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
(→나이)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아릴렌}} | {{아릴렌}} | ||
{{나무위키 둘러보기|border=cyan|bg=cyan|제목색=black|제목=아릴렌 관련 둘러보기 틀|id=arilen-about-all | {{나무위키 둘러보기|border=cyan|bg=cyan|제목색=black|제목=아릴렌 관련 둘러보기 틀|id=arilen-about-all | ||
| | |{{소드마스터|초대}} | ||
|{{대마법사|초대}} | |||
| | |{{섭리 근접자}} | ||
|{{제국 기사단장}} | |||
| | |{{에퀴테스}} | ||
|{{명예 황금 훈장 수훈자}} | |||
|{{초월자 (아이펠루스)}} | |||
| | |{{사황}} | ||
| | |{{최강}} | ||
| | |{{종족|아릴렌}} | ||
| | }} | ||
| | |||
| | |||
| | |||
{|{{style|class=wiki|max-width=410px|table=right|border=cyan}} | {|{{style|class=wiki|max-width=410px|table=right|border=cyan}} | ||
|- | |- | ||
57번째 줄: | 53번째 줄: | ||
-->드래곤마스터{{ref|애초에 드래곤의 머나먼 조상이 이분이니 드래곤마스터라는 말도 어폐다.}}<br><!-- | -->드래곤마스터{{ref|애초에 드래곤의 머나먼 조상이 이분이니 드래곤마스터라는 말도 어폐다.}}<br><!-- | ||
-->북부의 마녀<br><!-- | -->북부의 마녀<br><!-- | ||
--> | -->[[마법 (아이펠루스)|마법]]의 현신<br><!-- | ||
-->{{ruby|위대한 퍼비니아|The Great Furvinia}}<br><!-- | -->{{ruby|위대한 퍼비니아|The Great Furvinia}}<br><!-- | ||
-->동대륙 개척자<br><!-- | -->동대륙 개척자<br><!-- | ||
68번째 줄: | 64번째 줄: | ||
-->잠의 현자{{ref|후술하겠지만, 잠을 한번 자면 정말 오랫동안 자기 때문이다. '''잠을 자는 동안 한 나라의 왕조가 바뀌어 있는 것은 예사고, 심지어는 잠을 자는 동안 하나의 세계가 탄생하고 멸망한 적도 있다.''' 물론 애초에 잠이 필요 없는 몸이기도 하고, 그럼에도 잠을 자는 것은 단순히 지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정도의 시간이라도 아릴렌에게는 '''찰나밖에 되지 않는 시간'''일 것이다. [[#나이|나이]] 문단 참고.}}<br><!-- | -->잠의 현자{{ref|후술하겠지만, 잠을 한번 자면 정말 오랫동안 자기 때문이다. '''잠을 자는 동안 한 나라의 왕조가 바뀌어 있는 것은 예사고, 심지어는 잠을 자는 동안 하나의 세계가 탄생하고 멸망한 적도 있다.''' 물론 애초에 잠이 필요 없는 몸이기도 하고, 그럼에도 잠을 자는 것은 단순히 지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정도의 시간이라도 아릴렌에게는 '''찰나밖에 되지 않는 시간'''일 것이다. [[#나이|나이]] 문단 참고.}}<br><!-- | ||
-->{{ruby|세레디움 포벤덤|Seredium Phobendum}}<br><!-- | -->{{ruby|세레디움 포벤덤|Seredium Phobendum}}<br><!-- | ||
-->지켜보는 방관자<br><!-- | -->[[초월자|지켜보는 방관자]]<br><!-- | ||
-->{{ruby|필리아 디나루스|Phillia Dinarus}}{{ref|[[제국 기사단장]]과 [[에퀴테스]]로 활동했을 적에 사용한 이름.}}}} | -->{{ruby|필리아 디나루스|Phillia Dinarus}}{{ref|[[제국 기사단장]]과 [[에퀴테스]]로 활동했을 적에 사용한 이름.}}<br><!-- | ||
