다.

프리슬란드는 형사 재판에 있어 배심원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마그니우스베른하이어의 법체계가 혼합된 특성상, 형사 재판에서 유죄인정 등의, 구대륙 본토 국가들에서는 보기 힘든 고유한 절차가 많다. 민사 재판의 경우 배심원제와 판사에 의한 재판을 모두 채택하고 있다. 선택은 피고와 원고에게 맡기는 방식.

자유국 최고법원


Sovereign Court of the Freestate
설치 1514년
구성 방식 임명제
(자유국 대통령이 임명,
이후 의회의 인준을 받음)
구성 인원
최고법원장
(Chief Justice of
the Sovereign Court)
폴 브란덴우드
최고법관
(Associate Justices of
the Sovereign Court)
리처드 태프트
존 마버리
제임스 매디슨
헨리 러트리지
제이콥 엘스워스
루카스 베켄호프
레비 보어
리암 하스
정년 종신직
역할 자유국 최고 법원

자유국 최고법원(Sovereign Court of the Freestate)은 자유국 정부의 사법부에 해당하는 최고 법원으로, 군법원자유국 순회법원보다 상위에 있는 프리슬란드의 연방 사법 체계의 최고위 법원이다. 헌법과 연방법률에 대한 최종적인 판단을 하는 곳이기 때문에, 자유국 최고법원장자유국 최고법관을 임명할 때가 다가오면, 행정부입법부의 견제가 뜨거워지게 된다.

자유국 최고법원자유국 최고법원장 한 명과 자유국 최고법관 여덟 명으로 구성되는데, 전원 자유국 대통령의 임명을 받아 자유국 대의회의 인준을 거치며, 임기는 사망 혹은 사임, 탄핵까지이다. 임기를 종신으로 한 이유는 정치적인 판단에 구애받지 말고, 장기적으로 자유국 전체를 위한 판단을 하라는 의미. 정원은 본래 자유국 헌법으로 정해져있지 않았고, 초기 자유국의 역사에서는 연방 정부의 힘이 약했기 때문에 최소한의 최고법관만을 임명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으나, 이후 1560년자유 헌법에서 자유국 최고법원의 판사 정원을 9명으로 명시하며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프리슬란드 헌정 체계에서 가지는 의미가 큰 기관이기 때문에, 자유국 최고법관 임명 과정은 길고 힘든 과정이며 그 모든 것을 거쳐 자유국 대의회 양원의 표결을 거칠때가 되면, 자유국 최고법원의 정통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큰 하자 사유가 없는 한 초당적인 동의가 나오기 마련이다.

프리슬란드 사법 체계상 주 법과 자유국(연방)법이 따로 나뉘어있지만, 겹치는 부분이 발생할 경우 연방법이 우선하므로 연방 사법 체계의 관할에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자유국 최고법원은 원칙적으로 자유국의 모든 법률과 자유국 헌법에 대해 모든 사법권을 가지게 되지만, 현실적으로는 의 사법권은 강하게 보장받고 연방법률과 주 법률이 겹치는 경우는 매우 드문데다, 대부분의 민,형사 사건은 자유주 사법 체계의 관할로 떨어지게 되므로, 연방 사법 체계, 특히 자유국 최고법원까지 올라오는 사건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정부(자유주 정부 - 자유주 정부, 자유주 정부 - 자유국 정부)간 권한 쟁의나 특정 법률 및 행위의 합헌성을 다투는 위헌 심사다. 즉, 헌법 재판 기관에 가까운 성격을 띈다. 이외에도 대통령이나 부통령 탄핵 사건에서는 자유국 최고법원장이 심판장을 맡는 등, 자유국 사회를 흔들만 한 묵직한 사법적 쟁점의 핵심에는 거의 언제나 자유국 최고법원이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유국 최고법원의 모든 판결은 전원합의체 판결로 진행이 된다. 사건이 최고법원까지 올라가기 위해서는 상당히 험난한 과정이 요구되는데, 사법 체계의 속한 법원들의 판결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서, 최고법원은 서로 다른 2심 법원에서 서로 대치되는 판결이 나와 소위 "교통 정리"가 필요한 상황이 아니고서야 상고를 잘 수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올라온 상고를 대법관 개개인이 심사하여 3명 이상이 동의해야 상고를 받아주는 상고허가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렇게 최고법원에 상고된 사건은 거쳐온 과정을 미루어 볼 때 개개가 상당히 중요한 사건인 경우가 많으므로, 최고법원은 판결에 신중을 기하는 경향성이 매우 강하다. 판결에 최소한 연단위가 걸리는 것은 당연지사.

