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한국 관련 틀}} | {{한국 관련 틀}}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240f6f; font-size:10.5pt; float:right"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background:linear-gradient(120deg, #fff 5%, #240f6f 5%, #240f6f 9%, #fff 9%, #fff 10%, #240f6f 10%, #240f6f 14%, #fff 14%, #fff 15%, #240f6f 15%, #240f6f 19%, #fff 19%, #fff 81%, #c91e31 81%, #c91e31 90%, #240f6f 90%); color:# | ! colspan="4" style="background-repeat: no-repeat;background:linear-gradient(120deg, #fff 5%, #240f6f 5%, #240f6f 9%, #fff 9%, #fff 10%, #240f6f 10%, #240f6f 14%, #fff 14%, #fff 15%, #240f6f 15%, #240f6f 19%, #fff 19%, #fff 81%, #c91e31 81%, #c91e31 90%, #240f6f 90%); color:#240f6f" | [[파일:EOK국장.svg|30px|link=]]<br>{{글씨 색|#240f6f|{{large|대한국}}}}<br>{{글씨 색|#240f6f|大韓國 <nowiki>|</nowiki> Korea}} | ||
|- | |- | ||
! colspan="3 "style="height:150px" | {{테두리|[[파일: | ! colspan="3 "style="height:150px" | {{테두리|[[파일:원유대한국기.svg|150px]]}} | ||
! [[파일:원유관아침_대한국_국장.png|x110px]] | ! [[파일:원유관아침_대한국_국장.png|x110px]] | ||
|- | |- | ||
! width="50%" colspan="3" style="background:# | ! width="50%" colspan="3" style="background:#BB002C; color:#fff" | 국기 | ||
! width="50%" style="background:# | ! width="50%" style="background:#240f6f; color:#fff" | 국장 | ||
|- | |- | ||
! colspan="4" width="100%" style="color:#BB002C;"| '''광명천지'''<br>'''{{글씨 색|# | ! colspan="4" width="100%" style="color:#BB002C;"| '''광명천지'''<br>'''{{글씨 색|#240f6f|光明天地}}'''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상징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국가</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애국가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애국가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국화</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무궁화,오얏꽃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무궁화,오얏꽃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center>국조</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참매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참매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역사 | ||
|- | |- | ||
| colspan="4" |{{펼접|id=ks-1}} | | colspan="4" |{{펼접|id=ks-1}}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 |- | ||
| 1392년 대조선국 건국</br>1875년 대한독립선언문 반포</br>1894년 대한제국 선포</br>1904년 [[한러일 전쟁|한러일 전쟁]]</br> | | 1392년 대조선국 건국</br>1875년 대한독립선언문 반포</br>1894년 대한제국 선포</br>1904년 [[한러일 전쟁|한러일 전쟁]]</br>1933년 [[계유정사|한성진군]], 비상계엄령 발표</br>1934년 [[일심 체제 (아침해의 원유관)|일심 체제]] 시작, 몽골출병 종료</br>1936년 4국 동맹 체결</br>1941년 [[동시베리아 전쟁|동시베리아 전쟁 발발]]</br>1945년 포츠담 선언 수용, 연합군 점령</br>1946년 대한국 헌법 공표, 대한국 출범</br>1955년 [[1955년 조선공산당 쿠데타 미수사건|조선공산당 쿠데타 미수]]</br>2010년 명화제 이순 즉위 | ||
|}</div></div> | |}</div></div>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지리 | ||
|- | |- | ||
| colspan="4" |{{펼접|id=ks-34567890-1}} | | colspan="4" |{{펼접|id=ks-34567890-1}}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수도| 최대도시 | ||
</center> | </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한성 (아침해의 원유관)|황경 한성부]]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한성 (아침해의 원유관)|황경 한성부]]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면적</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375,025km²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375,025km²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내수비</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2.9%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2.9%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위치</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동북아시아 대한반도, 남만주 일대 및 부속도서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동북아시아 대한반도, 남만주 일대 및 부속도서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주변국</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파일:일본 국기.webp.svg|22px|border|link=]] [[일본국 (아침해의 원유관)|일본국]]<br>[[파일:러만주.png|22px|border|link=]] [[대금민국 (아침해의 원유관)|대금민국]]<br>[[파일:CMS 러시아 차르국 국기.svg|22px|border|link=]] [[러시아 차르국 (아침해의 원유관)|러시아 차르국]]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파일:일본 국기.webp.svg|22px|border|link=]] [[일본국 (아침해의 원유관)|일본국]]<br>[[파일:러만주.png|22px|border|link=]] [[대금민국 (아침해의 원유관)|대금민국]]<br>[[파일:CMS 러시아 차르국 국기.svg|22px|border|link=]] [[러시아 차르국 (아침해의 원유관)|러시아 차르국]] | ||
|}</div></div> | |}</div></div>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인문환경 | ||
|- | |- | ||
| colspan="4" |{{펼접|id=ks-2}} | | colspan="4" |{{펼접|id=ks-2}} | ||
|- | |- | ||
| colspan="1" rowspan="5" width="15%"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rowspan="5" width="15%"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인구'''</center> | ||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총 인구'''</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120,659,885명<small>(2023년)</small> | | colspan="2" align=left | 120,659,885명<small>(2023년)</small>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민족 구성'''</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한민족 (아침해의 원유관)|한민족]] 96.7%<br/>만주인 0.92<br/>일본인 0.83%<br/>중국인 0.75%<br/>러시아인 0.26%<br/>캐나다인 0.24%<br/>태국인 0.11%<br/>기타 0.27% | | colspan="2" align=left | [[한민족 (아침해의 원유관)|한민족]] 96.7%<br/>만주인 0.92%<br/>일본인 0.83%<br/>중국인 0.75%<br/>러시아인 0.26%<br/>캐나다인 0.24%<br/>태국인 0.11%<br/>기타 0.27%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인구밀도'''</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311.5명/km² | | colspan="2" align=left | 311.5명/km²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출산율'''</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1.22명 | | colspan="2" align=left | 1.22명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기대수명'''</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84.4<small>(2024년 기준)</small> | | colspan="2" align=left | 84.4<small>(2024년 기준)</small> | ||
|- | |- | ||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언어</center>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공용어'''</center> | ||
| colspan="2" align=left |한국어<small>사실상</small> | | colspan="2" align=left |한국어<small>사실상</small>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공용문자'''</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한자, 한글 | | colspan="2" align=left | 한자, 한글 | ||
|- | |- | ||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종교</center>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국교'''</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없음<small>(제정분리)</small> | | colspan="2" align=left | 없음<small>(제정분리)</small>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종교 분포'''</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무종교 | | colspan="2" align=left | 무종교 50.8%<br/>불교 21.3%<br/>기독교 19.7%(가톨릭 14.4, 개신교 5.3)<br/>천도교 2.7%<br/>대종교 1.3%<br/>그 외 5.2%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군대'''</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대한 국방군 (아침해의 원유관)|대한 국방군]] | | colspan="2" align=left | [[대한 국방군 (아침해의 원유관)|대한 국방군]]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주둔군'''</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주한미군, UN군 | | colspan="2" align=left | 주한미군, UN군 | ||