-->공허의 유랑자}} | |||
|- | |- | ||
!{{style|bg=cyan}}|{{cl|종족 (아이펠루스)|black|종족}} | !{{style|bg=cyan}}|{{cl|종족 (아이펠루스)|black|종족}} | ||
78번째 줄: | 75번째 줄: | ||
|- | |- | ||
!{{style|bg=cyan|color=black}}|나이 | !{{style|bg=cyan|color=black}}|나이 | ||
|<math>\ | |<math>\approx10^{200}</math> ([[#나이|나이]] 문단 참고) | ||
|- | |- | ||
!{{style|bg=cyan|color=black}}|신체 | !{{style|bg=cyan|color=black}}|신체 | ||
|174cm(인간 형태)<br>약 '''300km'''{{ref|지구 대기권 중 열권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높이다.}}(드래곤 형태) | |174cm(인간 형태)<br>약 '''300km'''{{ref|지구 대기권 중 열권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높이다. 이 정도면 사람은 드래곤 몸체의 발 하나조차 제대로 못 본다.}}(드래곤 형태) | ||
|- | |- | ||
!{{style|bg=cyan|color=black}}|출신 | !{{style|bg=cyan|color=black}}|출신 | ||
117번째 줄: | 114번째 줄: | ||
|}{{-}} | |}{{-}} | ||
== 개요 == | == 개요 == | ||
{|{{style|class=wiki|width=100%|border=cyan|layout=on}} | |||
|- | |||
!{{style|colspan=2|bg=cyan|color=black}}|테마곡{{ref|[[김찬|창작자]]의 [[김찬/자캐|자캐]] 중 '''유일하게, 그것도 2개나''' 독자적인 테마곡이 있다.}} | |||
|- | |||
|{{nmi|yt|KTyUHMJ9ZCk|height=60px}} | |||
|{{nmi|yt|NDeLPCUhAQc|height=60px}} | |||
|- | |||
!{{style|bg=cyan|color=black}}|Main Theme: A Trifling Magician<br>메인 테마곡: 별 볼 일 없는 마법사 | |||
!{{style|bg=cyan|color=black}}|Sub Theme #1: The Strongest Magician<br>서브 테마곡 #1: 최강의 마법사 | |||
|} | |||
{{스탯 | {{스탯 | ||
|색깔=cyan | |색깔=cyan | ||
131번째 줄: | 139번째 줄: | ||
|성력=무한 | |성력=무한 | ||
|지력=무한 | |지력=무한 | ||
|비고={{--|뭔가 이상하다}}}} | |비고={{--|뭔가 이상하다}}}} | ||
{ | {{인용문1|allcolor=cyan|bg=var(--namu--table--td--background)|'''그가 걷는 길을 운명으로 개변하는 것이 아니라<br>[[초월자|그가 걷는 길 자체가 곧 운명인 것이다.]]{{brbr}}그의 뜻이 곧 [[마나]]의 뜻이고<br>마나의 뜻이 곧 [[시스템|세계]]의 뜻이다.'''}} | ||
{{인용문1|'''{{++1|별 볼 일 없는 마법사, 아릴렌.}}'''}} | {{인용문1|allcolor=cyan|bg=var(--namu--table--td--background)|'''{{++1|별 볼 일 없는 마법사, 아릴렌.}}'''}} | ||
여러모로 신비한 면이 많은 정체불명의 마법사.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키는 174cm 정도로 큰 편이다. 나이는 불명. | 여러모로 신비한 면이 많은 정체불명의 마법사.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키는 174cm 정도로 큰 편이다. 나이는 불명. | ||
