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정위 정권 (아침해의 원유관)

 [ 국가 목록 ] 
 [ 소개 ]  
아침해의 원유관
아침해의 원유관은 임진왜란 축소로 인해 뒤바뀐 한국의 근현대사를 다룬 세계관입니다.
청화대에 이화문이 꽂혀있는 이 세계의 국가, 사회, 정치 및 문화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대한국

일본국

대금민국

러시아 차르국

중화민국

티베트 왕국

중화인민공화국

소련

마다가스카르 왕국

몽골

타이완민주주의인민공화제국

대한제국

대한 공화국

예케 몽골 울루스

대청제국

만주 사회주의 공화국


왕정위 정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틀:중국의 역사 (아침해의 원유관)
틀:제 2차 세계대전 참전국 (아침해의 원유관)
추축국
[ 펼치기 · 접기 ]
국가 | 지도자
유럽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이탈리아 왕국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살로 공화국 | 베니토 무솔리니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살러시 페렌츠
루마니아 왕국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불가리아 왕국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슬로바키아 제 1 공화국 | 요제프 티소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에밀 하하
크로아티아 독립국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 비드쿤 크비슬링
비시 프랑스 | 필리프 페탱
모나코 공국 | 루이 2세
세르비아 구국정부 | 밀란 네디치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 이반 미하일로프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 안드레이 블라소프
로고트 자치국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벨라루스 중앙 라다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그리스국 |알바니아 왕국 |핀도스 공국|류블랴나 주|덴마크 보호령
아시아 일본 제국 | 쇼와 덴노 · 고노에 후미마로 (전쟁 이전) · 도조 히데키 · 우가키 마토메 · 스즈키 간타로

대한제국 | 선종 현황제 · 김창암 · 송병조 · 이동녕
러시아 차르국 | 타티야나 1세 · 그레고리 세묘노프
대명제국 | 함화제 주자홍 · 인루겅
베트남 제국 | 바오다이 황제
캄보디아 왕국 | 노로돔 시아누크
자유 인도 임시정부 | 찬드라 보스
버마국 | 바 우
필리핀 제 2 공화국 | 호세 라우렐
라오스 왕국 | 시사방봉
예케 몽골 울루스 | 선종 현황제 ·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
왕정위 정권 | 왕징웨이 · 천궁보
아합국 | 선종 현황제 · 게오르기 바샤린
의제아번 | 선종 현황제
적탑번 | 선종 현황제

젤레나 우크라이나 임시정부 |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이라크 왕국 | 태국
이념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아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천조질서 · 대한당역 · 대동아공영권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간접적 지원 여부 논란
나치 독일의 괴뢰국/ 일본 제국의 괴뢰국/ 대한제국의 괴뢰국/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추축국의 주요 지도자 둘러보기

중화민국
中華民國 | Republic of China
대한제국의 괴뢰국
1940년 ~ 1943년
1943년 ~ 1945년
국기 국장
화평, 반공, 건국
和平反共建國
1940년 3월 30일 ~ 1945년 6월 16일
성립 이전 멸망 이후
중화민국 임시정부 중화민국
중화민국 경장정부
국가 정보
이칭
왕징웨이 국민정부[1]
汪精衛國民政府(정체)
汪精卫国民政府 (간체)
위치
중국 본토 동부 해안 일대
면적
1,264,000 km² (1940년 기준)
수도
난징시
국가
삼민주의가 (1940~1943)
동아민족행진곡 (1943~1945)
정치 체제
입헌공화제, 일당제, 민주주의 (명목상)

군사독재, 대한제국의 괴뢰정부 (사실상)
국교
없음 (사실상 유교 선린학)
화북통감
(실권자)
오영선 (1943-1945)[2]
주석
(국가원수)
왕징웨이 (1940~1944)
천궁보 (1944~1945)
행정원장
(정부수반)
량훙즈 (1940-1945)
군대
화평건국군
언어
중국어, 한국어
문자
한자, 한글
종교
유교, 불교, 도교, 기독교
통화
중앙저비은행권(中央儲備銀行券)[3]
중국연합준비은행태환권(中國聯合準備銀行兌換券)[4]
민족
중국인, 대한인
연호
중화민국(中華民國)

개요

중화민국 남경 국민정부(中華民國南京國民政府) 또는 왕정위 정권(汪精衛政權, Wang Jingwei regime)은 중국국민당의 핵심 인사인 왕징웨이가 왕징웨이 공작에 따라 포섭된 이후, 1940년 3월 30일 대한제국의 도움으로 건국한 괴뢰국이다. 그 후 왕징웨이는 스스로 주석 대행이 되어 대한제국과의 화친과 반공을 내세웠다. 전쟁에서 대한제국이 불리해지고 전보다 대중국 조치가 강경해지자 자연스럽게 왕징웨이 정부 역시 쇠퇴하였고, 왕징웨이의 사망 이후에도 간신히 유지되었으나 1945년 6월 16일 대한제국이 패망하자 그대로 해체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역사

정치

왕정위 정권은 크게 보면 기존 중화민국의 정치체계 대부분을 승계하여 국정을 운영하였고, 여기에는 중화민국의 정통성을 최대한 강조하고자 했던 왕징웨이의 의도가 담겨있었다. 많은 소음을 빚어내고 있던 일본 치하의 중국 괴뢰정부를 반례삼은 대한제국 정부가 별도로 새로운 정권을 만들어내는 대신 기존에 있던 인사인 왕지웨이를 등용하여 최대한 기존 중화민국의 구색이라도 흉내내는 것으로 괴뢰정부 수립의 방향성을 결정한 것도 있었다.

이런 구조에서 나라가 제대로 운영되는 것에는 무리가 있었다. 여기에 1943년을 기점으로 대한제국의 패색이 짙어지기 시작하자 설치된 통감부는 이내 남아있던 주석의 권한을 사실상 흡수하여 단기관에 왕정위 정권의 최고의결기관이나 다름없는 기관으로 권한이 치솟았고, 새롭게 들어선 화북통감부 내 기구인 정무총서회의는 행정원에서 처리되던 임무를 이양받은 후, 주객을 전도시켜 고문기관의 지시를 받아 행정원이 정책을 수행하는 기형적인 체제를 만들었다.

경찰

76호실

이념

외교

주요 인사

평가

매체에서

여담


  1. 왕정위 정권이라는 명칭이 있긴 하지만 해당 명칭은 한국에서 왕징웨이의 이름을 음차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중국에서는 주로 왕징웨이 국민정부라고 부른다.
  2. 베이징에 설치된 화북통감부 청사에서 집무를 수행했다.
  3. 정부 직할 영역.
  4. 화북정무위원회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