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총독부 (아침해의 원유관):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min-width:400px; max-width:400px; border:2px solid #E7CE85;" |- | colspan="5" style="font-size: 11pt; color: #E7CE85; background-image: linea...)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아침해의 원유관 벽지}}
{{아침해의 원유관}}
{{만주한치시기 관련 틀}}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min-width:400px; max-width:400px; border:2px solid #E7CE85;"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min-width:400px; max-width:400px; border:2px solid #E7CE85;"
|-
|-
24번째 줄: 27번째 줄:
|-
|-
|}
|}
만주총독부는 1908년부터 1945년까지 47년간 만주를 통치한 식민기구로, 이후 ㅎ
 
== 개요 ==
== 개요 ==
1910년 조일합방으로 인해 조선 식민지를 통치하기 위한 기구로 1910년 10월 1일 설치되었다. 1926년까지는 주일 공사관 청사를 중앙 청사로 사용했고, 이후 경복궁을 헐고 조선총독부(현 [[게이조|게이조부]] 청사) 청사를 건설하였다. 1939년에 조선총독 공관을 경복궁 후원에 지었다.
만주총독부는 1908년부터 1945년까지 47년간 만주를 통치한 식민기구로, 1907년 한만합방으로 인해 만주 식민지를 통치하기 위한 기구로 1908년 2월 4일 설치되었다. 공관은 애신각라 왕가의 황궁 근방에 지어졌다.


조선총독은 사실상 작은 정부의 수장으로, 3천만명에 달했던 조선인들을 통치했기 때문에 내각총리대신 다음가는 권력과 지위를 가졌다. 대부분의 총독들이 총독직을 거치고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기도 하였으며, 초대 총독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는 1대 총리를 역임했다. 1917년까지는 무관 출신이 총독이 되었지만 다이쇼 6년 만세운동 사건으로 [[야마가타 이사부로]]가 1926년까지 총독에 재임하면서 문관 총독이 임명되었다. 1956년 해산을 앞두고 조선인 언론가인 기무라 세이(김성수)가 총독으로 임명되기도 하였다.
군사 세력의 중심부라고도 할 수 있는 만주의 총독은 사실상 대한제국 내의 또다른 작은 정부의 수장으로, 총독에 대한 군의 신임도 필요했던데다가 3천만명에 달했던 만주인들을 통치했기 때문에 본토의 내각총리대신 다음가는 권력과 지위를 가졌다. 경우에 따라선 총독들이 총독직을 거치고 유력 정치인, 드물지만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기도 하였으며, 예시로 3대 총독이었던 이동휘는 공을 인정받아 실제로 총리를 역임했다.
 
1955년 식민지 주민의 평등권과 자치권을 주장했던 쇼와 데모크라시 운동이 일어났고, 조선 총독의 권한이 3권 분립을 침해한다는 진보 진영 정치인들의 비판이 거세지자 1956년 일본 정부는 조선총독부를 해산하고 조선과 대만 식민지에 도도부현 제도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1957년 47년에 걸친 역사를 지닌 조선총독부는 해산되게 되었다. 이후 대부분의 업무는 공식적으로는 게이조현청이 이어받았다.


== 업무 ==
== 업무 ==
조선 식민지에 대한 업무, 즉 정부 업무를 수행했다.
주로 만주 식민지에 대한 업무, 즉 정부 업무를 수행했다. 이 외에도 적백내전 이후부터는 소련과 러시아 차르국과의 경계를 관리하는 임무를 맡기도 했으며, 경우에 따라선 군의 주둔지로서 사용되기도 했다.  


== 조선 총독 ==
== 만주 총독 ==
조선 총독은 조선 식민지 정부인 조선총독부의 수장으로 한때는 내각총리대신과 거의 비슷한 권력을 가지기도 했다. 1934년부터 1945년까지 최장수 총독을 지낸 [[와카쓰키 레이지로]]는 실세총리로 불리기도 했다. 주요 총독으로는 [[이토 히로부미]], [[데라우치 마사타케]], [[와카쓰키 레이지로]] 등이 있다. 총리의 권한까지 넘볼 정도로 권한이 막강했지만 예산 문제로 첨예하게 대립하기는 힘들었고, 1950년대 들어 경제가 안정되고 민주주의가 정착하면서 조선 총독의 월권이 비판받았다. 이에 따라 1957년 조선총독부가 해산되면서 조선총독 지위도 사라졌다.
만주 총독은 만주 식민지 정부인 만주총독부의 수장으로, 위세가 정점에 달했을때는 내지에 있지 않을 뿐이지 내각총리대신과 거의 비슷한 권력을 가지기도 했다.