160번째 줄: | 151번째 줄: | ||
== 상세 == | == 상세 == | ||
=== 외모 === | === 외모 === | ||
긴 백발을 허리까지 곱게 늘어뜨린 젊은 여성의 모습. 앞머리는 5대5로 넘긴 {{exhide|type=namu|여신앞머리}}다. 생김새만으로는 대략 20대 | {|{{style|class=wikitable arilen-appearence}} | ||
|- | |||
!머리카락 색 | |||
|흰색 | |||
|- | |||
!눈동자 색 | |||
|검은색 | |||
|- | |||
!헤어 스타일 | |||
|장발 여신앞머리 | |||
|- | |||
!복장 | |||
|검은색 또는 하얀색 스키니진 + 검은색 터틀넥 | |||
|- | |||
!특징 | |||
|오른쪽 눈 아래 눈물점 | |||
|} | |||
긴 백발을 허리까지 곱게 늘어뜨린 젊은 여성의 모습. 앞머리는 5대5로 넘긴 {{exhide|type=namu|여신앞머리}}다. 생김새만으로는 대략 20대 후반쯤으로 보인다. 오른쪽 눈 아래에 눈물점이 있고, 항상 검은색 또는 하얀색 스키니진에 검은색 터틀넥을 착용하고 있다. | |||
외모가 특출나다는 묘사는 없지만 그렇다고 못생겼다는 등 부정적인 묘사도 없다. 아주 뛰어나진 않아도 평균 이상은 간다는 말. 묘사하자면 성숙하고 어른스러운 느낌이다. | 외모가 특출나다는 묘사는 없지만 그렇다고 못생겼다는 등 부정적인 묘사도 없다. 아주 뛰어나진 않아도 평균 이상은 간다는 말. 묘사하자면 성숙하고 어른스러운 느낌이다. | ||
=== 성별 === | === 성별 === | ||
여성의 모습이고, 대부분 그렇게 지내왔지만 사실 성별은 없다. 실제로 남성의 모습으로 지낸 세월도 길다. [[/정체]] 문서 참고. | 여성의 모습이고, 대부분 그렇게 지내왔지만 사실 성별은 없다. 실제로 남성의 모습으로 지낸 세월도 길다. [[/정체]] 문서 참고. 그래도 일단 현재 쓰고 있으며 가장 많이 쓰는 아바타는 여성의 모습이 맞다. | ||
=== 나이 === | === 나이 === | ||
세계의 탄생부터 존재했으므로 나이를 세는 것 자체가 의미는 없다. 그러나 굳이 말하자면, 한 세계가 탄생하고 사라지기까지를 | 세계의 탄생부터 존재했으므로 나이를 세는 것 자체가 의미는 없다. 그러나 굳이 말하자면, 한 세계가 탄생하고 사라지기까지를 {{math|\alpha}}년이라고 한다면, 한 세계의 탄생과 죽음을 {{math|\alpha}}번 반복했다. 즉 더 직관적으로 '''우주의 나이를 우주의 나이만큼 더한 것(=제곱)'''과 같다.{{ref|실제 우리 우주의 수명은 약 <math>10^{100}</math>(1구골)년이라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해 보자면 제곱했으니 <math>(10^{100})^2 = 10^{100\times2} = 10^{200}</math>년이 된다. 이를 10진법으로 풀어 쓰자면 무려 '''{{수형식:1{{loop|0|200}}}}년이다.''' {{--|읽을 수도 없다}}}} | ||
각주를 열어 보면 알겠지만, 의외로(?) 구골플렉스(<math>10^{{10}^{100}}</math>{{ref|10의 구골 제곱. 10의 10제곱의 100제곱이 아니라 10의 '10의 100제곱'제곱, 즉 <math>(10^{10})^{100}</math>이 아니라 <math>10^{({10}^{100})}</math>이다. 당연히 후자가 훨씬 큰 수다. 전자는 | 각주를 열어 보면 알겠지만, 의외로(?) 구골플렉스(<math>10^{{10}^{100}}</math>{{ref|10의 구골 제곱. 10의 10제곱의 100제곱이 아니라 10의 '10의 100제곱'제곱, 즉 <math>(10^{10})^{100}</math>이 아니라 <math>10^{({10}^{100})}</math>이다. 