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목록 ]
|
[ 세계관 소개 ]
|
[ 문서 목록 ]
| |
일본제국 육군 제15군 사령관 | ||||||||||||||||||||||||||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
초대 재한국일본국민단 단장 무타구치 렌야 牟田口廉也 | Mutaguchi Renya | ||||||||||||||||||||||||||
출생 | 1888년 10월 7일 | |||||||||||||||||||||||||
일본 제국 사가현 (現 일본국 사가현) | ||||||||||||||||||||||||||
사망 | 1966년 8월 2일 (향년 77세) | |||||||||||||||||||||||||
부산직할시 서구 부산대학교병원 | ||||||||||||||||||||||||||
국적 | ![]() ![]() | |||||||||||||||||||||||||
재임 기간 | 일본제국 육군 제15군 사령관 | |||||||||||||||||||||||||
1943년 3월 18일 ~ 1944년 8월 30일 | ||||||||||||||||||||||||||
초대 재한국일본국민단 단장 | ||||||||||||||||||||||||||
1953년 9월 20일 ~ 1956년 9월 20일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구 일본군 소속의 장성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일본인 출신으로는 네번째로, 일본군 장성 출신으로는 두번째로[5] 독립유공자로 추서되었다. 일본제국 육군 제15군 사령관, 초대 재한국일본국민단 단장과 관선 부산직할시 시의원 등을 역임하였다.
일본군의 장교였으나 버마주둔 제15군의 사령관이던 시절 보여준 극치의 무능으로 인해 일어난 대규모 항명사태로 버마에 낙오되었다. 그러나 당시 같이 낙오되었던 일본 민간인들(공무원 등)과 한국인 노동자들을 모아서 영국군에 투항했고 이후 그들을 책임지고 각자의 고향으로 귀국시킨 선행을 행하였다.
이후 일본으로 귀국하였으나 남일본 국민들의 냉소와 반발에 부딛혔고 1950년 일본내전이 일어나자 한국으로 넘어가 도미나가 교지등과 함께 우익성향의 재한일본인 단체인 제한국일본국민단을 조직하여 초대단장으로 취임하였다. 단장직 퇴임 이후에는 부산시의 재한일본인들의 지지로 관선 시의원을 역임하였으며 사후 2018년 이낙연 총리에 의해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고 독립유공자로 추서되었다.
버마에서 한국인 노동자들과 일본 민간인들에게 행한 선행과 일본군의 학살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점그리고 일본의 전쟁패배에 결정적인 책임이 있다는 이유 때문에 독립유공자로 추서되었으나 중일전쟁 개전의 장본인 이라는 점과 수만명이 굶어죽은 임팔 작전의 입안자라는 점[6], 그리고 구 일본군의 장성이란 점 때문에 국내와 국외, 그리고 국내에서조차 평가가 크게 갈리는 인물이기도 하다.
생애
1888년 10월 7일 구 일본제국 시가현에서 3형제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현립 사가중학교를 다니다 중퇴 한 뒤 구마모토 육군유년학교에 입학함으로써 본격적으로 군인의 삶을 살기 시작한다. 이후 육군중앙유년학교를 거쳐 22세의 나이로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고 7년후에 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졸업 이후에는 시베리아 침공, 캄차카 정탐등에 투입되었으며 주 프랑스 재무관을 지내기도 했다.
이후 중국에서 복무할 당시 노구교 사건이 일어나고 일본군 병사 한명이 잠시 사라지자 이를 중국 국부군의 짓으로 단정짓고는 중국군을 향해 불법전투를 개시하여 중일전쟁의 포문을 열었다. 심지어 전투가 진행되는 와중에 기자들이 취재하러 오자 전투에 나가지도 않고는 팔에 피묻은 붕대를 감아 "국민혁명군의 도발을 내가 격퇴하는 중이다."라는 언론플레이를 했다.
이런 무능함과 뻘짓을 보여준 무타구치였으나 그보다 더한 무능함과 정치질을 자랑하던 구 일본군 사령부는 그를 소장으로 진급시켰고 무타구치는 제4군 참모장을 거쳐 1939년 육군유년학교 교장이 되었다. 1940년에는 중장으로 진급해 18사단 사단장으로 싱가포르 전투에 참여했다. 이 전투에서 그는 수류탄에 부상을 입었는데 그 이유는 바로 '부대에서 술판을 벌이다 날아온 포탄을 피하기 위해 하수구를 대피소로 착각해 숨으려다' 였다고 전해진다.....
1943년 3월, 무타구치는 버마에 주둔하던 육군 제15군 사령관으로 부임하였는데 이전에 밀림과 산악에서는 작전 수행이 어렵다라는 이유로 반대했던 대본영의 인도 진공 계획을 영국군이 버마를 공격하고 자신이 버마 주둔 15군 사령관이 되자마자 적극적으로 추진하기에 이르니 이것이 바로 세계 전쟁사에 '이렇게 해서는 안된다' 라는 의미로 한획을 그은 임팔 작전 이었다.