자유국 최고법원장자유국 최고법관 임명시에는 자유국의 주된 민족 구성을 고려하는 관례 아닌 관례가 있다. 대체로 알레니아 계 4명, 라그렌센트 계 4명, 에르미니아 계 1명으로 구성하는 것이 전통.

행정구역


Free States
프리슬란드의 자유주
- Lakeside C.D. 레이크사이드 C.D.
1 Dane Free State 데인 자유주
2 Meniwise Free State 메니와이즈 자유주
3 Driehorn Free State 드라이호른 자유주
4 Curlyblare Free State 컬리블레어 자유주
5 Saurbia Free State 사루비아 자유주
6 Landlay Free State 랜드레이 자유주
7 Hechlan Free State 헤클란 자유주
8 Baylan Free State 베일란 자유주
9 Rhoudell Free State 루델 자유주
10 Vervessen Free State 베르베센 자유주
11 Noigressen Free State 노이그레센 자유주
12 Theverphen Free State 테베르펜 자유주
13 Harleymount Free State 할리마운트 자유주
14 Gllenton Free State 글렌턴 자유주
15 Maxington Free State 맥싱턴 자유주
16 Westbank Free State 웨스트뱅크 자유주
17 Rhile Free State 라일 자유주
18 Overlon Free State 오베론 자유주
19 Ostlie Free State 오스틀리 자유주
20 Malluth Free State 말루스 자유주
21 Ladia Free State 라디아 자유주
22 Armsinder Free State 암사인더 자유주
23 Highpeak Free State 하이피크 자유주
24 Centlake Free State 센트레이크 자유주
25 Diana Free State 디아나 자유주
26 Gorgon Free State 고르곤 자유주
27 Ravynay Free State 레비네이 자유주
28 Sanwall Free State 샌월 자유주
29 Atlas Free State 아틀라스 자유주
30 Marione Free State 마리오네 자유주
31 Ghoff Free State 고프 자유주
32 Catalyna Free State 카탈리나 자유주
33 Horndknee Free State 혼드니 자유주
34 Lakefield Free State 레이크필드 자유주

자유국의 행정 구역은 대체로 자유주(Free State), 군(County), 읍(Township)으로 구성된다. 이외에도 자유국에 직접 속하지는 않지만 자유국 정부의 감독을 받는 공화국(Commonwealth)이 자유국의 일부로 취급된다.

프리슬란드 자유국은 연방제 공화국이므로, 각 지방의 지방 자치제가 뚜렷하게 발달했다. 자유주들은 자유국 헌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저마다의 헌법을 지니고 있으며, 자유주들이 각자의 정부를 어떻게 구성하고 어떻게 행정을 집행하는 지는 자유국 헌법 범위 안에서 완전히 자유주의 재량에 맡기지만, 행정에 있어서는 자유국 전체를 아우르는 대체의 경향성이 존재한다. 자유국 행정부와, 자유국 대의회와는 별개로 각 자유주는 4년, 혹은 5년마다 선거를 치러 저마다의 자유주 정부(Free State Government)를 구성하게 된다.

개개의 자유주 아래에는 군이 존재하는데, 이때 인구 규모 및 법령 등에 따라 군(County)와 시(Municipality, City)로 구별된다. 이때 군이나 시를 부르는 명칭은 개개의 자유주에 따라서 차이가 존재 할 수 있다. 군과 시를 나누는 기준도 자유주의 완전한 재량에 맡기고 있다. 군의 아래에는 읍이 존재하는데, 대체로 군의 경우 읍(Township, Town)이라 부르고, 시의 경우 구(Borough, District)라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자유주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주에 따라서는 읍의 아래에 리(Village)를 두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주도 상당히 많다.

