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국가 ]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역사 ]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설정 ] |
국가 | ||||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국가 | ||
키르수스 제국 | 게파르토 제국 | 사회주의 보편주권연합 |
![]() ![]() ![]() ![]() ![]() ![]() ![]() | ||
사련 구성국과 혁명수도 |
||
헤스페로스벨트 · 바네버베센 투디아 · 낸팬 · 신디아 헤르니소스 · 바필리아 · 펜데아시아 · 디흐트에이븐 |
연표 |
보편전기 |
연표 | |
보편전기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포 | 차량 | ||||||||
![]() ![]() ![]() |
![]() ![]() ![]() ![]() ![]() ![]()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 |
![]() |
![]() |
![]() |
![]() | ||||||
카노쿠겔 Kanokugel |
드베르그 Dweorg |
리겔 Ligel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죄뢰이 Jöröi |
라퓰러이 Lafülöi |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무기 | |||
권총 · 기관단총 | 소총 · 기관총 | ||
![]() ![]() ![]() |
![]() ![]() ![]() ![]() ![]() ![]() ![]() | ||
포 | 차량 | ||
![]() ![]() ![]() ![]() ![]() |
![]() ![]() ![]() | ||
잠수함 | 함선 | ||
전투기 | 폭격기 | ||
![]() ![]() ![]() ![]() ![]() |
![]() ![]() | ||
아인종 | |||
![]() |
카노쿠겔 Kanokugel |
![]() |
드베르그 Dweorg |
![]() |
리겔 Ligel |
![]() |
테살리데스 Teßalides |
![]() |
죄뢰이 Jöröi |
![]() |
라퓰러이 Lafülöi |
오르바나 학회 · 케네우스 의사회 · 마법 |
제작진 · 도서 · 만화 · 팬아트 |
Copyright 2020. Studio Laume all rights reserved |
|
1545년 1월 제국인민의회 선거(키르수스어: Foligerreichsvolkstagswahl von dem Januar 1545)는 1545년 1월에 치뤄진 키르수스 제국인민의회 선거이다.
보수당을 이끌던 로센 후베르투스 폰 푸스발트 운트 에를슈타인이 선거를 앞두고 은퇴하여,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이자 정치 신인인 오일렘발트 게오르크 지기스문트 폰 푸스발트 운트 에를슈타인이 보수당을 이끌었다. 후계자의 정치 경력이 전무한 탓에 큰 우려를 자아냈으나, 보수당은 역대 최초로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는 등 대승을 거두었다. 자유당은 지난 선거 이후 플라니아파의 프리드리히 부르하르트 슈파츠 폰 슈텔부르케가 이끌었으나, 선거에서 참패하고 프리드리히 폰 슈텔부르케를 비롯한 플라니아파 대다수가 낙선하며 총재 자리를 두고 슈퇴거파와 남부파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진보연합은 40석을 득석하며 자유당을 재치며 제2당이 되었다.
1 선거 제도
2 정당 및 후보
3 선거 결과
3-1 지역별 결과
3-2 당선자
4 같이 보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