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태그: 편집 취소 |
||
83번째 줄: | 83번째 줄: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 [[러시아 차르국 (아침해의 원유관)|러시아 제국]], [[일본국 (아침해의 원유관)|대일본제국]],[[몽골 (아침해의 원유관)|몽골 칸국]]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 [[러시아 차르국 (아침해의 원유관)|러시아 제국]], [[일본국 (아침해의 원유관)|대일본제국]],[[몽골 (아침해의 원유관)|몽골 칸국]] | ||
|}</div> | |}</div>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FECD21; color: #00386a;" | 인문환경 | ! colspan="4" style="background:#FECD21; color: #00386a;" | 인문환경 | ||
107번째 줄: | 105번째 줄: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0386A;" | <center>군대</center>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00386A;" | <center>군대</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대청제국군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대청제국군 | ||
|}</div> | |}</div></div>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FECD21; color: #00386a;" | 정치 · 경제 | ! colspan="4" style="background:#FECD21; color: #00386a;" | 정치 · 경제 | ||
133번째 줄: | 129번째 줄: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대청제국 아이신(₳)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대청제국 아이신(₳) | ||
|- | |- | ||
|} | |} | ||
|} | |} |
2024년 5월 31일 (금) 17:59 판


![]() | |
[ 국가 목록 ]
[ 소개 ]
|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약 1600만 | |||
만주어 | |||
만주어, 한자 | |||
만주인, 중국인 등 | |||
티베트 불교, 대승 불교, 토착 신앙, 가톨릭, 개신교, 동방전교, 이슬람교, 도교 등 | |||
대청제국군 |
정치 · 경제
[ 펼치기 · 접기 ]
전제군주제(명목상), 과두정 (사실상) | |||
국무대신 | |||
제 1대 대청제국 대칸 아이신기오로 자이톈(광서제)[1] | |||
대청제국 쿠릴타이 [2] | |||
협화회 | |||
대청제국 아이신(₳) |
- ↑ 1907년 기준.
- ↑ 1907년 기준.
- ↑ 현재는 Manchuria가 대금민국의 영문 명칭인 관계로, 전근대 만주의 왕조인 후금에 대해서는 구분을 위해 Mahcuria보다 Aisin Gurun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으나 당대에는 후금을 국제적으로 Aisin Gurun으로 표기했다. 만주가 Aisin Gurun로 불린다는 사실은 전기 조선 시기부터 조정에서도 인지하고 있었는데, 그래서 칭제건원 이후 대청제국은 자국의 국호를 Empire of Quing으로 불러줄 것을 각국에 요구했지만 당시 국제사회에서는 과거부터 통용되던 국호인 Mahcuria를 따와 Empire of Mahcuria로 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