|}</div></div> | |}</div></div>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하위 행정구역 | ||
|- | |- | ||
| colspan="4" |{{펼접|id=ks-26}} | | colspan="4" |{{펼접|id=ks-26}}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경부도</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2경(京) 27부(府) 22도(道)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군현방</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272군(郡) 331현(縣) 50방(坊) 548구(區)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272군(郡) 331현(縣) 50방(坊) 548구(區) | ||
|}</div></div> | |}</div></div>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정치 | ||
|- | |- | ||
| colspan="4" |{{펼접|id=ks-3}} | | colspan="4" |{{펼접|id=ks-3}}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정치 체제'''</center> | ||
| colspan="2" align="left" |입헌군주제, 자유민주주의, 의원내각제, 다당제(사실상 일당우위제), 양원제, 단일국가 | | colspan="2" align="left" |입헌군주제, 자유민주주의, 의원내각제, 다당제(사실상 일당우위제), 양원제, 단일국가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국가 원수'''</center><small>(대황제)</small> | ||
| 명화황제 이순<ref>2024년 기준</ref> | | 명화황제 이순<ref>2024년 기준</ref> | ||
|- | |- | ||
| colspan="1" width="15%" rowspan="4" align="center" style=" | | colspan="1" width="15%" rowspan="4"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정부<br>요인'''</center></div> | ||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 |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아침해의 원유관)|{{color|#fff|내각총리대신}}]]<div>(정부수반)''' | ||
| [[안철수 (아침해의 원유관)|안철수]] | | [[안철수 (아침해의 원유관)|안철수]]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중추원 의장'''</center> | ||
| [[김영남 (아침해의 원유관)|김영남]] | | [[김영남 (아침해의 원유관)|김영남]]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중서원 의장'''</center> | ||
| [[진병욱 (아침해의 원유관)|진병욱]] | | [[진병욱 (아침해의 원유관)|진병욱]]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대법원장'''</center> | ||
| [[조희대 (아침해의 원유관)|조희대]] | | [[조희대 (아침해의 원유관)|조희대]]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민주주의 지수'''</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163개국 중 17위,'''{{글씨 색|green|완전한 민주주의}}'''<ref>8.65점</ref> | | colspan="2" align="left" | 163개국 중 17위,'''{{글씨 색|green|완전한 민주주의}}'''<ref>8.65점</ref>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여당'''</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틀:신진민주당 (아침해의 원유관)}} | | colspan="2" align="left" | {{틀:신진민주당 (아침해의 원유관)}}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연립여당'''</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틀:국민당 (아침해의 원유관)}} | | colspan="2" align="left" | {{틀:국민당 (아침해의 원유관)}}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국성'''</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 colspan="2" align="left" | 전주 이씨(全州 李氏)<ref>영어로는 Imperial House (of) Yi.</ref> | ||
|}</div></div> | |}</div></div>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경제 | ||
|- | |- | ||
| colspan="4" |{{펼접|id=ks-4}} | | colspan="4" |{{펼접|id=ks-4}}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경제체제'''</center> | ||
| colspan="2" align="left"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colspan="2" align="left"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 | |- | ||
|colspan="1" rowspan="2" width="15%" algi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colspan="1" rowspan="2" width="15%" algi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명목 GDP'''</center> | ||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25%"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전체GDP'''</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4조 5200억$<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4위 | | colspan="2" align="left" | 4조 5200억$<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4위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center>'''1인당 GDP'''</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34,038$<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32위 | | colspan="2" align="left" | 34,038$<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32위 | ||
|- | |- | ||
|colspan="1" rowspan="2" width="15%" algi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colspan="1" rowspan="2" width="15%" algi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GDP<br>(PPP)'''</center>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전체 GDP'''</center> | ||
| colspan="2" align="left" |5조 1009억$<sup>(2022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6위 | | colspan="2" align="left" |5조 1009억$<sup>(2022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6위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1인당 GDP'''</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57,453$<sup>(2022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18위 | | colspan="2" align="left" | 57,453$<sup>(2022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18위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국부'''</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25조 2675억$<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4위 | | colspan="2" align="left" | 25조 2675억$<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4위 | ||
|- | |- | ||
|colspan="1" rowspan="2" width="15%" algi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colspan="1" rowspan="2" width="15%" algi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수출입액'''</center>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수출'''</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7,212억$<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4위 | | colspan="2" align="left" | 7,212억$<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4위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수입'''</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6,874억$<sup>(2024년 기준)</sup> | | colspan="2" align="left" | 6,874억$<sup>(2024년 기준)</sup>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외환보유액'''</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1조 2,747억$<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3위 | | colspan="2" align="left" | 1조 2,747억$<sup>(2024년 기준)</sup> <nowiki>|</nowiki>세계 3위 | ||
|- | |-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신용등급'''</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무디스 Aa2<br> | | colspan="2" align="left" | 무디스 Aa2<br> | ||
S&P AA<br>Fitch A | S&P AA<br>Fitch A | ||
|- | |- | ||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화폐'''</center>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공식 화폐'''</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대한국 원(圓,₩) | | colspan="2" align="left" | 대한국 원(圓,₩)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ISO 4217'''</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KW | | colspan="2" align="left" | KW | ||
|- | |- | ||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rowspan="2"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국가예산'''</center>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center>'''1년 세입'''</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1조 6578억$<sup>(2024년 기준)</sup> | | colspan="2" align="left" | 1조 6578억$<sup>(2024년 기준)</sup> | ||
