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 rowspan="1" width="25.42%"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center>'''출범'''</center> | | rowspan="1" width="25.42%"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center>'''출범'''</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1910년 1월 4일 | ||
|- | |- |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center>'''해산'''</center>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center>'''해산'''</center>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 |- |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center>'''청사'''</center>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center>'''청사'''</center>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경호특별자치도 심양부 건명로 | ||
|- | |- |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center>'''주요 총독'''</center> | | row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E7CE85; background: #10275D;" | <center>'''주요 총독'''</center>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
= 개요 = | = 개요 = | ||
'''만주총독부'''는 | '''만주총독부'''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47년간 만주를 통치한 식민기구로, 1907년 한만합방으로 인해 만주 식민지를 통치하기 위한 기구로 1910년 1월 4일 설치되었다. 공관은 애신각라 왕가의 황궁 근방에 지어졌다. | ||
군사 세력의 중심부라고도 할 수 있는 만주의 총독은 사실상 대한제국 내의 또다른 작은 정부의 수장으로, 총독에 대한 군의 신임도 필요했던데다가 3천만명에 달했던 만주인들을 통치했기 때문에 본토의 내각총리대신 다음가는 권력과 지위를 가졌다. 경우에 따라선 총독들이 총독직을 거치고 유력 정치인, 드물지만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기도 하였으며, 예시로 3대 총독이었던 이동휘는 공을 인정받아 실제로 총리를 역임했다. | 군사 세력의 중심부라고도 할 수 있는 만주의 총독은 사실상 대한제국 내의 또다른 작은 정부의 수장으로, 총독에 대한 군의 신임도 필요했던데다가 3천만명에 달했던 만주인들을 통치했기 때문에 본토의 내각총리대신 다음가는 권력과 지위를 가졌다. 경우에 따라선 총독들이 총독직을 거치고 유력 정치인, 드물지만 내각총리대신으로 지명되기도 하였으며, 예시로 3대 총독이었던 이동휘는 공을 인정받아 실제로 총리를 역임했다. | ||
59번째 줄: | 59번째 줄: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초대'''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초대'''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Lee_Yong-ik_Portrait.jpg|200px|border]]{{구분선}}이용익<br>李容翊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파일:Lee_Yong-ik_Portrait.jpg|200px|border]]{{구분선}}이용익<br>李容翊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1910년 1월 4일~1914년 10월 12일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함경북도 출신이자 제 1대 총독. 이전에는 군부대신을 역임했으며, 이완용이 사망한 이후 잠시 임시 통감직을 맡은 경험에 따라 초대 총독직을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정책으로는 만주에서의 무단통치 실시가 있으며, 이후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함경북도 출신이자 제 1대 총독. 이전에는 군부대신을 역임했으며, 이완용이 사망한 이후 잠시 임시 통감직을 맡은 경험에 따라 초대 총독직을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정책으로는 만주에서의 무단통치 실시가 있으며, 이후 4년간의 임기를 끝내고 본격적인 정계 진출을 위해 본토로 귀국했다. | ||
|- | |-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2대'''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 <center> '''제 2대''' |
2024년 8월 15일 (목) 17:38 판


![]() | |
[ 국가 목록 ]
[ 소개 ]
|
1905~1909 | 1910~1945 |
---|---|
만주한치시기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