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민주화 및 공화주의 운동

ⓒ Communist 1968, 2022 | CC-0
부여황제국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개요

부여의 민주화 운동과 공화주의 운동에 대해 다루는 문서.

부여/소수민족 독립 운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부여 내에서는 공화주의를 주창하는 것이 불법이기 때문에, 대다수의 조직들이 겉으로는 왕정제 찬성을 표명하거나 혹은 지하 조직으로 활동하고 있다.

역사

부여는 본래 민주주의 국가가 아닌 귀족과두정 전제군주제 국가였으나, 1880년대 이후 서구의 민주주의 사상이 부여로 전파되면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정치 세력들이 등장하였다. 1890년대 서재필조국협회김옥균전동아개광회 등이 대표적. 황실에서는 이런 사상들을 대수롭지 않게 여겼으나, 1895년 김옥균을 주도로 한 황제 암살 모의 사건이 드러나면서 대다수의 공화파 인사나 민주화 인사들이 투옥, 추방되는 시련을 맞이하였다.

1910년대 이후로는 소련으로부터 사회주의 이념이 받아들여짐에 따라 부여공산당, 부여노동적군 등의 사회주의 세력들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 대북 총파업 당시, 정부의 중재안을 받아들인 사회민주주의 의회투쟁파 세력과 중재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프롤레타리아트 투쟁파가 분열되면서 사회주의 세력은 크게 위축되었다. 김일성 등의 일부 사회주의 운동가들은 내전이 한창이었던 중국 대륙으로 넘어가 중소공에서 활동하기도 하였다.

횡빈사태

횡빈 지역과 그 배후 지역인 일본 관동에서 일어난 일련의 민주화 운동은 부여의 민주화 운동에 있어서 큰 변곡점이 되었다. 해외에서는 부여의 참담한 인권과 정치 실태를 알리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국내적으로 보았을때는 대부분의 식민지 독립 운동 세력과 사회주의, 자유주의 운동가들이 구속되어 민주화 세력이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소문으로만 내려져오던 중국의 대일본제국 임시정부가 크게 활약하면서 일본의 독립 운동에도 큰 관심이 모였다. 다만 이 사건으로 일본 독립운동 세력이 대부분 체포된데다가 민주화 = 반제국 독립 세력이라는 이미지가 박혀 민주화 운동가들은 현재까지도 제국 해체를 모의한다는 오해를 사게 되었다.

독일과 영국의 언론들을 중심으로 보도된 부여황제군의 잔혹한 학살은 대외적으로 부여의 인권 실태에 관심이 쏠리는데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부여 내부에서는 이런 참상이 잘 알려지지 않았고,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황제군의 정당방위로 여기고 있기 때문에 소위 말하는 블루팀 진영의 자유주의 국가와 레드팀 진영의 권위주의 국가들의 관점 차이가 크게 다른 편이다.

현황

인종 치세 말기에 터진 동남아시아발 외환 위기로 인해 부여 내에서 빈부격차의 문제가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사회적 문제보다는 경제적 문제에 집중하는 민주화 운동가들이 늘어났다. 헌종 시기에는 정부가 이를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민주화 운동가들의 중앙 정계 영입을 허용하였고, 자민당을 위시로 한 중도파 야당 세력들의 권리도 어느정도 보장되었다.

다만 2019년 이후 집권한 융정제와 그의 측근들은 인권 보장에는 별 관심이 없고, 좌익 세력과 민주화 운동에 대해 크게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 부여 민주화 세력 운동의 미래는 어두울 전망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변수가 될거라는 말도 있었지만, 부여 내에서는 참전 여론이 압도적이었기 때문에 민주화운동에 큰 보탬이 되지 못했을 뿐더러 융정제의 지지율만 오히려 더 올라가는 결과를 초래했다.

비판

서구에서는 인식이 비교적 괜찮지만, 부여 내부에서는 정작 힘을 별로 못쓰고 있다. 일단 부여 황제에 대한 지지율이 8~90%에 달할 정도로 높기 때문에 부여 국민들이 민주화에 대해 크게 동의하지 않는데다가, 민주화 세력 자체에 대한 국민적인 인식이 나빠서 민주화 세력의 성장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민주화 세력이 대책 없이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온 황실 폐지를 주장하는데다가 폭력 시위에도 연계되어있다는 것이다.

관련 조직

자유민주당

동아사회당

전부여민족대표자협회 (전민협)

반제반자본민중민주파 (제본파)

대한사회주의총동맹 (한사맹)

여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