|- | |-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1년 세출'''</center> | ||
| colspan="2" align="left" | 1조 1,654억$<sup>(2024년 기준)</sup> | | colspan="2" align="left" | 1조 1,654억$<sup>(2024년 기준)</sup> | ||
|- | |- | ||
|}</div></div> | |}</div></div>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단위 | ||
|- | |- | ||
| colspan="4" |{{펼접|id=ks-5}} | | colspan="4" |{{펼접|id=ks-5}}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법정 연호</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명화 시대 (아침해의 원유관)|명화]](明和)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명화 시대 (아침해의 원유관)|명화]](明和)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시간대</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UTC+9(한국 표준시)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UTC+9(한국 표준시)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도량형</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SI 단위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SI 단위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center>운전석(통행 방향)</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오른쪽(우측통행)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오른쪽(우측통행) | ||
|}</div></div> | |}</div></div>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외교 | ||
|- | |- | ||
| colspan="4" |{{펼접|id=ks-6}} | | colspan="4" |{{펼접|id=ks-6}}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UN 가입</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1956년 7월 25일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 1956년 7월 25일 | ||
|- | |-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 | ! colspan="1" width="40%" style="font-size: 10pt; color: #fff; background: #BB002C;" | <center>수교국</center> |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195개국 | | colspan="3" style="font-size: 10pt |195개국 | ||
|}</div></div> | |}</div></div>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ccTLD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kr, .한국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kr, .한국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국가코드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408, KOR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408, KOR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240f6f; color: #fff;" | 국제전화 코드 | ||
|- | |- |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82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 +82 | ||
244번째 줄: | 244번째 줄: | ||
|}</div> | |}</div> | ||
|} | |} | ||
{| class="wikitable" style="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color:#000000;width:470px;border:2px solid #240f6f; margin-top:15px" | {| class="wikitable" style="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color:#000000;width:100%; max-width:470px;border:2px solid #240f6f; margin-top:15px" | ||
|- | |- | ||
|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120deg, #fff 5%, #240f6f 5%, #240f6f 9%, #fff 9%, #fff 10%, #240f6f 10%, #240f6f 14%, #fff 14%, #fff 15%, #240f6f 15%, #240f6f 19%, #fff 19%, #fff 81%, #c91e31 81%, #c91e31 90%, #240f6f 90%); color:#240f6f;padding:5px" | 위치 | |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120deg, #fff 5%, #240f6f 5%, #240f6f 9%, #fff 9%, #fff 10%, #240f6f 10%, #240f6f 14%, #fff 14%, #fff 15%, #240f6f 15%, #240f6f 19%, #fff 19%, #fff 81%, #c91e31 81%, #c91e31 90%, #240f6f 90%); color:#240f6f;padding:5px" | 위치 | ||
250번째 줄: | 250번째 줄: | ||
| style="padding:30px" | [[파일:CCMS_대한국_지도.svg]] | | style="padding:30px" | [[파일:CCMS_대한국_지도.svg]] | ||
|} | |} | ||
{| class="wikitable" style="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color:#000000;max-width:470px;border:2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font-weight:bold; text-align:center; color:#000000;max-width:470px;border:2px solid #240f6f;margin-top:15px"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240f6f;padding:5px" | 대한국 수도 황경 한성부의 전경 | ||
|- | |- | ||
| {{youtube|sr3O7ArQTYY|448|250}} | | {{youtube|sr3O7ArQTYY|448|250}} | ||
|- | |- | ||
| style="color:# | | style="color:#240f6f;padding:5px" | 서경 평양부의 전경 | ||
|- | |- | ||
| {{youtube|gw2x8ZXj6VA|448|250}} | | {{youtube|gw2x8ZXj6VA|448|250}} | ||
266번째 줄: | 266번째 줄: | ||
{{clearfix}} | {{clearfix}} | ||
=개요= | =개요=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2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2px solid #240f6f; text-align: center;" | ||
|- | |- | ||
| style="color: #fff; background: # | | style="color: #fff; background: #240f6f;" | <div style="margin: -5.0px -9.0px">{{Youtube|gaFb6Tl0bt4|600px}}</div><div style="margin: -11.0px 0px"></div> | ||
|- | |- | ||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0963, # |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e0963, #240f6f 20%, #280f7a 80%, #1e0963); color: #fff | [[파일:EOK국장.svg|20px]]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2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2px solid #240f6f; text-align: left; color:#240f6f; max-width:600px;" | ||
|- | |- | ||
| style="width:600px;" | '''나라를 다스리는 법은 신(信)을 보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 | style="width:600px;" | '''나라를 다스리는 법은 신(信)을 보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 ||
287번째 줄: | 287번째 줄: | ||
1392년에 [[태조 고황제 이단 (아침해의 원유관)|대한 태조 고황제]]에 의해 건국된 왕조 국가인 [[대조선국 (아침해의 원유관)|대조선국]]을 전신으로 하며, 본래 이 시기동안 중국 대륙의 국가를 중심으로 한 세계관을 굳혀가던 중, 약 60년간 지속된 중국의 [[4호 6국시대 (아침해의 원유관)|4호 6국시대]]에 효종의 주도로 상당한 군사적 · 국력적 증강을 이루었다. 이후 1866년 병인양요로 인해 서방 세계에 문을 연 이후, 흔히 [[임신대경장 (아침해의 원유관)|임신대경장]]이라 알려진 총체적인 개혁을 실행, 번국으로서의 지위를 벋어던지고 대군주가 다스리는 자주국인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국]]을 선포한 뒤, 1894년에는 당시 중화제국으로서의 자리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던 순나라를 상대로 [[제 1차 동아시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극동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어, 한 단계 위의 국위인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을 자처했다. | 1392년에 [[태조 고황제 이단 (아침해의 원유관)|대한 태조 고황제]]에 의해 건국된 왕조 국가인 [[대조선국 (아침해의 원유관)|대조선국]]을 전신으로 하며, 본래 이 시기동안 중국 대륙의 국가를 중심으로 한 세계관을 굳혀가던 중, 약 60년간 지속된 중국의 [[4호 6국시대 (아침해의 원유관)|4호 6국시대]]에 효종의 주도로 상당한 군사적 · 국력적 증강을 이루었다. 이후 1866년 병인양요로 인해 서방 세계에 문을 연 이후, 흔히 [[임신대경장 (아침해의 원유관)|임신대경장]]이라 알려진 총체적인 개혁을 실행, 번국으로서의 지위를 벋어던지고 대군주가 다스리는 자주국인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국]]을 선포한 뒤, 1894년에는 당시 중화제국으로서의 자리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던 순나라를 상대로 [[제 1차 동아시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극동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어, 한 단계 위의 국위인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을 자처했다. | ||
이후 [[한러일 전쟁|러한일 전쟁]], [[한만합방 (아침해의 원유관)|대청 병합]]과 제 1차 세계대전에서의 백군 잔당 유치 성공을 기점으로 세계적인 열강 중 하나로 인정받았으나, 일전부터 급격한 근대화로 인한 정치적인 혼란과 시민운동으로 인해 사회가 혼란해 진 데 이어 1929년에 찾아온 대공황에서 촉발된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새로히 즉위한 [[ | 이후 [[한러일 전쟁|러한일 전쟁]], [[한만합방 (아침해의 원유관)|대청 병합]]과 제 1차 세계대전에서의 백군 잔당 유치 성공을 기점으로 세계적인 열강 중 하나로 인정받았으나, 일전부터 급격한 근대화로 인한 정치적인 혼란과 시민운동으로 인해 사회가 혼란해 진 데 이어 1929년에 찾아온 대공황에서 촉발된 경제적 어려움, 그리고 새로히 즉위한 [[선종 현황제 이영 (아침해의 원유관)|선종 현황제]]의 결정으로 인해,끝내 근황주의 파시즘 일민주의를 신념으로 삼은 충정일심회가 쿠데타를 통해 집권, 일심 체제의 막이 올랐다. 일심 체제가 지속된 동안 대한제국은 1937년 [[제 2차 동아시아 전쟁|한중전쟁]]의 서막을 올려 뒤이어 참전한 대일본제국과 난징,상하이를 경계로 중국을 분할할 목적으로 침략전쟁에 열을 올렸다. 전쟁이 장기화되던 중 끝내 1941년에는 소련을 상대로 [[동시베리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동시베리아 전쟁]]을 개시, [[태평양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태평양 전쟁]]에서도 북태평양 일대를 장악하면서 선전하는 듯 했으나 서부전선을 주도했던 독일의 졸전을 기점으로 전세가 악화됐다. 결국 1945년 동래, 한성과 평양에 연달아 대규모 공습을 당한 뒤 포츠담 선언을 수용하며 항복을 선언, 그렇게 대한제국의 폭주는 끝을 맺었다. | ||