== 역대 총독 ==
== 역대 총독 ==
{| class="wikitable" style="float: center; min-width:100%; max-width:100%; border:2px solid #E7CE85;"
{| class="wikitable" style="float: center; min-width:100%; max-width:100%; border:2px solid #E7CE85;"
|-
|-
| colspan="6" style="font-size: 11pt; color: #E7CE85;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 <center>[[파일:저선총독부 휘장.png|50px]]<br>'''역대 조선 총독'''</center>
| colspan="6" style="font-size: 11pt; color: #E7CE85;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 <center>[[파일:만총 문장.png|50px]]<br>'''역대 만주 총독'''</center>
|-
|-
!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사진
!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사진
50번째 줄: 51번째 줄:
!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비고
!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비고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이토 히로부미.jpg|100px]]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jpg|100px]]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이토 히로부미]]<br>伊藤 博文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1910년]] [[10월 1일]] - [[1915년]] [[1월 12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둥근상자|입헌정우회|#ffffff|#FF3333|#FF3333}}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4년 3개월 1주 5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초대 한국 통감<br>초대 조선 총독<br>사망으로 인한 퇴임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3월 1일 만세운동으로 인해 사임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데라우치.jpg|100px]]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데라우치 마사타케]]<br>寺内 正毅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1915년]] [[1월 13일]] - [[1917년]] [[7월 3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무소속}}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2년 5개월 2주 6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만세운동으로 인해 사임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사이토 마코토.jpg|100px]]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사이토 마코토]]<br>寺内 正毅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1917년]] [[7월 4일]] - [[1918년]] [[12월 31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무소속}}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1년 5개월 3주 6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마지막 무관 총독<br>문관 총독 임명제에 의해 사임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야마가타 이사부로.jpg|100px]]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야마가타 이사부로]]<br>山縣 伊三郎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1919년]] [[1월 1일]] - [[1926년]] [[1월 6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무소속}}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7년 5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최초의 문관 총독<br>건강 문제로 사임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이케가미 시로.jpg|100px]]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이케가미 시로]]<br>池上 四郎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1926년]] [[1월 7일]] - [[1929년]] [[4월 4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무소속}}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3년 2개월 4주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사망으로 인한 퇴임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마지막 총독
|-
|-
|}
|}
=기타=
----
[[분류:아침해의 원유관]][[분류:아침해의 원유관/국가]]

2024년 3월 11일 (월) 02:50 판

 [ 국가 목록 ] 
 [ 소개 ]  
아침해의 원유관
아침해의 원유관은 임진왜란 축소로 인해 뒤바뀐 한국의 근현대사를 다룬 세계관입니다.
청화대에 이화문이 꽂혀있는 이 세계의 국가, 사회, 정치 및 문화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대한국

일본국

대금민국

러시아 차르국

중화민국

티베트 왕국

중화인민공화국

소련

마다가스카르 왕국

몽골

타이완민주주의인민공화제국

대한제국

대한 공화국

예케 몽골 울루스

대청제국

만주 사회주의 공화국
만주한치시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의 식민지 · 자치령 및 조차지
[ 펼치기 · 접기 ]
해당지역 명칭 담당기관
북만주 만주 만주총독부
동몽골 제국 몽고주 몽고도독부
프리모예 연해주 자치령 연해총관부
해당지역 명칭 기관
칭다오 청도 청도행정부
* 자치령은 1920년대 괴뢰국으로 [1]승격
괴뢰국 · 군정청
만주총독부
滿洲総督府
출범
1908년 2월 4일
해산
1945년 5월 6일
청사
경호도 심양부 건명로
주요 총독
이용익 (초대)
윤치호 (7대)
업무
대한제국의 식민지 만주에 대한 전반적인 통치
상부
대한제국 정부

개요

만주총독부는 1908년부터 1945년까지 47년간 만주를 통치한 식민기구로, 1907년 한만합방으로 인해 만주 식민지를 통치하기 위한 기구로 1908년 2월 4일 설치되었다. 공관은 애신각라 왕가의 황궁 근방에 지어졌다.

군사 세력의 중심부라고도 할 수 있는 만주의 총독은 사실상 대한제국 내의 또다른 작은 정부의 수장으로, 총독에 대한 군의 신임도 필요했던데다가 3천만명에 달했던 만주인들을 통치했기 때문에 본토의 내각총리대신 다음가는 권력과 지위를 가졌다. 경우에 따라선 총독들이 총독직을 거치고 유력 정치인, 드물지만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기도 하였으며, 예시로 3대 총독이었던 이동휘는 공을 인정받아 실제로 총리를 역임했다.

업무

주로 만주 식민지에 대한 업무, 즉 정부 업무를 수행했다. 이 외에도 적백내전 이후부터는 소련과 러시아 차르국과의 경계를 관리하는 임무를 맡기도 했으며, 경우에 따라선 군의 주둔지로서 사용되기도 했다.

만주 총독

만주 총독은 만주 식민지 정부인 만주총독부의 수장으로, 위세가 정점에 달했을때는 내지에 있지 않을 뿐이지 내각총리대신과 거의 비슷한 권력을 가지기도 했다.

역대 총독


역대 만주 총독
사진 이름 임기 정당 기간 비고
파일:.jpg
3월 1일 만세운동으로 인해 사임
마지막 총독

기타


  1. 연해주 자치령에서 극동 공화국으로, 극동 공화국에서 러시아 차르국으로 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