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국가 목록 ]
[ 소개 ]
|
1905~1909 | 1910~1945 |
---|---|
만주한치시기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
![]() | |
[ 국가 목록 ]
[ 소개 ]
|
1905~1909 | 1910~1945 |
---|---|
만주한치시기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
만주총독부 滿洲総督府|Government-General of Manju | |||||
설치 이전 | 해체 이후 | ||||
---|---|---|---|---|---|
![]() |
![]() | ||||
소비에트 민정청 | |||||
1910년 1월 4일 | |||||
1945년 9월 28일 | |||||
경호특별도 심양부 고궁방 대금문2통 (만주총독부 청사) | |||||
무단통치 (1910년~1919년) 교화통치 (1920년~1931년) 민족말살통치 (1938년~1945년) | |||||
이용익 이병무 이동휘 안경수 이윤용 지청천 윤치호 | |||||
대한제국의 식민지 만주에 대한 전반적인 통치 | |||||
만주총독부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47년간 만주를 통치한 식민기구로, 1907년 한만합방으로 인해 만주 식민지를 통치하기 위한 기구로 1910년 1월 4일 설치되었다. 공관은 애신각라 왕가의 황궁 근방에 지어졌다.
군사 세력의 중심부라고도 할 수 있는 만주의 총독은 사실상 대한제국 내의 또다른 작은 정부의 수장으로, 총독에 대한 군의 신임도 필요했던데다가 3천만명에 달했던 만주인들을 통치했기 때문에 본토의 내각총리대신 다음가는 권력과 지위를 가졌다. 경우에 따라선 총독들이 총독직을 거치고 유력 정치인, 드물지만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기도 하였으며, 예시로 3대 총독이었던 이동휘는 공을 인정받아 실제로 총리를 역임했다.
주로 만주 식민지에 대한 업무, 즉 정부 업무를 수행했다. 이 외에도 적백내전 이후부터는 소련과 러시아 차르국과의 경계를 관리하는 임무를 맡기도 했으며, 경우에 따라선 군의 주둔지로서 사용되기도 했다.
만주 총독은 만주 식민지 정부인 만주총독부의 수장으로, 위세가 정점에 달했을때는 내지에 있지 않을 뿐이지 내각총리대신과 거의 비슷한 권력을 가지기도 했다.
당시 관계자였던 이들의 증언에 따르면, 넓은 토지때문에 농업 장려를 통한 수익이 엄청난 편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19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만주의 관외 지역은 한국의 역량상 한계로 인해 무법지대나 다름없었다고. 이후 해당 치안문제는 1920년대즈음부터 개선되었고, 30년대부터는 관외에서의 치안 문제가 확실하게 안정화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