전후 대한반도에는 군정이 들어섰으나, 대황제는 항복을 사실상 직접 주도했다는 점과 한국 국민들에게 받는 지지가 만만치 않다는 것이 고려되어 폐위를 면했다. 그러나 한국이 다시 극단주의화되는것을 원치 않았던 미군의 간접지배하에 헌법이 개정되어 한국의 황제는 국민적 통합자로서만 명시되었고, 암묵적으로 전쟁의 책임을 진 당시 황제는 태상황으로 올라 사실상 폐위되었다. 그 외에도. 또 다른 당사국인 소련의 의견에 따라 최중요 식민지였던 [[만주한치시기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령 만주]] 또한 자주독립국가인 [[만주 사회주의 공화국 (아침해의 원유관)|만주 사회주의 공화국]]으로서 해방되면서, 사실상 조선시대 당시 개척한 요동과 간도를 제외한 모든 해외 영토를 상실했다. | 전후 대한반도에는 군정이 들어섰으나, 대황제는 항복을 사실상 직접 주도했다는 점과 한국 국민들에게 받는 지지가 만만치 않다는 것이 고려되어 폐위를 면했다. 그러나 한국이 다시 극단주의화되는것을 원치 않았던 미군의 간접지배하에 헌법이 개정되어 한국의 황제는 국민적 통합자로서만 명시되었고, 암묵적으로 전쟁의 책임을 진 당시 황제는 태상황으로 올라 사실상 폐위되었다. 그 외에도. 또 다른 당사국인 소련의 의견에 따라 최중요 식민지였던 [[만주한치시기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령 만주]] 또한 자주독립국가인 [[만주 사회주의 공화국 (아침해의 원유관)|만주 사회주의 공화국]]으로서 해방되면서, 사실상 조선시대 당시 개척한 요동과 간도를 제외한 모든 해외 영토를 상실했다. | ||
336번째 줄: | 336번째 줄: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
=역사= | =역사=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240f6f; width:100%;" | ||
|- | |- | ||
! colspan="10"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120deg, #fff 5%, #240f6f 5%, #240f6f 9%, #fff 9%, #fff 10%, #240f6f 10%, #240f6f 14%, #fff 14%, #fff 15%, #240f6f 15%, #240f6f 19%, #fff 19%, #fff 81%, #c91e31 81%, #c91e31 90%, #240f6f 90%); color: # | ! colspan="10"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120deg, #fff 5%, #240f6f 5%, #240f6f 9%, #fff 9%, #fff 10%, #240f6f 10%, #240f6f 14%, #fff 14%, #fff 15%, #240f6f 15%, #240f6f 19%, #fff 19%, #fff 81%, #c91e31 81%, #c91e31 90%, #240f6f 90%); color: #240f6f;" | {{large|대한의 국사}}<br>大韓國史</div> | ||
|- | |- | ||
| colspan="10" |{{펼접|id=대한국사}} | | colspan="10" |{{펼접|id=대한국사}} | ||
451번째 줄: | 451번째 줄: | ||
==정치적 극단화와 호국 체제,전간기== | ==정치적 극단화와 호국 체제,전간기==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png|20px|link=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png|20px|link=계유정사 (아침해의 원유관)]] 자세한 내용은 [[계유정사 (아침해의 원유관)|한성진군]],[[몽고 출병 (아침해의 원유관)|몽고 출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그러나 1925년에 들면서 사상누각에 불과한 호황은 끝을 맺었다. 한껏 오른 국위가 무색하게 근대화와 부국강병이라는 명분 하에 법가적으로 개혁된 성리학인 국체유학은 기존 조선의 민본주의적 요소를 약화시켜 결과적으로 산업화로 인한 빈부격차 확대와 겹쳐져 농민과 빈민들의 삶이 피폐해지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는 곧 사회에 불만이 쌓인 사람들의 증대와 민권 확대 등을 외치는 사회운동, 공산주의 운동가들의 탄생 등을 초래했다. 하지만 사실상 작은 환국이나 마찬가지인 의회 내 내 당파 싸움과 정권교체, 내각에 힘을 발휘하는 또 다른 세력인 종친과 황실이라는 변수는 당대 대한제국 정부가 제국보안법 제정 등 강경한 대책들을 내세우는 결과를 불러왔고, 여기에 연달아 일어난 을축대홍수로 인한 수재와 세계대공황은 대한제국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 그러나 1925년에 들면서 사상누각에 불과한 호황은 끝을 맺었다. 한껏 오른 국위가 무색하게 근대화와 부국강병이라는 명분 하에 법가적으로 개혁된 성리학인 국체유학은 기존 조선의 민본주의적 요소를 약화시켜 결과적으로 산업화로 인한 빈부격차 확대와 겹쳐져 농민과 빈민들의 삶이 피폐해지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는 곧 사회에 불만이 쌓인 사람들의 증대와 민권 확대 등을 외치는 사회운동, 공산주의 운동가들의 탄생 등을 초래했다. 하지만 사실상 작은 환국이나 마찬가지인 의회 내 내 당파 싸움과 정권교체, 내각에 힘을 발휘하는 또 다른 세력인 종친과 황실이라는 변수는 당대 대한제국 정부가 제국보안법 제정 등 강경한 대책들을 내세우는 결과를 불러왔고, 여기에 연달아 일어난 을축대홍수로 인한 수재와 세계대공황은 대한제국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 ||
이렇게 의회정과 문민정치의 무능에 질린 대한인들은 서서히 옛 조선시대와 같은 군주의 전면 통치를 통한 치국의 평안을 내심 바라기 시작했고, 하필이면 정국을 주무를 수 있는 대황제의 자리에 앉을 황태자 [[ | 이렇게 의회정과 문민정치의 무능에 질린 대한인들은 서서히 옛 조선시대와 같은 군주의 전면 통치를 통한 치국의 평안을 내심 바라기 시작했고, 하필이면 정국을 주무를 수 있는 대황제의 자리에 앉을 황태자 [[선종 현황제 이영 (아침해의 원유관)|이영]] 또한 이 흐름에 휩쓸린 상황이였다. 춘생문의 변으로 동생인 하나뿐인 동생인 예친왕을 잃은 황태자의 의회정 및 원훈 관료들인 공신에 대한 신뢰도는 바닥을 치고 있었고, 결국 일이 어떻게 돌아가건 차후 대한제국이 개막한 이래 3대째 직계로 이어져온 사직을 이어받은 그가 용상에 앉을 경우, 대다수가 노환으로 사망하거나 은퇴한 공신들이 현 정세를 불신하는 젊은 황제의 독단적인 행보를 견제할 수 없음이 분명해지고 있었다. 이러는 중 만주에서의 성공과 1932년 벌어진 [[몽골 출병 (아침해의 원유관)|몽골 출병]]을 감행을 통해 [[예케 몽골 울루스 (아침해의 원유관)|번국 형식의 괴뢰정부]]의 수립을 코앞에 두게 되자 한껏 기세를 높인 군부 내부에는 대세인 근황과 반공을 외치는 파벌이 우후죽순 등장했다. | ||
결국 | 결국 1933년 말, 군 내 거대 파벌인 북진회와 [[백의사 (아침해의 원유관)|백의단]]으로 알려진 근황 단체가 손을 잡고 [[한성 진군 (아침해의 원유관)|기사정변]]을 일으킨 뒤, 대황제의 재가를 받아내어 종친과 의회를 무시한 권위 확보에 성공하게 되었다. 이듬해인 1934년부터 잔뜩 자신감에 찬 상태로 정계에 손을 뻗치기 시작한 군부와 근황계는 대황제의 칙임권으로 유명무실해진 의회를 사실상 장악했고, 검계 색출이나 확장정책 홍보 등 포퓰리즘적인 정책과 대황제의 권위 신장 계획 등으로 민중과 황실 양쪽의 지지를 받아냈다. 이렇게 군국주의의 수렁에 빠진 대한제국은 대륙 진출과 소련 견제를 위해 1934년 트란스아무르 공화국의 군벌계 인사들을 후원해 복고 쿠데타를 사주, 당시 황녀였던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를 차리나로 즉위시켜 [[러시아 차르국 (아침해의 원유관)|제정 러시아의 복고]]를 이루어냈다. 그리고 1936년에는 끝내 독일, 이탈리아 및 일본과 반공협정을 체결, 추축국의 일원으로서 거듭나며 사실상 완벽한 군국주의 국가로의 변신을 마쳤다. | ||
==2차 동아대전과 동시베리아 침공== | ==2차 동아대전과 동시베리아 침공==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png|20px|link=제 2차 동아시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 자세한 내용은 [[제 2차 동아시아 전쟁|제 2차 동아시아 전쟁]],[[제 2차 세계대전 (아침해의 원유관)|제 2차 세계대전]],[[동시베리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한소전쟁]],[[태평양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태평양 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png|20px|link=제 2차 동아시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 자세한 내용은 [[제 2차 동아시아 전쟁|제 2차 동아시아 전쟁]],[[제 2차 세계대전 (아침해의 원유관)|제 2차 세계대전]],[[동시베리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한소전쟁]],[[태평양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태평양 전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464번째 줄: | 463번째 줄: | ||
이렇게 서서히 폭주해가던 대한제국은 끝내 1937년, 중화민국과의 국경 인근에서 자국 병사가 사라진 노구교 사건을 계기로 [[제 2차 동아시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한중전쟁]], 후일 2차 동아대전의 발판이 되는 전쟁을 개전했다. 얼마 안 가 동남에서 진격을 감행한 일본 제국과의 협의로 사실상 중국을 국가로 취급하지 않기로 결정한 양국 연합은 북경대방화, 난징대학살 등 무참한 폭력을 행사하며 중국 내륙으로 진군해 들어갔고, 결국 이는 일본과 한국의 동아시아 패권 장악을 경계한 미국의 석유금수조치를 초래했다. | 이렇게 서서히 폭주해가던 대한제국은 끝내 1937년, 중화민국과의 국경 인근에서 자국 병사가 사라진 노구교 사건을 계기로 [[제 2차 동아시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한중전쟁]], 후일 2차 동아대전의 발판이 되는 전쟁을 개전했다. 얼마 안 가 동남에서 진격을 감행한 일본 제국과의 협의로 사실상 중국을 국가로 취급하지 않기로 결정한 양국 연합은 북경대방화, 난징대학살 등 무참한 폭력을 행사하며 중국 내륙으로 진군해 들어갔고, 결국 이는 일본과 한국의 동아시아 패권 장악을 경계한 미국의 석유금수조치를 초래했다. | ||
이에 곤란에 처한 군부는 때마침 전달된 독일로부터의 전보를 수락해 1941년 | 이에 곤란에 처한 군부는 때마침 전달된 독일로부터의 전보를 수락해 1941년 7월 10일에 [[할하사변 (아침해의 원유관)|할하사변]]을 일으켜 [[동시베리아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한소전쟁]]을 개전했고, 얼마 안 가 진주만 공습이 일어나자 남방작전과 미드웨이 해전 등에도 동맹국으로서 참전하며 본격적으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대전쟁이라는 장작에 불을 지폈다. | ||
동시베리아 전쟁을 통해서 사실상 동시베리아의 점령을 완료한 한편 북태평양을 사실상 가로막아 알래스카에 폭격기가 도달하게 만드는 공작까지 성공시킨 대한제국은 이내 연전연승에 기세가 등등해졌지만, 얼마 못 가서 연합한대를 따라 미드웨이 해전에 참전한 전함의 손실과 시베리아의 동장군으로 인한 진군 약화가 시작되며 서서히 전쟁의 화력이 바닥나가기 시작했다. 대한과 일본을 상대로 처절한 항전을 계속하기로 택한 국민당의 저항은 날이 갈수록 거세져갔고, 이로 인해 사실상 발이 묶여버린 중국전선은 의미없는 소모전이 강요되는 도살장으로 변해버렸다. | 동시베리아 전쟁을 통해서 사실상 동시베리아의 점령을 완료한 한편 북태평양을 사실상 가로막아 알래스카에 폭격기가 도달하게 만드는 공작까지 성공시킨 대한제국은 이내 연전연승에 기세가 등등해졌지만, 얼마 못 가서 연합한대를 따라 미드웨이 해전에 참전한 전함의 손실과 시베리아의 동장군으로 인한 진군 약화가 시작되며 서서히 전쟁의 화력이 바닥나가기 시작했다. 대한과 일본을 상대로 처절한 항전을 계속하기로 택한 국민당의 저항은 날이 갈수록 거세져갔고, 이로 인해 사실상 발이 묶여버린 중국전선은 의미없는 소모전이 강요되는 도살장으로 변해버렸다. | ||
