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아침해의 원유관 벽지}} | {{아침해의 원유관 벽지}} | ||
{{아침해의 원유관}} | {{아침해의 원유관}} | ||
{{대한제국의 만주 통치기관}} | |||
{{만주한치시기 관련 틀}} | {{만주한치시기 관련 틀}} | ||
</div> | </div>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min-width:400px; max-width:400px; border:2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min-width:400px; max-width:400px; border:2px solid #062861;" | ||
|- | |- | ||
| colspan="5" style="font-size: 11pt; color: # | | colspan="5" style="font-size: 11pt; color: #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 <center>[[파일:만주총독부 봉함지.svg|30px]]<br>'''{{large|만주총독부}}'''<br>'''滿洲総督府'''<nowiki>|</nowiki>'''Government-General of Manju'''</center> | ||
|- | |- | ||
| colspan="5" style="font-size: 11pt; color: #10275D; | | colspan="5" style="font-size: 11pt; color: #10275D; | <center>[[파일:대한제국령 만주 휘장 검은색.svg|180px]]</center> | ||
|- | |- | ||
| | | colspan="5"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center>'''휘장'''</center> | ||
|- | |- | ||
| | | colspan="5"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center>'''1910년 1월 4일 ~ 1945년 9월 28일'''</center> | ||
|- | |- | ||
! colspan="3" width="50%" style="color: #fff; background: #10275D;" | 설치 이전 | |||
! style="color: #fff; background: #10275D;"| 해체 이후 | |||
|- | |- | ||
! rowspan="2" colspan="3" width="50%" style="background:#00386A; color: #fff;" | [[파일:대청국 국기.png|20px|border]] [[대청제국 (아침해의 원유관)|{{color|#FECD21|대청제국}}]]<br><div style="display:inline; padding:2px 3px; border-radius:3px; background:#000; font-size:0.8em">[[청국통감부 (아침해의 원유관)|{{color|#D7B126|청국통감부}}]]</div> | |||
! colspan="3" width="45%" style="background:#e32205; color: #fff | [[파일:소만소만.png|20px|border]] [[만주 사회주의 공화국 (아침해의 원유관)|{{글씨 색|#f5bc20|만주 사회주의 공화국}}]] | |||
|- | |- |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 | ! style="background:#C00; color:#FFD700" | [[북만주 민정청 (아침해의 원유관)|{{글씨 색|#FFD700|소비에트 민정청}}]] | ||
|- | |||
| rowspan="1" width="25.42%"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center>'''출범'''</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1910년 1월 4일 | |||
|- |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center>'''해산'''</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1945년 9월 28일 | |||
|- |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center>'''소재지'''</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경호특별도 (만주한치시기)|경호특별도]] [[심양부 (만주한치시기)|심양부]] [[궁시얀방 (아침해의 원유관)|고궁방]] [[다이핀대로 (아침해의 원유관)|대금문2통]] <small>([[만주총독부 청사 (아침해의 원유관)|만주총독부 청사]])</small> | |||
|- |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center>'''시대 구분'''</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만주한치시기 (아침해의 원유관) #초기|무단통치]] <small>(1910년~1919년)</small><br>[[만주한치시기 (아침해의 원유관) #중기|교화통치]] <small>(1920년~1931년)</small><br>[[만주한치시기 (아침해의 원유관) #후기|민족말살통치]] <small>(1938년~1945년)</small> | |||
|- |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center>'''주요 총독'''</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이용익 (아침해의 원유관)|이용익]]<br> [[이병무 (아침해의 원유관)|이병무]]<br> [[이동휘 (아침해의 원유관)|이동휘]]<br> [[안경수 (아침해의 원유관)|안경수]]<br> [[이윤용 (아침해의 원유관)|이윤용]]<br> [[지청천 (아침해의 원유관)|지청천]]<br> [[윤치호 (아침해의 원유관)|윤치호]] | |||
|- |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center>'''업무'''</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대한제국의 식민지 만주에 대한 전반적인 통치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대한제국의 식민지 만주에 대한 전반적인 통치 | ||
|- | |- |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center>'''상부'''</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파일: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파일:전전 대한제국 국기.svg|23px|border]]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 정부 | ||
|- | |- | ||
|} | |} | ||
33번째 줄: | 49번째 줄: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
= 개요 = | = 개요 = | ||
'''만주총독부'''는 | '''만주총독부'''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47년간 만주를 통치한 식민기구로, 1907년 한만합방으로 인해 만주 식민지를 통치하기 위한 기구로 1910년 1월 4일 설치되었다. 공관은 애신각라 왕가의 황궁 근방에 지어졌다. | ||
군사 세력의 중심부라고도 할 수 있는 만주의 총독은 사실상 대한제국 내의 또다른 작은 정부의 수장으로, 총독에 대한 군의 신임도 필요했던데다가 3천만명에 달했던 만주인들을 통치했기 때문에 본토의 내각총리대신 다음가는 권력과 지위를 가졌다. 경우에 따라선 총독들이 총독직을 거치고 유력 정치인, 드물지만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기도 하였으며, 예시로 3대 총독이었던 이동휘는 공을 인정받아 실제로 총리를 역임했다. | 군사 세력의 중심부라고도 할 수 있는 만주의 총독은 사실상 대한제국 내의 또다른 작은 정부의 수장으로, 총독에 대한 군의 신임도 필요했던데다가 3천만명에 달했던 만주인들을 통치했기 때문에 본토의 내각총리대신 다음가는 권력과 지위를 가졌다. 경우에 따라선 총독들이 총독직을 거치고 유력 정치인, 드물지만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기도 하였으며, 예시로 3대 총독이었던 이동휘는 공을 인정받아 실제로 총리를 역임했다. | ||