당연히 후자가 훨씬 큰 수다. 전자는 1 뒤에 0이 고작 3개 붙은 수고, 후자는 1 뒤에 0이 무려 1구골 개가 붙은 수다.}})나 구골플렉시안(<math>10^{{10}^{{10}^{100}}}</math>{{ref|10의 구골플렉스 제곱. 이쪽도 마찬가지로 <math>((10^{10})^{10})^{100}</math>이 아니라 <math>10^{({10}^{({10}^{100})})}</math>이다.}}), 푸앙카레 회귀시간(<math>10^{{10}^{{10}^{{10}^{{10}^{1.1}}}}}</math>{{ref|모든 우주가 처음 상태로 되돌아가기까지 걸리는 시간}}), 그레이엄 수{{ref|<math>3^{{3}^{{3\cdots}}}</math>이 64번 반복된 가상의 수 <math>\textit{G}_1</math>이 있다고 가정하자. <math>\textit{G}_2</math>는 이 과정을 <math>\textit{G}_1</math>만큼 반복하고, 같은 원리로 <math>\textit{G}_3</math>, <math>\textit{G}_4</math>, …, <math>\textit{G}_{64}</math>까지 이어진다. 이때 가장 마지막에 오는 <math>\textit{G}_{64}</math>가 그레이엄 수. 이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거고, 수학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인용문1|<math>n</math>차원 초입방체의 <math>2^n</math>개의 꼭짓점을 모두 직선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이 선들을 2가지 색을 사용해 칠한다. 이때 <math>n</math>이 충분히 크다면 칠하는 방법에 상관없이 동일 2차원 평면상에 있는 네 점을 연결한 6개의 선이 모두 같은 색인 것이 반드시 존재한다.}}여기서 충분히 큰 <math>n</math> 값이 그레이엄 수. 참고로 <math>3^3</math>의 값이 27인데 여기서 하나만 더 겹친 <math>{3^{3^{3}}}</math>의 값은 '''{{ruby|{{수형식:7625597484987}}|7조 6255억 9748만 4987}}'''로 껑충 뛰어버린다. 그걸 64번 반복한 게 <math>\textit{G}_1</math>이고, <math>\textit{G}_2</math>는 같은 방식을 <math>\textit{G}_1</math>번만큼 반복하면서 도달한 <math>\textit{G}_{64}</math>는 도무지 상상조차 불가능하다.}}와 같이 경이로울 정도로 크기로 유명한 수들보다는 적다. 그러나 아릴렌의 나이가 무서운 점은 아릴렌은 [[/정체|존재 특성상]] 절대적 무한(<math>\Omega</math>){{ref|모든 초한수 가운데서도 가장 큰 무한. 쉽게 말해 '수'라는 개념을 가진 것 중에 절대적 무한보다 큰 것은 '''없다.'''}}이 무색하지 않을 만큼의 시간 동안 존재할 것이고, 지금까지 아릴렌이 지내온 <math>10^{200}</math>년은 그런 의미에서 '''극히 찰나의 일부'''뿐이라는 것이다. 나중에는 앞서 언급한 푸앙카레 회귀시간이나 그레이엄 수마저도 아릴렌이 살아온 세월의 '''극히 일부'''로 불릴 정도가 될지 모른다. | ||
=== 제자 === | === 제자 === | ||
181번째 줄: | 190번째 줄: | ||