472번째 줄: | 471번째 줄: | ||
그렇게 수많은 피를 흘리고 한성, 평양과 동래 등 주요 대도시 3개가 모조리 잿더미로 변해린 대한제국은 끝내 연합군 측에 항복을 선언했고, 2달 뒤 최후의 추축국이였던 일본 제국이 항복하며 태평양의 위협 요소가 사라지자 본격적인 연합군의 군정이 시작되었다. | 그렇게 수많은 피를 흘리고 한성, 평양과 동래 등 주요 대도시 3개가 모조리 잿더미로 변해린 대한제국은 끝내 연합군 측에 항복을 선언했고, 2달 뒤 최후의 추축국이였던 일본 제국이 항복하며 태평양의 위협 요소가 사라지자 본격적인 연합군의 군정이 시작되었다. | ||
==전후 재기와 전성기== | ==전후 재기와 진정한 전성기== | ||
패전 후 황실의 폐지를 염려한 성덕제는 맥아더를 붇잡아두고 몇시간 가량 사적인 이야기를 나눌 정도로 미국에 협조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정작 미국은 이미 이 대화를 시작하기 이전부터 대한에서의 원활한 지지도 확보를 위해 황실 폐지는 차선책으로 안배한 상황이였다. 그렇게 황실이 폐지되지 않은 | 패전 후 황실의 폐지를 염려한 성덕제는 맥아더를 붇잡아두고 몇시간 가량 사적인 이야기를 나눌 정도로 미국에 협조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정작 미국은 이미 이 대화를 시작하기 이전부터 대한에서의 원활한 지지도 확보를 위해 황실 폐지는 차선책으로 안배한 상황이였다. 그렇게 황실이 폐지되지 않은 채 황권을 대거 강탈하는 것을 조건으로 유지되었고, 이후 연합군의 군정을 거치게 된 대한을 옛 조선과 같은 농본국가, 즉 '동양의 우크라이나'로 만드는 계획이 처음에는 고안되었다. | ||
그러나 동아시아에서 연합군의 세력이 안빈낙도하기에는 아직 전란이 채 끝나지 않은 상황이였다. 1950년 중국에서 [[국공내전 (아침해의 원유관)|국공내전]]이 재개된 것에 이어 만주의 국부인 [[니오후루 우미예순 (아침해의 원유관)|우미예순]]이 이끄는 만주 공산당 세력은 1950년 헌법을 반포할 정도로 성장하여 만주에서 직접적으로 서방이 활동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했고, 코앞에서 존재 자체로 소련을 자극하고 있는 연해주의 백러시아 정권의 배후지를 오로지 바다 건녀편에만 두는 데에는 한계가 명확했다. 이에 미국 정부는 당시 전후처리국에 해당됬던 일본을 해상반공국가로 개조한 데에 이어 한국을 UN군의 병참기지 겸 육상반공국가의 선봉으로 만들기로 계획을 수정하였고, 이렇게 벌어들인 전쟁특수는 폐허가 된 예전의 대한제국,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으로 주권을 회복한 현대의 대한국 위에 다시 새로운 인프라를 건설해 나갔다. 또한 당시 군비증강을 도모하던 이승만 총리가 시위로 인해 책임을 지고 사퇴하기도 했는데, 이것이 바로 현대 대한국 사회운동의 시조격이 되는 사건인 안보투쟁이다. | |||
이후 시작된 여러 정당들의 대연정 계열 정당인 신민당 정권은 국내의 전쟁 피해 회복에 힘을 썼고, 러시아 차르국을 지원하는 한편 국가적 차원에서 반혁명정책을 펼치면서 자연스럽게 미국의 신뢰도를 얻어갔다. 그렇게 195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미국의 마셜플랜 정책이 겹쳐지며 경제에는 다시 회복의 빛이 밝아왔고, 이내 경제적 초호황이 도래했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경제발전을 주도한 신민당이 계파를 막론하고 큰 지지를 얻어내는 데 성공했고, 이는 훗날 신민천하 시대의 초석이 되었다. | |||
== | 1960년대 되어서는 서독을 제치고 세계 4위의 경제대국의 자리를 확실하게 자리매김했고, 이후 1965년에는 한성올림픽을 통해 대한국이 전후의 어둠을 뚫고 다시 재기하였음을 전 세계에 알렸다. 이후 단군 이래 최고의 호황이라 불리는 [[3저호황 (아침해의 원유관)|3저호황]]이 막을 올리면서 국민소득이 소비에트 연방을 돌파해 세계 3위로 올라갔고, 이 시기 개최한 행사들 및 국가적 홍보를 통한 예전의 추축국으로서의 부정적인 면모나, 환도와 총대를 휘두르며 황제의 보위를 부르짖는 미치광이 동양국가에서의 모습을 어느정도 탈피했다. | ||
==1980년대의 경제 초호황, 플라자 합의와 불황의 10년 == | |||
1980년대에 들어서자 [[베트남 전쟁 (아침해의 원유관)|베트남 전쟁]] 등으로 미국의 경제가 악화된 틈을 타, 동아시아에서의 경제적 성장은 미국에서 경제황화론이 등장할 수준으로 빛을 발했다. 당연히 이 대열의 선봉에 서 있던 나라 중 하나가 한국이였는데, 이 시기 대한국은 증시의 최고치가 경신되면서 사실상 미국과 비등한 경제적 위상에 올랐다. 이 시기 태어난 세대가 흔히 [[쌍황세대 (아침해의 원유관)|쌍황세대]]라고 알려진 한국 세대들이 마지막으로 태어난 해기도 하다. | |||
대중문화의 발전 또한 정점을 달렸다. 1984년 대한제국 시기 최후의 황제이자 당시 대한국의 태상황제였던 [[선종 현황제 이영 (아침해의 원유관)|선종]]이 붕어하자 서서히 퍼져가던 자유주의는 이내 기성 정서로 인한 한계를 뚫고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70년대 말과 80년대 초부터 서서히 활동을 시작한 한국의 아이돌과 밴드 시장 또한 이 시기 대성공을 거두었다. 한편으론 옛 시화나 [[남상 (아침해의 원유관)|남상]]들이 화공들을 고용한 것을 시작으로 발전한 풍속화 문화에서 영향을 받은 만화와 애니메이션 사업 또한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고, 국제적 위상이 오르며 이러한 대중매체들이 역으로 해외로 수출되기도 하였다. 이 풍조는 [[태시 시대 (아침해의 원유관)|태시 시대]] 이후에도 계속 이어졌는데, 그 결과가 오늘날 흔히 알려진 대한국의 거대한 소프트 파워 시장이다. | |||
그러나 이러한 대한국의 호황은 1985년 플라자 합의가 체결되며 이내 먹구름이 끼게 된다. 당시 비정상적일 수준으로 비대해진 일본, 한국, 독일의 경제를 경계한 미국은 화폐의 가치를 올리는 플라자 합의를 체결해 엔,원,유로저현상을 타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로 인해 경제적인 이득의 원천 중 하나였던 원저현상이 끝을 맺게 되었다. 다행히 플라자 합의 체결 이후 내각이 다급해져 경기부양책을 남발하는 사태가 일어나지는 않아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었으나, 어찌 되었든 플라자 합의로 인한 원화의 환율 증가는 그대로였기에 완만하지만 꾸준한 내리막길이 펼쳐지게 되었다. 극도의 디플레이션은 물가의 상승을 늦추다 못해 그대로 멈추게 만들었고, 그렇게 이 시기를 기점으로 대한국의 경제는 장장 10년간의 [[불황의 10년 (아침해의 원유관)|침체의 시기]]를 겪게 된다. 그나마 불행 중 다행으로 1억명이 넘는 인구를 통한 거대한 내수시장은 아직 건재하였고, 문화적인 사업들 또한 무사하였다. | |||
==[[김종인 (아침해의 원유관)|김종인]]의 정계 개편과 [[태시 시대 (아침해의 원유관)|태시 시대]]의 끝, 그리고 현대== | |||
불황의 10년이 20년이 넘도록 끝나지 않으며 불황의 20년이라고 불릴 정도로 장기화되던 중, 2000년 경 [[크리스마스 선언 (아침해의 원유관)|크리스마스 선언]]을 끝으로 미국과 소련 간의 냉전이 공식적으로 종식되었다. 냉전 종식의 기세를 몰아 1990년대 중반 당시 [[국민당 (아침해의 원유관)|국민당]]의 [[김대중 (아침해의 원유관)|김대중]]에 의해 최초로 정권교체가 일어날 정도로 쇠락해가던 신진민주당의 당세 회복을 노린 [[노무현 (아침해의 원유관)|노무현]] 총리대신이 [[안희정 복리대신 투신사건 (아침해의 원유관)|복리대신 투신사건]]으로 정계에서 은퇴를 선언한 이후, 2005년 신림파 소속의 [[김종인 (아침해의 원유관)|김종인]]이 총선에서 승리하며 총리대신직에 올랐다. | |||
집권 이후 '경제민주화'를 주요 정책으로 내세운 김종인 내각은 대중수출 증가 및 경제개혁, 국민당과의 합작 등을 통해 신진민주당의 여당으로서의 지위와 경제가 살아날 발판을 마련하였다. 뒤이어 집권한 [[이인제 (아침해의 원유관)|이인제]] 총리는 본인의 정치적인 화력과 김종인으로부터 계승받은 경제 대계를 이어받아 장기간의 집권기간동안 [[불사조 호황 (아침해의 원유관)|불사조 호황]]으로 알려진 경제호황을 잠시나마 이루어냈고, 이후 대한국의 정계는 이낙연, 김무성, 유승민 등이 차대 총리대신으로서 집권한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신민당 내 온건파가 위축되는 현상이 벌어졌는데, 이는 강경파 및 중립파 내각 집권 시기 확실한 경제적 성과가 나타났기 때문. 때문에 현재까지도 신림파나 안봉파 등이 대한국 국민들의 표심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 |||
한편으로는 2010년을 끝으로 [[강조 경황제 이연 (아침해의 원유관)|태시제]]가 90세를 넘긴 나이로 붕어하며 장장 63년간 이어진 태시 시대가 끝을 고했고, 뒤이어 전후세대 출신인 황태자 [[명화제 이순 (아침해의 원유관)|이순]]이 밝을 명(明), 화목할 화(和), 명화(明和)를 연호로 하여 제 4대 대한국 대황제이자, 대한 황조의 30대 군주로서 새 시대를 개원했다. 이에 따라 2011년 7월 13일부터는 명화 원년이다. | |||
비록 경제적인 전성기는 그 불꽃이 꺼져버린 상황이였지만, 새천년이 시작된 이래 대한국의 문화산업과 기술은 여전히 밤낮을 가리지 않고 발전해 나갔다. 2000년에 스티브 잡스가 공개한 애플을 기점으로 세계적인 전산화와 PC통신이 활성화 열풍이 불며 인터넷의 시대가 도래하였고, 이 흐름에 동참한 대한국 또한 대규모 인터넷 사이트들과 애니메이션, 만화등을 비롯한 여러 대중매체가 명작들의 탄생화 함께발전하였다. 특히 호황의 종료 이후에도 미국을 뛰어넘는 세계 2위의 규모와 매출을 자랑하게 된 애니메이션 사업의 위상은 어마어마하였는데, 냉전의 종식 이후 [[대금민국 (아침해의 원유관)|대금민국]]을 비롯한 국가들과의 관계가 활성화되며 자연스레 한국의 대중매체가 타국에 수출되기도 하였다. 별개로 2D 서브컬쳐 매체의 경우에도 자유주의 풍조와 근방의 일본에서 흘러들어온 외부적 유행을 타고 큰 성장을 이루었는데, 이때 탄생한 해당 분야의 마니아들을 지칭하는 용어가 바로 십덕(十德)이다. | |||
연호로 명화 19년인 2020년 8월 15일에는 [[평양 (아침해의 원유관)|서경 평양부]]에서 [[2020 평양 G20 정상회의 (아침해의 원유관)|2020 평양 G20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시기 코로나 19의 여파로 인해 대한국 또한 피해를 입었고, 한편으로는 당시 집권중이던 [[유승민 내각 (아침해의 원유관)|유승민 내각]]의 연임을 불가하게 만든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이에 따라 2021년 경 유승민은 총리대신직에서 물러났고, 제 54대 총리대신인 [[안철수 (아침해의 원유관)|안철수]]의 임기가 시작되며 현재에 이른다. | |||
==국사의 공교육 과정== | |||
교육과정 사회과 과목 중 고등학교 과목인 국사에서 대한국의 역사를 다루는 방식이다. 다음은 [[금흥출판사 (아침해의 원유관)|금흥출판사]]에서 발행한 교과서의 예시다. | |||
제 1부:고대시대 | |||
*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 |||
* 고조선의 성립과 삼한의 탄생 | |||
* 삼한통일과 남북국의 성립 | |||
* 고대 문화와 대외교류 | |||
제 2부:중세시대 | |||
* 후삼한시대와 고려의 성립 | |||
* 무신정권의 성립과 농민봉기 | |||
* 대원항쟁과 자주화의 열망 | |||
* 중세 문화와 대외교류 | |||
제 3부:근세시대 | |||
* 조선의 성립과 통치 제도 정립 | |||
* 조선의 변화와 발전 | |||
* 조선의 정치와 사회 | |||
* 근세 사상과 문화 | |||
제 4부:근현대시대 | |||
* 세도정치와 삼정의 문란 | |||
* 병인개화와 근대국가의 수립 | |||
* 양차대전 사이의 아시아 | |||
* 점령과 주권회복 | |||
* 경제 성장과 발전 | |||
* 현대 대한과 세계 | |||
</div> | </div>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
517번째 줄: | 562번째 줄: | ||
==민족 구성== | ==민족 구성== | ||
대한국 국적을 가진 한국인은 [[한민족 (아침해의 원유관)|한민족]](韓民族)이 인구의 약 96.7%를 차지하고 있다. 남은 타민족계 인구는 3.3%를 차지하는 극소수에 해당하는 관계로, 구분상 대한국은 단일민족 국가에 해당한다. | 대한국 국적을 가진 한국인은 [[한민족 (아침해의 원유관)|한민족]](韓民族)이 인구의 약 96.7%를 차지하고 있다. 남은 타민족계 인구는 3.3%를 차지하는 극소수에 해당하는 관계로, 인류학적 구분상 대한국은 단일민족 국가에 해당한다. | ||
한민족은 | 한민족은 전통적으로 한반도에서 대대로 거주해 온 민족으로, 언어로는 기본적으로 한국어를 사용한다. 동아시아에서 가장 키가 큰 편에 속하는 민족이기도 한데, 아시아 전체로 확대해도 인종적으로 백인에 가까운 서아시아인과 함께 가장 큰 편에 속한다. 그래서 보통 외국으로 나가면 한국인은 키가 크다는 인식이 잦은 편. 특히 키가 작은 인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나라에 가면 이러한 인식이 더 강해진다. | ||