47번째 줄: | 63번째 줄: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
= 역대 총독 = | = 역대 총독 = | ||
{| class="wikitable" style="float: center; min-width:100%; max-width:100%; border:2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float: center; min-width:100%; max-width:100%; border:2px solid #062861;" | ||
|- | |- | ||
| colspan="6" style="font-size: 11pt; color: # | | colspan="6" style="font-size: 11pt; color: #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 <center>[[파일:만주총독부 휘장 흰색.svg|50px]]<br>'''역대 만주 총독'''</center> | ||
|- | |- | ||
! style="font-size: 10pt; color: # | !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대수 | ||
! style="font-size: 10pt; color: # | !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개인정보 | ||
! style="font-size: 10pt; color: # | !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임기 | ||
! style="font-size: 10pt; color: # | !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10275D;" | 설명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초대'''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초대'''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Lee_Yong-ik_Portrait.jpg|200px|border]]{{구분선}}이용익<br>李容翊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Lee_Yong-ik_Portrait.jpg|200px|border]]{{구분선}}이용익<br>李容翊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1910년 1월 4일~1914년 10월 12일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함경북도 출신이자 제 1대 총독. 이전에는 군부대신을 역임했으며, 이완용이 사망한 이후 잠시 임시 통감직을 맡은 경험에 따라 초대 총독직을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정책으로는 만주에서의 무단통치 실시가 있으며, 이후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함경북도 출신이자 제 1대 총독. 이전에는 군부대신을 역임했으며, 이완용이 사망한 이후 잠시 임시 통감직을 맡은 경험에 따라 초대 총독직을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정책으로는 만주에서의 무단통치 실시가 있으며, 이후 4년간의 임기를 끝내고 본격적인 정계 진출을 위해 본토로 귀국했다.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2대'''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2대''' | ||
72번째 줄: | 88번째 줄: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4대'''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4대'''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안경수.webp|200px|border]]{{구분선}}안경수<br>(安駉壽)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경기도 출신으로, 재임기간동안 관료들의 근무기강을 개선해 제대로 된 행정을 구현했고, 총독부 조직을 개편하고 농업진흥정책과 수력발전소 건설 등 공업 정책을 추진하기도 하여 '만주의 가한'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하였다. 하지만 흑주교와의 커넥션이 드러나면서 이후 총독직을 사임했다.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5대'''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5대'''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이윤용.webp|200px|border]]{{구분선}}이윤용<br>李允用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이윤용.webp|200px|border]]{{구분선}}이윤용<br>李允用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전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의 의붓형이자 최초의 '''문관 총독'''. 총독이 되기 이전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전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의 의붓형이자 최초의 '''문관 총독'''. 총독이 되기 이전 학부대신직을 잠시 역임했으며, 금권비리로 대표되는 부패한 통치로 식민지 만주 내에서 악명을 떨치다가 총독 임기 도중 노환으로 인해 사망했다. 또한, 마지막으로 선출된 유교 파시즘 정당과 무관한 총독이기도 하다.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6대'''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6대'''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지청천 총독.webp|200px|border]]{{구분선}}지청천<br>池靑天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지청천 총독.webp|200px|border]]{{구분선}}지청천<br>池靑天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몽골 출병 당시 제 19사단의 사령관이자 초대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몽골 출병 당시 제 19사단의 사령관이자 초대 몽고번 도독으로, 김창암의 신임을 받아 얻은 명망으로 총독 자리를 역임했다. 재임 기간동안 지원병 제도 등을 시행하여 만주인들을 시베리아 전선, 중국 전선 등으로 차출 시켰고 서원참배, 창성개명 등의 정책과 전쟁을 위한 강제징용을 실시했다. 말기에는 악명 높은 학도의병 모집을 진행하였다.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7대'''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7대''' |
2025년 4월 16일 (수) 18:50 기준 최신판


![]() | |
[ 국가 목록 ]
[ 소개 ]
|
1905~1909 | 1910~1945 |
---|---|
만주한치시기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