본 문단 가장 위에 붙은 틀의 세 명은 전자에 속하는 제자이면서 동시에 아릴렌이 '''가장 처음 제자로 들인 세 명'''이다. 따라서 이 셋은 다른 제자들과는 그 궤를 달리한다. 스승인 아릴렌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마법 자체만으로 이미 어느 세계에서나 압도적인 초월자의 경지에 이르렀다. | 본 문단 가장 위에 붙은 틀의 세 명은 전자에 속하는 제자이면서 동시에 아릴렌이 '''가장 처음 제자로 들인 세 명'''이다. 따라서 이 셋은 다른 제자들과는 그 궤를 달리한다. 스승인 아릴렌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마법 자체만으로 이미 어느 세계에서나 압도적인 초월자의 경지에 이르렀다. | ||
교육에 있어서 실력도 초월적인데, 명문 아카데미에서 재능이 형편없다며 퇴짜를 맞은 낙제 학생도 아릴렌의 교육 아래에 놓이면 몇 달만에 그 나라 최고 수준의 대마법사 반열에 오르는 정도가 된다. | 교육에 있어서 실력도 초월적인데, 명문 아카데미에서 재능이 형편없다며 퇴짜를 맞은 낙제 학생도 아릴렌의 교육 아래에 놓이면 몇 달만에 그 나라 최고 수준의 대마법사 반열에 오르는 정도가 된다. 참고로 아릴렌은 제자를 가르치는 데 있어 지식과 감각 이외에는 학습하지 않는다. 즉 아릴렌이 제자에게 본래 자신의 것 이상의 마법 실력을 낼 수 있는 특별한 조치를 하는 것이 아니다. | ||
그러나 제자를 들이는 기준은 단순하면서도 굉장히 엄격한데, 마법을 수단 삼아 자신의 목적을 이루려 하거나 악의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오로지 마법 그 자체에 흥미를 가진''' 이에게만 마법을 가르쳐 준다. | 그러나 제자를 들이는 기준은 단순하면서도 굉장히 엄격한데, 마법을 수단 삼아 자신의 목적을 이루려 하거나 악의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오로지 마법 그 자체에 흥미를 가진''' 이에게만 마법을 가르쳐 준다. | ||
204번째 줄: | 213번째 줄: | ||
=== 그외 === | === 그외 === | ||
* [[시언]]{{ | * [[시언]]<table {{style|class=wiki|width=200px|border=black}}><td>{{nmi|아릴렌시언 최강.png|link=시언}}</td></table>'''최고의 콤비이자 둘도 없는 단짝.''' 일명 '''최강 듀오'''.{{brbr}}둘의 첫만남은 강자와의 싸움을 원하나 크게 만족하지 못하고 고독을 느끼던 시언에게 아릴렌이 찾아오면서 시작된다. 여기서 둘은 가벼운 결투를 치르고 대화를 나누게 되는데 은근히 성향이 잘 맞아 함께 지내는 시간이 길어진다. 나중에는 시언은 '''최강의 검사''', 아릴렌은 '''최강의 마법사'''로 불리며 함께 만나 대련을 치르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brbr}}메타적으로도 두 캐릭터의 창작자는 친한 사이였으며{{ref|과거형인 이유는 이제는 아니기 때문이다. 연락을 안 한 지 오래 되었다가 자연스레 소원해졌다.}} [[/갤러리]] 문서에 있는 백 장이 넘는 그림 중 약 8~9할을 시언의 창작자가 '''무상으로''' 그려 주었을 만큼 시언의 창작자가 아릴렌을 좋아했다.{{ref|유독 시언과 아릴렌이 엮인 그림이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이런 선물 공세 덕분에 아릴렌의 창작자도 다른 수많은 캐릭터 중 하나 정도의 가치였던 아릴렌에 대한 애정이 크게 늘었다. | ||
* [[세이넬 아르젠베르크]]<br>둘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나 아릴렌은 비상식적으로 강한 세이넬의 존재를 보고 | * [[세이넬 아르젠베르크]]<br>둘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나 아릴렌은 비상식적으로 강한 세이넬의 존재를 보고 답잖게 꽤 놀라는 모습을 보였다. 세이넬의 강함을 고려하면 납득할 만하지만. 그러나 정작 세이넬은 아릴렌의 존재 자체도 모른다. 언젠가 아릴렌이 먼저 세이넬에게 찾아갈지도 모르는 일. | ||