한민족을 제외한 기타 민족에 3.4퍼센트에 달하는 인구인지라 대부분은 한국 문화의 영향력에 묶여있고, 그래서 문화적인 이유에서의 갈등은 거의 없는 편이다. 다만 가끔 출신적인 이유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문드문 존해하기는 한다. | 한민족을 제외한 기타 민족에 3.4퍼센트에 달하는 인구인지라 대부분은 한국 문화의 영향력에 묶여있고, 그래서 문화적인 이유에서의 갈등은 거의 없는 편이다. 다만 가끔 출신적인 이유로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문드문 존해하기는 한다. | ||
인구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집단은 크게 만주계,일본계,러시아계와 중국계다. 이 중 만주계, 혹은 | 인구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집단은 크게 만주계,일본계,러시아계와 중국계다. 이 중 만주계(滿洲系, 만주 할라), 혹은 강북계(江北系, 안가비 할라)는 [[대금민국 (아침해의 원유관)|대금민국]]이 위치한 만주에서 온 민족으로, 넓게 보면 조선시대부터 몇몇 만주의 부족들이 한반도의 북부지방으로 이주하거나 귀화하며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이 만주를 완전히 병합하면서 잠시 이민인구가 나진 등에서 늘어나는 등, 시대를 막론하고 주로 북부로의 이민이 역사적으로 이루어졌다. 현재는 기존의 주 생활권인 북부를 넘어 남부까지 내려올 정도로 한국 사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소수민족이지만, 반대로 그 탓에 만주인에 대한 사회적 우월감을 가진 몇몇 한민족과의 갈등도 잦은 편. 특히 대금민국과의 관계 경질에서 나오는 대한국 사회 내 만주계 차별 문제는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특히 서북 지방에서 가장 번화한 도시인 평양의 경우 그만큼 이주한 만주계 인구가 많은 편에 해당하는데, 일대에서 발흥한 만주계 [[검계 (아침해의 원유관)|검계]] 탓인지는 몰라도 [[대동강 체인점 논란 (아침해의 원유관)|보쌈집에서 혐금 행위가]] 벌어지는 등 만주인과의 갈등이 높아진 추세다. | ||
일본계, 혹은 화인계(와진카이)는 문자 그대로 일본에서 건너 온 인구를 뜻한다. 이들은 주로 20세기 즈음에 바다를 건너 자국 식민지인 복건으로 갈 돈은 없던 이들이 비록 외국 식민지지만 토지가 넓은 만주로라도 경유하기 위하여 한반도에 들렸다가 그대로 정착하게 된 경우, 혹은 그 외에도 넓게 보면 에도 막부 수립 이후, 좁게 보면 19세기부터 이어져온 우호적인 외교관계 탓으로 인해 한반도에 건너와 | 일본계, 혹은 화인계(和人系, 와진카이)는 문자 그대로 일본에서 건너 온 인구를 뜻한다. 이들은 주로 20세기 즈음에 바다를 건너 자국 식민지인 복건으로 갈 돈은 없던 이들이 비록 외국 식민지지만 토지가 넓은 만주로라도 경유하기 위하여 한반도에 들렸다가 그대로 정착하게 된 경우, 혹은 그 외에도 넓게 보면 에도 막부 수립 이후, 좁게 보면 19세기부터 이어져온 우호적인 외교관계 탓으로 인해 한반도에 건너와 살게 된 이들로 구성된다. 동래부를 포함한 한반도 남부 지방이나 요서도와 같이 해양과 인접한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어묵을 비롯한 일본식 식문화 일부를 이러한 해양도시들을 통해 한국에 들여오기도 했다. 대개는 일본을 떠나면서 한국 사회에 동화되었지만 서경이나 황경이 중심이 되는 한국의 특성상 관심도가 덜한 동래 등지에 일본인 타운을 형성해서 집성촌을 연성시키듯 문화를 보존한 경우도 더러 있는데, 이 탓에 해안지방에 가면 일본어의 인지도가 꽤 높은 편이다. 특히 동래부 중구의 경우 전통적으로 왜관이 자리잡고 있었던지라 리틀 재팬이라 불릴 정도로 일본인 타운이 크게 형성되어있다. | ||
러시아계, 혹은 | 러시아계, 혹은 백계(白系) 한국인은 근대에 들어서 수가 늘어난 민족으로, 대한국의 제국주의 시대 당시 소련의 정치적 탄압을 피해 한국의 연해주 자치령 등으로 떠난 다수의 제정 지지자들과 그들이 거느린 식솔들, 또는 만주에 망명한 트로츠키의 추종자를 비롯한 러시아인들이 모인 것에서 초기 인원들이 결집되었다. 이들 중 당시 식민지인이였던 만주인들과 같은 대우를 받기 싫었거나 러시아에서도 생활에 어려움을 겪은 이들이 대한반도 본토로 이주했는데, 주로 경흥부나 용정부 등 동북지방에 위치한 도시들로 이주했다. 현대에 들어서는 바로 근방인 러시아로 넘어갈 인구는 진작에 러시아가 새마을운동 등을 통해 경제발전을 이루자 넘어간 관계로, 시간이 흘러 한국 문화에 동화된 인구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 ||
마지막으로 다룰 다수민족인 중국계는 화교, 만주를 통해 이주한 중국인 인구들이 구성한다. 만주를 통해 들어왔어도 원래부터 만주 내의 중국인 인구는 만주인들과의 차이가 있는만큼 소수민족으로서 섞인 대한반도에서도 따로 갈라서는 경향이 잦고, 그래서 둘의 구분은 확실하게 되는 편이다. 지리적인 특성상 만주와 가까운 [[중화민국 (아침해의 원유관)|양경정부]]나 만주계 화교 출신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 마지막으로 다룰 다수민족인 중국계는 화교, 만주를 통해 이주한 중국인 인구들이 구성한다. 만주를 통해 들어왔어도 원래부터 만주 내의 중국인 인구는 만주인들과의 차이가 있는만큼 소수민족으로서 섞인 대한반도에서도 따로 갈라서는 경향이 잦고, 그래서 둘의 구분은 확실하게 되는 편이다. 지리적인 특성상 만주와 가까운 [[중화민국 (아침해의 원유관)|양경정부]]나 만주계 화교 출신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 ||
539번째 줄: | 584번째 줄: | ||
{{대한국의 행정구역 분포}} | {{대한국의 행정구역 분포}} | ||
대한국의 행정구역인 경부도(京府道)제는 2개의 경(京)<ref>경의 위치에 따라서 작명방식이 달라지는데, 주로 별격으로서 황경으로 지정된 [[한성 (아침해의 원유관)|한성부]]의 기준으로 오방 중 어느 방위에 위치했는지를 기준으로 경의 명칭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평양부의 경우, 한성부의 서쪽에 있다는 의미에서 서경(西京)으로 지정되었다.</ref>과 22여개의 도(道)<ref>영문표기법은 | 대한국의 행정구역인 경부도(京府道)제는 2개의 경(京)<ref>경의 위치에 따라서 작명방식이 달라지는데, 주로 별격으로서 황경으로 지정된 [[한성 (아침해의 원유관)|한성부]]의 기준으로 오방 중 어느 방위에 위치했는지를 기준으로 경의 명칭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평양부의 경우, 한성부의 서쪽에 있다는 의미에서 서경(西京)으로 지정되었다.</ref><ref>영문표기는 Metropolitan Prefrecture다.</ref>과 22여개의 도(道)<ref>영문표기법은 Provinence다.</ref>, 27개의 부(府)<ref> 영어로는 Prefrecture다.</ref>로 이루어져 있다. 있다. 이 27개의 부 중 2개의 부는 경급으로 분류되는 수도권으로, 한성과 평양 2개가 존재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급격히 성장한 동래부를 경으로 편입시키자는 의견도 늘었으나, 아직 대한국 의회는 동래부가 차후 어떻게 될 것인지 의사를 표한 바가 없다. | ||
부는 기본적으로 도 아래의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경으로 승격된 부들은 한국 내에서 최중요 도시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요서도의 경우, 조선 시대 이후 제 1차 동아시아 전쟁 승전을 통해 확보한 영토이나 한국인 인구 비중과 국경선 상의 문제로 인해 추가적인 군정 기간을 거친 뒤 다시 한국에게 반환시켰다. 그래서 행정구역상 다른 지역들과는 차이가 있는 편이다. | 부는 기본적으로 도 아래의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 경으로 승격된 부들은 한국 내에서 최중요 도시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요서도의 경우, 조선 시대 이후 제 1차 동아시아 전쟁 승전을 통해 확보한 영토이나 한국인 인구 비중과 국경선 상의 문제로 인해 추가적인 군정 기간을 거친 뒤 다시 한국에게 반환시켰다. 그래서 행정구역상 다른 지역들과는 차이가 있는 편이다. | ||
549번째 줄: | 594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width:300px; border:2px solid #240f6f; color:#000;"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width:300px; border:2px solid #240f6f; color:#000;"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120deg, #fff 5%, #240f6f 5%, #240f6f 9%, #fff 9%, #fff 10%, #240f6f 10%, #240f6f 14%, #fff 14%, #fff 15%, #240f6f 15%, #240f6f 19%, #fff 19%, #fff 81%, #c91e31 81%, #c91e31 90%, #240f6f 90%); color:# | ! colspan="2"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120deg, #fff 5%, #240f6f 5%, #240f6f 9%, #fff 9%, #fff 10%, #240f6f 10%, #240f6f 14%, #fff 14%, #fff 15%, #240f6f 15%, #240f6f 19%, #fff 19%, #fff 81%, #c91e31 81%, #c91e31 90%, #240f6f 90%); color:#240f6f;" | 대한민국의 기본 정치 정보 | ||
|- | |- | ||
! style="background:#240f6f;color:#FFF;" | 부패인식지수 | ! style="background:#240f6f;color:#FFF;" | 부패인식지수 | ||
629번째 줄: | 674번째 줄: | ||
그러나 이후 잦은 정권교체 등 태생적 위태함과 공신들의 노환으로 계속 잡음을 내던 민주정은 끝내 1930년 [[한성 진군 (아침해의 원유관)|기사정변]]으로 인해 근황계와 결탁한 군부가 대황제의 지지를 받아 집권하며 무너져내렸고, 그렇게 대황제와 그 비호를 받은 군관, 정치인들의 위상은 나날히 커졌다. 다만 시간이 지날수록 권위의 상승과 겉으로 보기엔 정상화된 국가의 상황에 취해버린 대황제가 어느 순간부터 정무를 직접 관여하기보다는 이러한 '성과'를 이룩한 군부와 근황계에게 위임하는 방향으로 변했다. 결국 김창암을 비롯한 몇몇 근황계는 서서히 권력에 취해 폭주가 가속화하기 시작했고<ref>다만 1930년대의 승정원 일지의 내용 중 김창암이 승정원에 출입할 당시 제복을 입고 들어가려 하는 것을 본 승지들이 매뉴얼을 지키지 않았다면 제지하자, 그 직후 탈의실에 가서 환복했다는 기록을 보아 적어도 30년대까지는 김창암은 자신의 권력기반이 근황을 외쳐서 나왔고, 그렇기에 황제보다 자신이 을이라는 사실은 인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ref>, 뒤늦게 이 신흥 신료들이 만들어낸 사태를 직감한 대황제가 김창암을 정계에서 추방하는 것으로 '사상누각 만인지상'의 시대는 끝을 고했다. | 그러나 이후 잦은 정권교체 등 태생적 위태함과 공신들의 노환으로 계속 잡음을 내던 민주정은 끝내 1930년 [[한성 진군 (아침해의 원유관)|기사정변]]으로 인해 근황계와 결탁한 군부가 대황제의 지지를 받아 집권하며 무너져내렸고, 그렇게 대황제와 그 비호를 받은 군관, 정치인들의 위상은 나날히 커졌다. 다만 시간이 지날수록 권위의 상승과 겉으로 보기엔 정상화된 국가의 상황에 취해버린 대황제가 어느 순간부터 정무를 직접 관여하기보다는 이러한 '성과'를 이룩한 군부와 근황계에게 위임하는 방향으로 변했다. 결국 김창암을 비롯한 몇몇 근황계는 서서히 권력에 취해 폭주가 가속화하기 시작했고<ref>다만 1930년대의 승정원 일지의 내용 중 김창암이 승정원에 출입할 당시 제복을 입고 들어가려 하는 것을 본 승지들이 매뉴얼을 지키지 않았다면 제지하자, 그 직후 탈의실에 가서 환복했다는 기록을 보아 적어도 30년대까지는 김창암은 자신의 권력기반이 근황을 외쳐서 나왔고, 그렇기에 황제보다 자신이 을이라는 사실은 인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ref>, 뒤늦게 이 신흥 신료들이 만들어낸 사태를 직감한 대황제가 김창암을 정계에서 추방하는 것으로 '사상누각 만인지상'의 시대는 끝을 고했다. | ||
대금민국을 비롯한 대한 제국주의의 피해국들이나 한국 내부의 보수파들은 | 대금민국을 비롯한 대한 제국주의의 피해국들이나 한국 내부의 보수파들은 선종을 대한제국의 침공 선봉에 서 있던 마왕 등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징성으로는 선봉이 맞아도 결국 근본적으로 선종은 자신의 권위상승으로 인한 행복의 고취와 근황 쿠데타를 일으킨 계파들에 대한 근거 없는 신뢰감으로 인해 전권을 쥐고 있다고 보기 힘든 상황이였다. 다만 결국 일심회 집권의 원인과 동시베리아 전쟁 등 전쟁국가로서 대한제국이 폭주한 데에는 선종의 동의와 상황 무시가 있기도 했고, 비슷하게 파시즘 정권이 집권한 이탈리아 국왕과 권위는 프로파간다와 여러 덕에 확실하게 오르는 등 이득을 보았다. 결론적으로, 그에게 최고 결정권자이자 대한제국 폭주의 원인 제공자로서의 책임이 없다고 보기는 힘들다. | ||
