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 (아침해의 원유관):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아침해의 원유관}} {{아침해의 원유관 벽지}} {{대한국 황실 (아침해의 원유관)}}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class="wikitable" style="color:#000; 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280e80;" |- ! colspan="2" style="width:450px; color: #E3BA62; backgroun...)
 
편집 요약 없음
94번째 줄: 94번째 줄:
== 가족관계 ==
== 가족관계 ==
== 대외관계 ==
== 대외관계 ==
승계문제 탓인지 궁내부와 사이가 안 좋은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계속 돌고 있다. 흥종의 즉위 이후부터 한국 궁내부는 적통에 집착하는 모습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는데, 현재 황태자비가 낙점되지 못한 상태에서 친왕비가 임신해버리자 궁내부가 이를 달가워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들린다는듯. 실제로 이미 결혼 이후부터 궁내부가 정친왕 내외를 골탕먹이기 위해 낡은 옷을 준비한다는 등의 풍문이 들려오고 있다.
</div>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2024년 5월 8일 (수) 01:08 판

 [ 국가 목록 ] 
 [ 소개 ]  
아침해의 원유관
아침해의 원유관은 임진왜란 축소로 인해 뒤바뀐 한국의 근현대사를 다룬 세계관입니다.
청화대에 이화문이 꽂혀있는 이 세계의 국가, 사회, 정치 및 문화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대한국

일본국

대금민국

러시아 차르국

중화민국

티베트 왕국

중화인민공화국

소련

마다가스카르 왕국

몽골

타이완민주주의인민공화제국

대한제국

대한 공화국

예케 몽골 울루스

대청제국

만주 사회주의 공화국
대한국 황태자
이청
李䴖|Lee Chung
출생 1987년 3월 21일
대한국 한성부 궁내병원
국적 대한국
재위 대한제국 황태자
1899년 12월 27일 ~ 1929년 12월 13일
계승서열 1위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부모 부황 명화제 이순모친 황후 윤서빈
형제자매 2남 1녀 중 장남
배우자 없음
자녀 없음
종교 유교(성리학)
학력 수학원 소학원수료
수학원 초등과졸업
수학원 중등과졸업
수학원 고등과졸업
수학원대학 문학부인문학과/석사
수학원대학 대학원법률학과/석사
신장 183cm
이청(李䴖)
열고
작호 정친왕(鄭親王)

개요

대한국의 황태자. 한국의 시초가 되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 고황제의 후손 중 현재 차기 장자의 위치에 있는 인물이며, 동시에 명화제윤서빈 황후의 장남이기도 하다.

현재 대한국 황위계승 1순위이며, 명화제가 생전에 양위하거나 붕어하게 될 시 차대 대한국 대황제로서 즉위하게 될 예정이다. 현재는 통상적으로 황태자 전하, 황태자 등으로 불린다.

생애

1987년 3월 21일 오후 17시 45분, 당시 황태자였던 이순과 황태자비였던 윤서빈 사이의 장남으로서 한성부 궁내병원에서 태어났다.

본래는 출산이 창덕궁에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당시 황실에서의 고된 시집살이로 지쳤던 며느리의 건강을 우려한 태시제가 병원에서 출산을 권유하면서 궁내병원에서 출산하기로 결정이 났고, 그렇게 3월 21일 출생했다.

작명은 할아버지였던 태시제가 황족회의를 열어 진행했고, 야사에 따르면 당일날 병원으로 오는 길에 황제가 근처 강가에서 학을 목격했던 것에 영감을 얻어 이름이 결정됐다.

이후 둘째인 정친왕 이진도 병원에서 출생했고, 막내인 공주도 궁내병원에서 출산하면서 명화제의 자식들은 전부 병원에서 출생한 격이 됐다. 이때부터 다른 방계 황족들의 병원이용이 본격화됐다고.

유년기

출생 이후에는 부모와 함께 경운궁에서 지냈으며, 당시 건설이 다 된 경무전도 제안됐으나 새집이라 아기한테 위독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 기각됐다. 사실 경운궁이 채택된 이유는 원로 황족들이 많은 궁의 특성을 통해 조기 육아환경부터 황제가 될 장자로서 자랄 기반을 확실하게 마련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고 한다.

이때 당시 한국에서는 그의 출생에 국민들의 이목이 주목됐고, 아직 황제의 권위가 절대적이던 제국시절의 습관이 남아있던 시골이나 나이 지긋한 노년층의 경우 '황태자 전하의 탄신일을 황도에서 기념한다'며 한성으로 상경해서 단체로 광화문 같은 공공장소에서 절을 올리거나 행사를 벌이는 등의 일이 있었다.

청년기

인간관계

가계

가족관계

대외관계

기타

비슷하게 나이에 비해 젊어보이는 명화제에게 물려받은 체질인지는 몰라도 외모가 꽤 동안인 편이다. 때문에 얼굴이 더 늙어보이는 동생 정친왕이 사실 불륜으로 나온 서자가 아니냐는 소문이 가끔 돌기도 하며, 그래서 정친왕을 싫어하는 사람들의 경우 대게 저 레퍼토리를 꺼내들며 비난하는 케이스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