임팔 작전 당시 그는 "보급이란 원래 적에게서 취하는 법이다."나 "일본인은 원래부터 초식동물이다."와 같은 명언을 난사하며 고대 게르만족보다도 못한 수준의 계획을 밀어붙였고 그 결과는 총 병력 92,000여명 중 52,000여명 가량이 전사 및 아사한 기적적인 수준의 대참패였다. 그러나 정신을 못차린 무타구치는 체면 때문에 차마 후퇴하겠다고 말도 못하며 눈치를 보다가 후퇴명령 조차 내리지 못하는 대단함을 자랑하다가 사토 고토쿠 중장이 독단으로 후퇴를 결정하는 일본군 항명 1호사건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 정신을 차리지 못한 무타구치는 돌아온 부하들을 똥군기를 부리며 갈구다가 분노한 부하들의 반란크리를 맞고 측근군인 5명과 함께 창고에 구금되었다. 이후 그를 버린채로 일본 제15군은 명색이 사령관인 그를 버린 채 복귀했고[7] 무타구치는 곧 측근들과 함께 버마일대에서 잠적하며 떠도는 신세가 되고 만다. 그러던 와중 빠져나가지 못한 일부 일본 민간인들과 군무원 그리고 조선인 노동자들을 발견한 무타구치는 자신을 일본군의 하급 장교라고 속이며 그들을 규합했으며 이후 그들을 대리고 버마주둔 영국군 사령부에 투항했다.
영국군에 투항한 이후에는 이전의 항명사태와 낙오에서 교훈을 얻은 것인지 주변인에게 굉장히 친절한 태도를 보였으며 영국군에게도 유화적으로 굴어 영국군은 그를 비교적 편하게 대하였다. 그는 배고픈 노동자들에게 식량을 나눠주거나 고국에 가족들을 두고온 잔존병들과 일본인들을 위로하는 등의 태도를 보여 수용소 내에서 상당한 수준의 대우를 받게 되었다.
전후 그는 버마에 남은 일본 민간인들과 조선인 노동자들이 귀국선에 오를 때 까지 버마에 남았으며 모든 수용소 사람들이 귀국하고 나서야 마지막 귀국선에 몸을 실어 일본으로 귀국하니 그때가 1946년 3월 16일이었다. 귀국 이후 그는 극동군사재판에 기소되었으나 전시에 보여준 희대의 뻘짓들과 수용소에서 민간인들을 살핀 점을 근거로 들어 불기소처분 되었고 중국 측 판사 메이루아오가 중일전쟁 발발에 대하여 유죄를 주장하였으나 중일전쟁 자체는 당시 폭주하던 일본의 상황을 볼때 결국 누군가에 의해 일어났을 비극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으며 철회되었다.
불기소처분 이후 그는 별도의 군사재판을 통해 2년간 복역을 한 뒤 분단 된 남일본으로 복귀하였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당연하게도 그를 냉대하였고[8] 1950년 일본전쟁이 발발하자 위기감을 느낀 그는 수용소에서 함께하였던 몇몇 민간인들과 함께 남일본을 탈출하여 한국으로 향했다. 당시 조소앙 총리는 일본군 장성 출신에 중일전쟁의 개전자인 그가 한국으로 들어오자 부담감과 적대감을 느꼈고[9] 그를 다시 귀국시키려고 했으나 국내에서 그에게 도움을 받은 국민들의 탄원에 결국 그의 입국을 허락하였다.
한국에 들어온 무타구치는 피난온 다른 일본인들을 규합하여 공동체를 구성하였으며 자신에게 도움을 받은 한국인들의 도움을 받아 한국정부의 허가하에 경남과 부산 일대에 일본인촌을 만들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한국에 정착하였으며 한국국적을 취득하여 복수국적을 지니게 되었으며 당시 나진에 머무르던 도미나가 교지등과 함께 좌익/친일공 성향의 재조선일본인총연합회와 대비되는 우익/친남일본 성향의 재한 일본인 단체인 재한국일본국민단을 창설하여 초대 단장에 취임하였다.
그는 3년간의 임기를 지냈으며 임기내내 재한일본인의 권익과 한일간의 조화를 위해 힘썼다. 임기를 마친 이후에는 재한일본인들을 돕는 인권운동을 하였으며 1964년에는 재한일본인들의 지지로 부산직할시(現 부산광역시)의 관선시의원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1965년 건강상의 이유로 시의원직을 사임하였으며 1966년 천식 ·담낭증· 심근경색으로 인한 합병증 치료중 뇌출혈로 인해 향년 77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사후 많은 재한일본인들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으며 사망한 지 52년이 지난 2018년 이낙연 총리에 의해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평가
대한민국
남일본
북일본
중국
개인사
어록
- ↑ 일부 매체나 자료에서 한국에 완전히 귀화했다고 서술되어 있기도 한데 그는 죽을때까지 일본국 국적을 공식적으로 포기한 적이 없다.
- ↑ 牟田口衛邦, 일본식으로는 무타구치 마모루쿠니
- ↑ 牟田口元堂, 일본식으로는 무타구치 모토도
- ↑ 牟田口照恭, 일본식으로는 무타구치 테루쿄
- ↑ 첫번째는 도미나가 교지
- ↑ 이로 인해 남일본에서는 도미나가 교지, 스기야마 하지메와 함께 제국군 삼대오물이나 연합군의 스파이라고 조롱받기도 한다.
- ↑ 일설에는 복귀 후 무타구치의 생사를 묻는 상부의 질문에 15군 부사령이 폭격으로 사망했다고 전했는데 상관이 매우 환한 웃음을 지었다는
답없는일화가 전해진다. - ↑ 단순하게 생각해도 무능의 극치를 달리던 낙하산 장교에다가 50,000명 가량의 자국군 장병들을 어이없는 이유로 사지로 내몰았으니...
- ↑ 라기 보다는 그때나 지금이나 한국의 제1교역국이자 지원국인 중국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으려는 의도가 더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