전후 더글라스 맥아더는 추후 대한국에 들어설 민주정권을 상징적인 면에서 보조하도록 하는것이 황실을 폐지하는것보다 판단한 연합군 군정의 결론은 대황제를 ''동아시아 북방 민주주의의 수호자''와 ''반공의 정점''으로 이용하는 것을 택하였고, 몇년 뒤 성덕제에게 양위를 받아 강조 태시제 이연이 즉위하자 그 물살을 타 여러 정치적 개혁이 시행, 헌법을 개정한것을 마지막으로 한국의 국정에서 대황제에게 보장된 국사행위를 축소시켜 끼칠 수 있는 영향력을 하나 둘 철수해나갔다. 그렇게 철수가 계속된 결과 대한국에서 대황제는 한국이라는 나라의 전제적인 지배자에서, 유교사상에 기반한 전통적인 한국의 사회관에서 대한인들의 임금이자 국민들의 정신적 지주로서의 역할을 강화,강력한 입헌군주로서의 성격을 띄게 된 오늘날의 지위로 거듭났다. | 전후 더글라스 맥아더는 추후 대한국에 들어설 민주정권을 상징적인 면에서 보조하도록 하는것이 황실을 폐지하는것보다 판단한 연합군 군정의 결론은 대황제를 ''동아시아 북방 민주주의의 수호자''와 ''반공의 정점''으로 이용하는 것을 택하였고, 몇년 뒤 성덕제에게 양위를 받아 강조 태시제 이연이 즉위하자 그 물살을 타 여러 정치적 개혁이 시행, 헌법을 개정한것을 마지막으로 한국의 국정에서 대황제에게 보장된 국사행위를 축소시켜 끼칠 수 있는 영향력을 하나 둘 철수해나갔다. 그렇게 철수가 계속된 결과 대한국에서 대황제는 한국이라는 나라의 전제적인 지배자에서, 유교사상에 기반한 전통적인 한국의 사회관에서 대한인들의 임금이자 국민들의 정신적 지주로서의 역할을 강화,강력한 입헌군주로서의 성격을 띄게 된 오늘날의 지위로 거듭났다. | ||
699번째 줄: | 744번째 줄: | ||
==사회 전반== | ==사회 전반== | ||
==일상생활== | ==일상생활== | ||
== | ==대외인식== | ||
==공휴일== | ==공휴일== | ||
공휴일(公休日)은 대한국의 휴일이다. 현재 총 | {{대한국의 법적 공휴일 (아침해의 원유관)}} | ||
공휴일(公休日)은 대한국의 휴일이다. 현재 총 25일이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 |||
*3월 5일 건원절(乾元節):[[순종 효황제 (아침해의 원유관)|순종 효황제]]의 탄신일. | *3월 5일 건원절(乾元節):[[순종 효황제 (아침해의 원유관)|순종 효황제]]의 탄신일. | ||
722번째 줄: | 757번째 줄: | ||
*4월 17일 계천기원절(繼天紀元節):환구단을 쌓고 대황제 직위를 선포한 날. | *4월 17일 계천기원절(繼天紀元節):환구단을 쌓고 대황제 직위를 선포한 날. | ||
* | *어린이날(兒童節):어린이들의 성장을 축복하는 날. | ||
*음력 5월 5일 단오(端午):1년 중에서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지내는 공휴일이다. | |||
*6월 10일 성덕기념일(聖德記念日):본래는 [[ | *6월 10일 성덕기념일(聖德記念日):본래는 [[선종 현황제 (아침해의 원유관)|선종 현황제]]의 탄신일이였지만, 워낙 논란이 많은 황제다보니 그의 사후 은근슬쩍 성덕기념일이라는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대한국 대황제들 중에선 최초로 탄신일의 통칭이 바뀐 케이스. | ||
*음력 7월 7일 칠석(七夕):동아시아의 민간설화인 견우와 직녀 전설에서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를 건너서 1년에 한 번 만나는 날이다. | |||
*7월 13일 즉위예식일(卽位禮式日):대황제의 즉위를 기념하는 날로, 현재 기념하는 날짜는 현임 대황제인 [[명화제 이순 (아침해의 원유관)|명화제]]의 즉위일이다. | *7월 13일 즉위예식일(卽位禮式日):대황제의 즉위를 기념하는 날로, 현재 기념하는 날짜는 현임 대황제인 [[명화제 이순 (아침해의 원유관)|명화제]]의 즉위일이다. | ||
735번째 줄: | 774번째 줄: | ||
*9월 8일 만수성절(萬壽聖節):[[고조 태황제 이현 (아침해의 원유관)|고조 태황제]]의 탄신일. | *9월 8일 만수성절(萬壽聖節):[[고조 태황제 이현 (아침해의 원유관)|고조 태황제]]의 탄신일. | ||
*9월 13일 천성절(天成節):[[강조 경황제 이연 (아침해의 원유관)|강조 경황제]]의 탄신일. | |||
*9월 28일 공자탄신일(孔子誕辰日, 9월 28일):유교의 창시자인 공자의 탄신일. | *9월 28일 공자탄신일(孔子誕辰日, 9월 28일):유교의 창시자인 공자의 탄신일. | ||
*10월 1일 문화진흥의 날(文化振興의日):반천년을 넘어가는 역사를 가진 대한국의 문화진흥을 기원하며 만들어진 공휴일이다. 1912년 순종 효황제가 실행한 전국순행에서 기원한다. | *10월 1일 문화진흥의 날(文化振興의日):반천년을 넘어가는 역사를 가진 대한국의 문화진흥을 기원하며 만들어진 공휴일이다. 1912년 순종 효황제가 실행한 전국순행에서 기원한다. | ||
744번째 줄: | 783번째 줄: | ||
*10월 3일 천건절(天乾節): 단군이 최초의 한민족국가를 개창한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 *10월 3일 천건절(天乾節): 단군이 최초의 한민족국가를 개창한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 ||
*10월 9일 | *10월 9일 가갸날():[[세조 문황제 이도 (아침해의 원유관)|세종 문황제]]가 한글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1969년에 제정되었다. | ||
*11월 27일 제헌기념절(制憲記念節):[[대한국 헌법 (아침해의 원유관)|대한국 헌법]]의 반포를 기념하는 날이다. 1955년에 제정되었다. | *11월 27일 제헌기념절(制憲記念節):[[대한국 헌법 (아침해의 원유관)|대한국 헌법]]의 반포를 기념하는 날이다. 1955년에 제정되었다. | ||
757번째 줄: | 796번째 줄: | ||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중국 등과 더불어 세계에서 손꼽히는 문화 강국 중 하나이다. 큰 범주에서는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확연하게 구분할만한 키포인트들이 특징이며, 기존의 보수적 인사들을 포섭하던 과정에서 전통, 그중에서도 유교적인 의식 등을 꽤나 유지시킨지라, 근대 시기에 서양 문물을 받아들인 나라임에도 오래된 문화가 꽤 많이 남겨져 있으며 전통과 외래의 문화가 섞여있는 현대문화가 현재 한국의 문화라고 요약할 수 있다. 한국 문화는 서양 문화, 특히 모자를 비롯한 눈에 잘 띄지 않을 수 있는 부분에서<ref>1920년대 당시 미국의 페도라에 갓마냥 무늬를 희미하게 그려넣는 스타일이 유행했던 적이 있었다. 누가 먼저 제작을 했는지는 두루뭉술해서 자세한 정보가 없으나, 가장 유력한 이야기로는 당시 프랑스의 유명 디자이너의 제자 중 하나가 대한제국에 방문해서 갓을 시험 삼아 구매한것이 시작이었다고 전해진다.</ref> 영향을 많이 끼쳤으며, 현대에 과장 및 각색으로 새롭게 재해석된 선비들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한국 문화는 일본의 와패니즈에 이어 에노리안(Enorian)<ref>선망한다는 뜻의 영어단어 envy와, 한국의 영어권 표기법인 Korea를 합친 신조어이다.</ref>들을 양산하였다. |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중국 등과 더불어 세계에서 손꼽히는 문화 강국 중 하나이다. 큰 범주에서는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확연하게 구분할만한 키포인트들이 특징이며, 기존의 보수적 인사들을 포섭하던 과정에서 전통, 그중에서도 유교적인 의식 등을 꽤나 유지시킨지라, 근대 시기에 서양 문물을 받아들인 나라임에도 오래된 문화가 꽤 많이 남겨져 있으며 전통과 외래의 문화가 섞여있는 현대문화가 현재 한국의 문화라고 요약할 수 있다. 한국 문화는 서양 문화, 특히 모자를 비롯한 눈에 잘 띄지 않을 수 있는 부분에서<ref>1920년대 당시 미국의 페도라에 갓마냥 무늬를 희미하게 그려넣는 스타일이 유행했던 적이 있었다. 누가 먼저 제작을 했는지는 두루뭉술해서 자세한 정보가 없으나, 가장 유력한 이야기로는 당시 프랑스의 유명 디자이너의 제자 중 하나가 대한제국에 방문해서 갓을 시험 삼아 구매한것이 시작이었다고 전해진다.</ref> 영향을 많이 끼쳤으며, 현대에 과장 및 각색으로 새롭게 재해석된 선비들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한국 문화는 일본의 와패니즈에 이어 에노리안(Enorian)<ref>선망한다는 뜻의 영어단어 envy와, 한국의 영어권 표기법인 Korea를 합친 신조어이다.</ref>들을 양산하였다. | ||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반도에 위치한 국가라는 점에 집중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주변국들이 침략을 일삼지 않던 안정기에도 반도라는 지형은 한국이 끊임없이 국경을 맞댄 나라들과 상호작용을 오고가게 만들었고, 특히 그 중 중국의 |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반도에 위치한 국가라는 점에 집중해야 한다. 역사적으로 주변국들이 침략을 일삼지 않던 안정기에도 반도라는 지형은 한국이 끊임없이 국경을 맞댄 나라들과 상호작용을 오고가게 만들었고, 특히 그 중 중국의 영향을 자연스럽게 많이 받았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와 더불어 뚜렷하게 구분되는 날씨와 기후, 자연환경의 다양함과 소탈한 문화 등이 합쳐졌고, 여기에 중국에서 들여온 유교,불교와 도교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여 융합하고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 ||
그러나 17세기 전후로 중국에서 순과 송을 위시로 한 남북조시대가 시작되며 더 이상 중국이라는 하나의 거대한 문화를 통해서만 발전을 이룩하는 것에 차질이 생겨났고, 시대적으로 요구된 대안은 곧 2차적인 발달양상으로 접어들었다. 명나라, 중국의 문화와 기존 조선의 예법으로 해외 문화를 수용한다는 기존의 경우가 일종의 틀을 형성하면서 문화를 발전시키게 된 셈인데, 이는 사상적으로는 소중화사상의 부각과 반도국가 특유의 수용성에 새겨진 묘한 배타성이 생기는 단초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 |||
이러한 이유로 대한국 사회에선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격세지감을 체감해도, 사람과 사회는 쉽사리 바뀌지 않는다는 인식을 종종 접할 수 있다. 문물의 발전속도는 동아시아의 선진국답게 빠른 편이고 그에 따른 디지털화도 이루어지지만 군데군데 보수성이 유지되며 불변하는 현상이 나타나곤 하며, 특히 '관습적인'부분에 가까워질수록 이러한 경향이 강해진다. 일상적인 것에선 빠른 변화를 체감해도, 본질과 관습은 상대적으로 서서히 변화하거나 옛 모습을 유지하는 셈이다. 물론 세대갈등이 벌어지는 여느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암묵적, 정신적으로 보수성이 강하게 나타나곤 하는 대한국의 문화에 반감을 보이는 풍조도 젊은 세대에선 존재하곤 한다. | |||
==유교 문화권== | |||
기본적으로 대한국의 전신인 조선시대부터 대한반도는 유교문화권에 속해있었다. 현대에는 국체유학이 전후 혁파되면서 유학이 사회에서 가지던 수구적인 권위가 대폭 약화된 관계로 주자학의 특징 중 하나인 수구성을 보기는 힘든 편이지만, 여전히 유교의 기초적인 행동원리는 한국인들의 사고방식에서 큰 영향을 가지고 있다. | |||
==신분제의 잔재== | ==신분제의 잔재== | ||
==언론== | ==언론== | ||
==교육== | ==교육== | ||
790번째 줄: | 824번째 줄: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
=단위= | =단위= | ||
여타 동아시아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SI 단위를 사용하며, 간혹 노년세대나 지방 깊숙한 곳에서는 척관법이 사용되기도 하나 흔한 경우는 아니다. 그나마 [[대한제국 (아침해의 원유관)|대한제국]] 시기 척관법을 미터법과 혼용하여 사용한 경우는 있었지만, 공식적으로 대한국 헌법이 발효된 1947년 시점에서도 척관법의 사용률은 이전 시대들과 비교해서 현저하게 낮아진 상황이였다. | |||
군주제 국가로서 황제가 제위하는 만큼, 공식적으로는 서력보다 연호를 주로 사용한다. 총 5개의 연호인 [[광무 시대 (아침해의 원유관)|광무(光武)]],[[융희 시대 (아침해의 원유관)|융희(隆熙)]],[[성덕 시대 (아침해의 원유관)|성덕(成皇)]],[[태시 시대 (아침해의 원유관)|태시(太始)]],[[명화 시대 (아침해의 원유관)|명화(明和)]]가 현재까지 사용되었으며, 이 중 태시, 명화부터는 대한국 헌법이 발효된 이후 대한국의 시대에 포함된다. 2024년 기준 현재 사용중인 연호는 명화(明和)다. | |||
</div> | </div> |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div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margin:0px auto 5px; border-radius: 8px; overflow: hidden;opacity:1;box-shadow:0px 0px 3px rgba(0,0,0,0.6);padding:23px 8px 10px;background:rgba(255,255,255,0.1);"> | ||