* [[드래곤 (아이펠루스)|드래곤]]<br>독립적이고 자존심 강하기로 유명한 그 드래곤이 하나같이 예외없이 아릴렌을 잘 따른다. 이때 얻은 이명이 '''드래곤 마스터'''. | * [[드래곤 (아이펠루스)|드래곤]]<br>독립적이고 자존심 강하기로 유명한 그 드래곤이 하나같이 예외없이 아릴렌을 잘 따른다. 이때 얻은 이명이 '''드래곤 마스터'''. 드래곤조차 아릴렌의 본질을 알지는 못하지만 아릴렌 다음으로 가장 마법의 현신에 가까운 존재들이므로 아릴렌이 마법적으로 고차원적인 무언가임은 본능적으로 깨달은 것이다. | ||
* 시드 플로라인 | * 시드 플로라인<br>시드는 커피를 무척 좋아하는데, 아릴렌이 첫만남에서 전능에 가까운 마법으로 시드에게 커피를 선물해 주면서 빠르게 친해졌다(...). 아릴렌은 시드가 감추고 있는 진짜 힘을 이미 알고 있지만 그것을 감추려는 이유나 과거에 대해 시드 본인이 그다지 밝히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것 또한 알고 있기 때문에 둘 사이에 그런 진중한 대화는 없었다. | ||
* [[바알]] | * [[바알]]<br>자유로운 성향의 아릴렌이므로 마계의 영웅인 바알과도 자주 만나 친밀을 쌓았다. 나누는 대화는 주로 시답잖은 화제들이지만 가끔 바알이 아릴렌에게 장비 주조를 의뢰할 정도로 나름 신뢰를 가지고 있다. | ||
* 레오 사우미엘 | * 레오 사우미엘 | ||
222번째 줄: | 231번째 줄: | ||
== 기타 == | == 기타 == | ||
* [[김찬|창작자]]의 [[김찬/자캐|자캐]] 중 유일하게 {{ruby|야짤|R-18}}이 있었는데 나중에 [[세이넬 아르젠베르크]]에게 하나가 생기면서 유일 타이틀은 잃었다. 하지만 여전히 최초라는 타이틀은 건재하다. | * [[김찬|창작자]]의 [[김찬/자캐|자캐]] 중 유일하게 {{ruby|야짤|R-18}}이 있었는데 나중에 [[세이넬 아르젠베르크]]에게 하나가 생기면서 유일 타이틀은 잃었다. 하지만 여전히 최초라는 타이틀은 건재하다. | ||
* '아릴렌(Arilen)'이라는 이름의 어원은 딱히 없다. 정말로 아무 참고나 어원 없이 갑자기 머릿속에 떠오른 음절의 조합으로 지어졌다. 화학 분야에 '아릴렌기(arylene group)'라는 개념이 있긴 하지만 철자도 다르고 관련도 없다. | |||
== [[/갤러리|갤러리]] == | == [[/갤러리|갤러리]] == | ||
227번째 줄: | 238번째 줄: | ||
== 둘러보기 == | == 둘러보기 == | ||
※ 세계관 외부의 둘러보기입니다. | {|{{style|class=wiki}} | ||
|- | |||
|{{style|bg=header}}|※ 세계관 외부의 둘러보기입니다. | |||
|} | |||
{{김찬}} | {{김찬}} | ||
{{여캐 장신 순위}} | {{여캐 장신 순위}} | ||
{{김찬 전투력 티어표}} | {{김찬 전투력 티어표|아릴렌}} | ||
{{분야별 최강자|아릴렌}} | {{분야별 최강자|아릴렌}} | ||
{{각주}} | {{각주}} |
2025년 7월 10일 (목) 11:44 기준 최신판

| ||
---|---|---|
[ 펼치기 · 접기 ]
|
아릴렌 관련 둘러보기 틀 | ||||||||||||||||||||||||||||||||||||||||||||||||||||||||||||||||||||||||||||||||||||||||||||||||||||||||||||||||||||||||||||||||||||||||||||||||||||||||||||||||||||||||||||||||||||||||||||||||||||||||||||||||||||||||||||||||||||||||
