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아침해의 원유관}} {{틀:한국 내각총리대신}} {{아침해의 원유관 벽지}} </div>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class="wikitable" style="color:#000; 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1b0e64;" |- ! colspan="2" style="width:450px; color:#eccd7a; background:#1b0e64;" |...)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color:#000; 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1b0e64;" | {| class="wikitable" style="color:#000; 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1b0e64;" | ||
|- | |- | ||
! colspan="2" style="width:450px; color:# | ! colspan="2" style="width:450px; 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대한제국 제 13대 내각총리대신<br>{{large|박중양}}<br>朴重陽 <nowiki>|</nowiki> Bak Jung-yang | ||
|- | |-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박중양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제 13대 내각총리 박중양.png|450px]]</div> | ||
|- | |- | ||
! rowspan="2" width=25% style="color:# | ! rowspan="2" width=25%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출생 | ||
| 1872년 5월 3일 | | 1872년 5월 3일 | ||
|- | |- | ||
| 조선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 | 조선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 ||
|- | |- | ||
! rowspan="2" width=25% style="color:# | ! rowspan="2" width=25%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사망 | ||
| 1960년 4월 23일 | | 1960년 4월 23일 | ||
|- | |- | ||
| [[대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국]] 경상북도 동래부 | | [[대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국]] 경상북도 동래부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국적 | ||
| [[파일:Flag ofKorea (1897).png|20px]] 조선 → [[파일: | | [[파일:Flag ofKorea (1897).png|20px]] 조선 → [[파일:광목성대 대한제국 국기.svg|28px|border]]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국]] → [[파일:원유관 구 대한제국 국기.png|28px|border]]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 [[파일:다이칸.png|28px|border]] [[대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국]]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최종 당적 | ||
| 무소속 | | 무소속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재임 기간 | ||
| | | 1923년 1월 17일 ~ 1925년 4월 29일 | ||
|- | |- | ||
| colspan="4" |{{펼접|id=PJY-1}} | | colspan="4" |{{펼접|id=PJY-1}} | ||
|- | |- | ||
! width=25% style="color:# | ! width=25%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부모 | ||
| <sup>'''친부'''</sup> 박정호 <sup>'''친모'''</sup> 전주 이씨 | | <sup>'''친부'''</sup> 박정호 <sup>'''친모'''</sup> 전주 이씨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배우자 | ||
| <sup>정실</sup> 전주 이씨 <sup>첩실</sup> 구씨 | | <sup>정실</sup> 전주 이씨 <sup>첩실</sup> 구씨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자녀 | ||
| 슬하 3남 1녀 | | 슬하 3남 1녀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학력 | ||
| 대한국 한성 중학교 수료<br>대한국 한성부 영동중학교 졸업<br>대한제국 한성부 부기학교 전문학사 | | 대한국 한성 중학교 수료<br>대한국 한성부 영동중학교 졸업<br>대한제국 한성부 부기학교 전문학사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병역 | ||
| 없음 | | 없음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종교 | ||
| 유교(성리학) | | 유교(성리학)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작위 | ||
| | | 자작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자 | ||
| 원근(源根) | | 원근(源根)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호 | ||
| 해악 (海岳) → 일소(一笑) | | 해악 (海岳) → 일소(一笑)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ca9b0a; background:#1b0e64;" | 소속 정당 | ||
| 무소속 | | 무소속 | ||
|- | |- | ||
70번째 줄: | 70번째 줄: | ||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의 제 13대 내각총리대신. |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의 제 13대 내각총리대신. | ||
1872년 경기도에서 출생한 뒤 당시 한국에 불어오던 서구화의 물결을 타고 열렬한 개화 지지자로서 정계에 입문하였으며, 이후 | 1872년 경기도에서 출생한 뒤 당시 한국에 불어오던 서구화의 물결을 타고 열렬한 개화 지지자로서 정계에 입문하였으며, 이후 1915년에 전시체제와 함께 불어온 젊은 정치인에 대한 대중적인 지지도의 상승으로 성공가도를 달린 끝에, 마침내 내각총리대신으로 취임하여 1차 대전기동안 한국의 국가정책을 지휘했었다. | ||
</div> | </div> | ||
89번째 줄: | 87번째 줄: | ||
엄청난 양의 토지를 소유했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그의 땅투기 욕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만주에 드넓은 토지를 소유했었는데 현재도 그 땅에 대한 지분이 후손들에게 남아있다고 평가받을 정도. 물론, 대금민국 당국은 박중양의 후손들이 자국 영토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엄청난 양의 토지를 소유했었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그의 땅투기 욕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만주에 드넓은 토지를 소유했었는데 현재도 그 땅에 대한 지분이 후손들에게 남아있다고 평가받을 정도. 물론, 대금민국 당국은 박중양의 후손들이 자국 영토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
중년에 들어서는 개화장(開化杖)이라는 서양풍의 지팡이를 짚고 다녔다고 한다. 가끔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이 있는 경우 지팡이로 구타하기도 했다고 하며, 때문에 | 중년에 들어서는 개화장(開化杖)이라는 서양풍의 지팡이를 짚고 다녔다고 한다. 가끔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이 있는 경우 지팡이로 구타하기도 했다고 하며, 때문에 한 번은 호국회의 집권시기 마음에 안든다고 고위 당원을 구타했다가, 벌금을 거하게 물고 옥살이 신세를 몇칠간 한적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당대에 붙은 그의 별명이 '박 작대기 대신'이였다. | ||
</div> | </div> |
2024년 8월 6일 (화) 17:17 기준 최신판

![]() | |
[ 국가 목록 ]
[ 소개 ]
|
대한국 역대 내각총리대신 | ||||||||||||||||||||||||||||||||||||||||||||||||||||||||||||||||||||||||||||||||||||||||||||||||||||||||||||||||||||||||||||||||
[ 펼치기 · 접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