795번째 줄: | 832번째 줄: | ||
통상적으로 유교, 선비 및 고도의 경제력과 기술로 대외적으로는 알려진 나라다보니, 동아시아에서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고 있다. 미국, 유럽을 비롯한 서구권같이 한국에 우호적인 성향의 국가에서는 대체적으로 전쟁 관련 영화라 대한 제국 시기의 파시즘을 묘사하는 게 아니면 어딘가 옛스러운 문화와 높은 경제력에서 비롯된 첨단기술의 조화 등으로 묘사하는 케이스가 많은 편. | 통상적으로 유교, 선비 및 고도의 경제력과 기술로 대외적으로는 알려진 나라다보니, 동아시아에서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고 있다. 미국, 유럽을 비롯한 서구권같이 한국에 우호적인 성향의 국가에서는 대체적으로 전쟁 관련 영화라 대한 제국 시기의 파시즘을 묘사하는 게 아니면 어딘가 옛스러운 문화와 높은 경제력에서 비롯된 첨단기술의 조화 등으로 묘사하는 케이스가 많은 편. | ||
반면 대금민국이나 | 반면 대금민국이나 중국의 양안정부 같이 한국에게 피해를 본 나라들의 경우, 민족주의정서가 강한 편이라 대체적으로는 제국주의자, 군국주의자, 근황 파시즘, 제국 시절 한국의 국학으로 숭상되던 국체유학과 일민주의같은 당시의 광신적인 사상에 기반한 전쟁범죄 등 부정적인 모습이 많이 부각된다. | ||
《아토믹 하트》에서는 소련의 재빠른 진격으로 남한인 대한국과 북한인 조선인민공화국으로 분단되었다고 간략하게 언급된다. | |||
전략게임 《하츠 오브 아이언 4》에서도 대한제국 시절인 8대 열강의 일원으로서 등장한다. 시작 시 지도자는 김창암, 국민정신 중 하나로 성덕제가 들어가 있는 것은 덤. | |||
해당 게임의 모드 《카이저라이히:대전의 유산》에서는 침체기를 겪었으나 아직 열강의 자리는 유지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예정상 비동맹주의 중점을 계속 찍은 뒤 시간이 지나면 비대한 식민지를 소화하지 못한 것과 경제불황, 토지 개혁 부재와 민권문제 등이 합쳐지면서 생디칼리즘 내란이 일어나는데, 여기서 내란이 성공하면 '''공산주의 국가'''로 거듭나게 되고, 각각 만주 사회주의 공화국과 조선인민공화국으로 분리된다. | |||
《사이버펑크 2077》에서도 메가코프 중 하나인 대산의 배후국가로서 잠시 등장했다. 관료와 일체화된 3대 재벌들이 각각 경제, 행정, 군사 3정을 모두 장악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사실상 새로운 세도 가문이나 다름 없는 존재로 거듭나 일종의 신양반주의 사회를 건설했다는듯. 문제는 그 재벌 중 하나인 대산<ref>작중 대산의 회장인 민순성이 불리는 이름 중 하나는 '여민부원군'이다. 즉, 실질적인 유교 사회의 중심인 황실과도 '''혈연적 연줄'''을 맺고 있는 기업이라는 뜻.</ref>이 대한제국 시기의 천조사상도 계승한 것인지, 유라시아 전역을 무릎꿇릴 '''제 3차 동아대전'''을 준비중이라는 맥거핀이 있다. | |||
==대체역사에서== | ==대체역사에서== | ||
대금민국의 드라마 《더 가한:불변의 군주》에서는 작중 시점 대청제국의 주요 라이벌 국가들 중 하나로 언급된다. | |||
소설 《배틀로얄》의 대조선제국이 대한국을 모티브로 한 나라다. 오랜 동맹인 대동아공화국과는 반소,반미의 기치 아래 미묘한 협력중이긴 하나 패권이 겹치는 관계로 대립관계. 매해 승경도라는 정치적 행사를 개최해 끝까지 살아남는 참가자를 정부의 고위직으로 특급승진시키는 정책이 시행되는 듯 하다. | |||
《높은 성의 사나이》에서는 시베리아에서 독일과의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다는 언급이 나왔다. 묘사를 보아 시베리아를 수많은 직할령과 번국으로 삼은 여러 군소국가들로 통제중이고, 승전의 대가로 앵커리지와 알래스카를 할양받아 도독부를 설치해 두었다는듯. 덕분에 캐나다 이권을 노골적으로 탐내게 되면서 일본과는 서로 가스와 석유로 협박을 주고 받는 악우지간이 되었다. 그렇지만 드라마의 경우 시즌 4 시점에 나온 뉴스에서 대황제가 직접 시베리아 철수를 명령했다는 내용이 언급되고, 이후 알래스카에서 반군이 봉기했다는 묘사를 보아 결국 일본과 사이좋게 식민지 통제권을 상실해버린 듯 하다. | |||
《홈프론트》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신묘한 외교술에 굴복해 환태평양 중화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고 나온다. 다만 600년이 넘어가는 사직의 철폐로 인한 후폭풍을 중국 정부가 부담스러워한지라 비주권 군주를 옹립하는 방식으로 황제제도는 유지됬다는 듯. | |||
대금민국의 대체역사 소설 《비명을 찾아서》에서는 역사가 개변되어 연합군에 들어갔고, 그로 인해 아직까지 만주 식민지가 건재하다. 연해주의 러시아 차르국도 차르국이 아닌 트란스 아무르 공화국 체제라는 듯. 다만 이로 인해 2010년대 기준으로도 대황제의 칙임권 한번에 내각이 으스러지는 등 전제군주적 국가의 모습을 띄고 있다. | |||
중화민국 출신 대체역사 소설 작가인 다이밍의 작품 [[호접지몽의 천하 (아침해의 원유관)|《호접지몽의 천하》]]에서는 임진왜란에서의 패배, 어째서인지 산해관을 넘어가 중화권 왕조로 거듭난 후금의 침공 등으로 인해 [[대청제국 (아침해의 원유관)|완벽하게 국력이 몰락해버렸고]], 결국 1910년 '''[[한만합방 (아침해의 원유관)|일본에게 병합당하여]]''' 식민지가 되었다가 1945년 일본제국의 패망이 이루어지고나서야 독립하여 '''미국식 공화제 정부(!)'''인 대한민국을 수립했다. 독자들의 반응은 당연히 충격과 공포.<ref>사실 이 외에도 해당 소설은 기괴한 줄거리가 많은 편인데, [[고르바조프 (아침해의 원유관)|칼리닌그라드 특별행정구의 최대 콜라수입업자]]가 서기장이 되어 소련을 붕괴시키거나, 중국에 [[중화인민공화국 (아침해의 원유관)|만주까지 포괄하는 거대한 단일 사회주의 국가]]가 자리잡는 등 상식을 벗어던진 전개로 유명하다. 다만 유고 내전에 대한 묘사 등에선 공포스러운 유고슬라비아의 최후를 잘 표현했다는 평가가 대다수. 자세한 내용은 [[호접지몽의 천하 (아침해의 원유관)|호접지몽의 천하]] 문서에 나와있다.</ref> | |||
</div> | </div> | ||
---- | ---- | ||
[[분류:아침해의 원유관]][[분류:아침해의 원유관/국가]] | [[분류:아침해의 원유관]][[분류:아침해의 원유관/국가]] |
2025년 3월 21일 (금) 05:28 기준 최신판


![]() | |
[ 국가 목록 ]
[ 소개 ]
|
[ 펼치기 · 접기 ]
|
대한국 大韓國 | Korea | ||||||||||||||||||||||||||||||||||||||||||||||||||||||
---|---|---|---|---|---|---|---|---|---|---|---|---|---|---|---|---|---|---|---|---|---|---|---|---|---|---|---|---|---|---|---|---|---|---|---|---|---|---|---|---|---|---|---|---|---|---|---|---|---|---|---|---|---|---|
![]() | ||||||||||||||||||||||||||||||||||||||||||||||||||||||
국기 | 국장 | |||||||||||||||||||||||||||||||||||||||||||||||||||||
광명천지 光明天地 | ||||||||||||||||||||||||||||||||||||||||||||||||||||||
상징 | ||||||||||||||||||||||||||||||||||||||||||||||||||||||
애국가 | ||||||||||||||||||||||||||||||||||||||||||||||||||||||
무궁화,오얏꽃 | ||||||||||||||||||||||||||||||||||||||||||||||||||||||
참매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외교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kr, .한국 | ||||||||||||||||||||||||||||||||||||||||||||||||||||||
국가코드 | ||||||||||||||||||||||||||||||||||||||||||||||||||||||
408, KOR | ||||||||||||||||||||||||||||||||||||||||||||||||||||||
국제전화 코드 | ||||||||||||||||||||||||||||||||||||||||||||||||||||||
+82 | ||||||||||||||||||||||||||||||||||||||||||||||||||||||
![]() |
위치 |
대한국 수도 황경 한성부의 전경 |
서경 평양부의 전경 |
- ↑ 2024년 기준
- ↑ 8.65점
- ↑ 영어로는 Imperial House (of) Yi.
- ↑ 이당시까지 사용된 연호는 대한제국이 아닌 대한국 부황으로서의 연호다. 공식적으로 제국을 칭하며 황제국의 예법을 전면 도입한 시기는 천명이 옛 기자의 땅으로 이동했다고 광무 정부가 해석한 1894년부터다.
- ↑ 마진변한에 포함되지 않는 고구려인의 묘지명에서 스스로나 고구려인을 삼한이라고 부르는 금석문 자료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변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진 묘지명, 고현 묘지명 등이 있다.
- ↑ 다만 황국협회나 제국익문사등 근대 대한사에서 황국이나 제국이 들어간 용어들은 그대로 해당 표현을 사용한다.
- ↑ 예스러운 표현으로는 '사람들이 늘 하는 말을 적은 글' 언문(諺文)이라고도 한다. 이 경우 사대모화자가 숭상하던 한자를 칭하는 또 다른 명칭인 진서(眞書)와 대조를 이룬다.
- ↑ 경의 위치에 따라서 작명방식이 달라지는데, 주로 별격으로서 황경으로 지정된 한성부의 기준으로 오방 중 어느 방위에 위치했는지를 기준으로 경의 명칭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평양부의 경우, 한성부의 서쪽에 있다는 의미에서 서경(西京)으로 지정되었다.
- ↑ 영문표기는 Metropolitan Prefrecture다.
- ↑ 영문표기법은 Provinence다.
- ↑ 영어로는 Prefrecture다.
- ↑ 단 이미 황적이탈령으로 종친 작위를 상실했거나,친왕가의 장남이 아닌 자손의 5대손 이상인 후손부터는 이론상 출마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현재 유지된 친왕가들 중 5대를 넘은 친왕가는 없다보니 어디까지가 가정의 영역에 해당한다.
- ↑ 어차피 노무현이 속한 당파인 정경파가 당시 기준 겨우 파벌을 유지하고 있던 시점이기에 그가 내놓은 조치다. 실제로 노무현은 재임기간동안 이례적으로 그가 속한 파벌을 잘 믿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물론 그게 독이 된 탓에 안희정 스캔이 터졌을 당시 파벌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한계가 뚜렷했고, 결국 정경파와 노무현 모두 이 내각을 기점으로 장기간 리타이어되면서 신림파의 강경류에 속하는 김종인이 다음 총선에서 승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 ↑ 다만 1930년대의 승정원 일지의 내용 중 김창암이 승정원에 출입할 당시 제복을 입고 들어가려 하는 것을 본 승지들이 매뉴얼을 지키지 않았다면 제지하자, 그 직후 탈의실에 가서 환복했다는 기록을 보아 적어도 30년대까지는 김창암은 자신의 권력기반이 근황을 외쳐서 나왔고, 그렇기에 황제보다 자신이 을이라는 사실은 인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 ↑ 이 조치의 일환으로서 본래는 육조대로에 위치했다가 공습으로 불타버린 양의원 청사의 후신이 될 신규 국회의사당은 여의도에 지어졌다.
- ↑ 저 3 파벌 자체가 기존 개화당과 입헌당의 후계격 정당들인지라 실질적으론 기존 대한제국 정계의 정당 대부분의 세력을 크고 작게 흡수해서 만들어졌다. 때문에 신민당의 별명 중 하나가 "키메라 정당"일 정도.
- ↑ 예를 들어 선거철 당시 당 홍보 영상에 감독을 동원하기도 했고,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용산에서 지지율을 올리는 등의 전략을 쓰기도 했다.
- ↑ 1920년대 당시 미국의 페도라에 갓마냥 무늬를 희미하게 그려넣는 스타일이 유행했던 적이 있었다. 누가 먼저 제작을 했는지는 두루뭉술해서 자세한 정보가 없으나, 가장 유력한 이야기로는 당시 프랑스의 유명 디자이너의 제자 중 하나가 대한제국에 방문해서 갓을 시험 삼아 구매한것이 시작이었다고 전해진다.
- ↑ 선망한다는 뜻의 영어단어 envy와, 한국의 영어권 표기법인 Korea를 합친 신조어이다.
- ↑ 작중 대산의 회장인 민순성이 불리는 이름 중 하나는 '여민부원군'이다. 즉, 실질적인 유교 사회의 중심인 황실과도 혈연적 연줄을 맺고 있는 기업이라는 뜻.
- ↑ 사실 이 외에도 해당 소설은 기괴한 줄거리가 많은 편인데, 칼리닌그라드 특별행정구의 최대 콜라수입업자가 서기장이 되어 소련을 붕괴시키거나, 중국에 만주까지 포괄하는 거대한 단일 사회주의 국가가 자리잡는 등 상식을 벗어던진 전개로 유명하다. 다만 유고 내전에 대한 묘사 등에선 공포스러운 유고슬라비아의 최후를 잘 표현했다는 평가가 대다수. 자세한 내용은 호접지몽의 천하 문서에 나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