---|---|---|---|---|---|---|---|---|---|---|---|---|---|---|---|---|---|---|---|---|---|---|---|---|---|---|---|---|---|---|---|---|---|---|---|---|---|---|---|---|---|---|---|---|---|---|---|---|---|---|---|---|---|---|---|---|---|---|---|---|---|---|---|---|---|---|---|---|---|---|---|---|---|---|---|---|---|---|---|---|---|---|---|---|---|---|---|---|---|---|---|---|---|---|---|---|---|---|---|---|---|---|---|---|---|---|---|---|---|---|---|---|---|---|---|---|---|---|---|---|---|---|---|---|---|---|---|---|---|---|---|---|---|---|---|---|---|---|---|---|---|---|---|---|---|---|---|---|---|---|---|---|---|---|---|---|---|---|---|---|---|---|---|---|---|---|---|---|---|---|---|---|---|---|---|---|---|---|---|---|---|---|---|---|---|---|---|---|---|---|---|---|---|---|---|---|---|---|---|---|---|---|---|---|---|---|---|---|---|---|---|---|---|---|---|---|---|---|---|---|---|---|---|---|---|---|---|---|---|---|---|---|
[ 펼치기 · 접기 ]
|
하얀 정의 아릴렌 Arilen | |||||||||
---|---|---|---|---|---|---|---|---|---|
![]() | |||||||||
[ 다른 모습 ]
| |||||||||
이명 | 최강의 마법사 | ||||||||
종족 | ? (정체 문서 참고) | ||||||||
성별 | ? (본질적으로 무성) | ||||||||
나이 | (나이 문단 참고) | ||||||||
신체 | 174cm(인간 형태) 약 300km[6](드래곤 형태) | ||||||||
출신 | ? | ||||||||
소속 | ? | ||||||||
직책 | 마법사 | ||||||||
상징색 | #00FFFF #1ECCFF [7]
| ||||||||
비고 | 세계관 무관[8] | ||||||||
[ 아이펠루스 제국 활동 당시 ]
|
| ||
개요
테마곡[9] | |
---|---|
Main Theme: A Trifling Magician 메인 테마곡: 별 볼 일 없는 마법사 |
Sub Theme #1: The Strongest Magician 서브 테마곡 #1: 최강의 마법사 |
스탯 [ 펼치기 · 접기 ]
|
여러모로 신비한 면이 많은 정체불명의 마법사.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키는 174cm 정도로 큰 편이다. 나이는 불명.
남에게 자신을 소개할 때 늘 별 볼 일 없는 마법사라고 소개한다.[10]
상세
외모
머리카락 색 | 흰색 |
---|---|
눈동자 색 | 검은색 |
헤어 스타일 | 장발 여신앞머리 |
복장 | 검은색 또는 하얀색 스키니진 + 검은색 터틀넥 |
특징 | 오른쪽 눈 아래 눈물점 |
긴 백발을 허리까지 곱게 늘어뜨린 젊은 여성의 모습. 앞머리는 5대5로 넘긴 여신앞머리다. 생김새만으로는 대략 20대 후반쯤으로 보인다. 오른쪽 눈 아래에 눈물점이 있고, 항상 검은색 또는 하얀색 스키니진에 검은색 터틀넥을 착용하고 있다.
외모가 특출나다는 묘사는 없지만 그렇다고 못생겼다는 등 부정적인 묘사도 없다. 아주 뛰어나진 않아도 평균 이상은 간다는 말. 묘사하자면 성숙하고 어른스러운 느낌이다.
성별
여성의 모습이고, 대부분 그렇게 지내왔지만 사실 성별은 없다. 실제로 남성의 모습으로 지낸 세월도 길다. /정체 문서 참고. 그래도 일단 현재 쓰고 있으며 가장 많이 쓰는 아바타는 여성의 모습이 맞다.
