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colspan="3" |[[파일:좌독시베리대한제국군_육군기.png|x225px]] | ! colspan="3" |[[파일:좌독시베리대한제국군_육군기.png|x225px]] | ||
! [[파일:대한제국군_해군기.png|x225px]] | ! [[파일:대한제국군_해군기.png|x225px]] | ||
! [[대한제국군 공군 상징.svg|x200px]] | |||
|- | |- | ||
! colspan="3" width=" | ! colspan="3" width="30%" style="background: #928934; color: #fff" | 대한제국 육군<br>大韓帝國陸軍 | ||
! width=" | ! width="30%" style="background: #2f4f2f; color: #fff" | 대한제국 해군<br>大韓帝國海軍 | ||
! width="30%" style="background: #2f4f2f; color: #fff" | 대한제국 공군<br>大韓帝國空軍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16124a; color:#fff" | '''군기(좌독기)''' | ! colspan="4" style="background:#16124a; color:#fff" | '''군기(좌독기)''' |
2024년 9월 1일 (일) 04:56 판

![]() | |
[ 국가 목록 ]
[ 소개 ]
|

| ||||||||||||||||||||||||||||||||||||||||||||||||||||||||||||||||||||||||||||||||||||||||||||||||||||||||||||||||||||||||||||||||||||||||||||||||||||||||||
---|---|---|---|---|---|---|---|---|---|---|---|---|---|---|---|---|---|---|---|---|---|---|---|---|---|---|---|---|---|---|---|---|---|---|---|---|---|---|---|---|---|---|---|---|---|---|---|---|---|---|---|---|---|---|---|---|---|---|---|---|---|---|---|---|---|---|---|---|---|---|---|---|---|---|---|---|---|---|---|---|---|---|---|---|---|---|---|---|---|---|---|---|---|---|---|---|---|---|---|---|---|---|---|---|---|---|---|---|---|---|---|---|---|---|---|---|---|---|---|---|---|---|---|---|---|---|---|---|---|---|---|---|---|---|---|---|---|---|---|---|---|---|---|---|---|---|---|---|---|---|---|---|---|---|
[ 펼치기 · 접기 ]
|
- ↑ 융희 6년(1905년)까지
- ↑ 융희 6년(1905년)부터
- ↑ 이게 가능했던 이유는, 아시아에서 일본군을 제외하면 한국군을 막을 수 있는 나라가 없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그 일본군도 해군에선 압도적이었으나 육군의 무장과 위력 면에서는 한국군보다 모자랐고, 더불어 고조라는 한국사 최고의 성군 중 하나가 정부 권위의 강화를 위해 개화 과정에서 체제 및 군사력에 급진적인 변화를 준 것 또한 중요한 이유로 꼽힌다. 다만 중기부터는 늘상 압승으로 끝나는 침략전쟁만이 계속되었고, 군 내 원로들도 다 사라지고 군국주의 정신도 식민지를 넘어 전국에 퍼진데다, 소련과 시베리아에서 총격전을 주고받던 말기가 되었을때는 마치 옆나라 일본의 군대를 연상시키는 막장군대로 거듭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