이외에도 중앙행정구(Central DIstrict)가 있는데, 그 어떤 자유주에도 속하지 않은 자유국 정부의 직할 영토로 간주되는 곳으로, 수도인 레이크사이드 C.D.가 유일하다. 행정상으로 레이크사이드 C.D.는 시와 동일하게 간주되어 아래에 구(Borough)를 두고 있다. 1630년 이전까지, 레이크사이드 C.D.자유주가 아니었기 때문에 자유국 정부에서 전혀 대표되지 않았지만, 헌법 개정 이후 제한된 대표권을 가지고 있다.

경제

개요

프리슬란드 자유국의 경제 통계
1인당 PPP 1인당 GDP 명목 GDP 인구 연평균 경제 성장률
461.5FFL.
355ℳ
552.5FFL.
425ℳ
약 2,043억 6,000만 FFL.
약 1,572억 ℳ
약 3억 7,000만 명 40년 간 평균 4.92%

산업

교통

국방


Armed Forces of the Freestate
프리슬란드 자유국군
Freestate Grand Army
자유국 대육군
Freestate Grand Navy
자유국 대해군
Freestate Grand Air Force
자유국 대공군

사회

인구

자유국의 인구는 1663년 기준 369,740,274명이다. 대부분이 남부, 특히 해안가에 몰려있으며 북부로 갈수록 인구 밀도가 낮아진다. 1663년 현재 출생률은 40.3명으로 인구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는 중이다.

행정 구역 별 인구
행정 구역 면적 인구 소재지 대표원 의석 선거인
레이크사이드 중앙행정구 2,571,272명 레이크사이드 1석 2명
데인 자유주 1,051,064명 2석 2명
메니와이즈 자유주 674,593명 2석 2명
드라이호른 자유주 8,747,113명 17석 9명
컬리블레어 자유주 11,278,334명 23석 11명
사루비아 자유주 2,298,297명 5석 2명
랜드레이 자유주 2,014,938명 4석 2명
헤클란 자유주 545,595명 2석 2명
베일란 자유주 481,392명 2석 2명
루델 자유주 601,144명 2석 2명
베르베센 자유주 816,771명 2석 2명
노이그레센 자유주 20,604,935명 뉴포트 41석 21명
테베르펜 자유주 12,807,819명 26석 13명
할리마운트 자유주 13,005,915명 26석 13명
글렌턴 자유주 6,802,806명 14석 7명
맥싱턴 자유주 8,288,035명 17석 8명
웨스트뱅크 자유주 19,406,768명 시우다드 39석 19명
라일 자유주 14,123,409명 28석 14명
오베론 자유주 23,876,111명 48석 24명
오스틀리 자유주 11,567,500명 23석 12명
말루스 자유주 32,940,314명 말루스 66석 33명
라디아 자유주 18,500,717명 37석 19명
암사인더 자유주 8,415,791명 17석 8명
하이피크 자유주 10,981,542명 22석 11명
센트레이크 자유주 20,470,642명 41석 20명
디아나 자유주 14,618,900명 29석 15명
고르곤 자유주 30,820,562명 62석 31명
레비네이 자유주 9,854,206명 20석 10명
샌월 자유주 2,920,989명 6석 3명
아틀라스 자유주 10,440,164명 21석 10명
마리오네 자유주 8,613,887명 17석 9명
고프 자유주 17,300,415명 35석 17명
카탈리나 자유주 13,133,671명 26석 13명
혼드니 자유주 4,121,291명 8석 4명
레이크필드 자유주 5,143,372명 10석 5명
총 합 369,740,274명 741석 377명

민족

언어

종교

교육

언론

복지 및 기타

문화

문학

예술

대중 매체

요리

스포츠

대외 관계

같이 보기

프론트 포커스
Copyright 2022.이화군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