나이
세계의 탄생부터 존재했으므로 나이를 세는 것 자체가 의미는 없다. 그러나 굳이 말하자면, 한 세계가 탄생하고 사라지기까지를 년이라고 한다면, 한 세계의 탄생과 죽음을 번 반복했다. 즉 더 직관적으로 우주의 나이를 우주의 나이만큼 더한 것(=제곱)과 같다.[11]
각주를 열어 보면 알겠지만, 의외로(?) 구골플렉스([12])나 구골플렉시안([13]), 푸앙카레 회귀시간([14]), 그레이엄 수[15]와 같이 경이로울 정도로 크기로 유명한 수들보다는 적다. 그러나 아릴렌의 나이가 무서운 점은 아릴렌은 존재 특성상 절대적 무한()[16]이 무색하지 않을 만큼의 시간 동안 존재할 것이고, 지금까지 아릴렌이 지내온 년은 그런 의미에서 극히 찰나의 일부뿐이라는 것이다. 나중에는 앞서 언급한 푸앙카레 회귀시간이나 그레이엄 수마저도 아릴렌이 살아온 세월의 극히 일부로 불릴 정도가 될지 모른다.
제자
![]() 아릴렌의 세 제자 | ||
---|---|---|
첫 번째 제자 | 두 번째 제자 | 세 번째 제자 |
오르아
|
리오넬
|
이시크
|
✦ 가장 오래된 마법사 ✦
|
✦ 가장 위대한 마술사 ✦
|
✦ 가장 청렴한 마도사 ✦
|
제자 양성에 상당히 적극적이다. 아릴렌의 본질이 스포일러이기 때문인지 마법을 배우고자 하는 이들을 제자로 들여 가르치곤 한다.
제자는 보통 두 부류로 나뉘는데, 갈 곳도 살 곳도 없는 이를 거두어 숙식을 제공하면서 자식처럼 대하는 제자, 그리고 본래의 삶을 존중하되 이따금 수업 겸 마법을 가르치기만 하는 제자로 나뉜다. 전자에 속하는 제자는 지금껏 99명이 있었으며, 후자에 속하는 제자는 셀 수없이 많았다.
본 문단 가장 위에 붙은 틀의 세 명은 전자에 속하는 제자이면서 동시에 아릴렌이 가장 처음 제자로 들인 세 명이다. 따라서 이 셋은 다른 제자들과는 그 궤를 달리한다. 스승인 아릴렌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마법 자체만으로 이미 어느 세계에서나 압도적인 초월자의 경지에 이르렀다.
교육에 있어서 실력도 초월적인데, 명문 아카데미에서 재능이 형편없다며 퇴짜를 맞은 낙제 학생도 아릴렌의 교육 아래에 놓이면 몇 달만에 그 나라 최고 수준의 대마법사 반열에 오르는 정도가 된다. 참고로 아릴렌은 제자를 가르치는 데 있어 지식과 감각 이외에는 학습하지 않는다. 즉 아릴렌이 제자에게 본래 자신의 것 이상의 마법 실력을 낼 수 있는 특별한 조치를 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제자를 들이는 기준은 단순하면서도 굉장히 엄격한데, 마법을 수단 삼아 자신의 목적을 이루려 하거나 악의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오로지 마법 그 자체에 흥미를 가진 이에게만 마법을 가르쳐 준다.
행적
정체
능력
인간 관계
제자
- 벨라도나
현재 양성하고 있는 유일한 제자. 위 제자 문단에서 설명한 후자에 속하는 제자이다.
그외
- 시언
최고의 콤비이자 둘도 없는 단짝. 일명 최강 듀오.둘의 첫만남은 강자와의 싸움을 원하나 크게 만족하지 못하고 고독을 느끼던 시언에게 아릴렌이 찾아오면서 시작된다. 여기서 둘은 가벼운 결투를 치르고 대화를 나누게 되는데 은근히 성향이 잘 맞아 함께 지내는 시간이 길어진다. 나중에는 시언은 최강의 검사, 아릴렌은 최강의 마법사로 불리며 함께 만나 대련을 치르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메타적으로도 두 캐릭터의 창작자는 친한 사이였으며[17] /갤러리 문서에 있는 백 장이 넘는 그림 중 약 8~9할을 시언의 창작자가 무상으로 그려 주었을 만큼 시언의 창작자가 아릴렌을 좋아했다.[18] 이런 선물 공세 덕분에 아릴렌의 창작자도 다른 수많은 캐릭터 중 하나 정도의 가치였던 아릴렌에 대한 애정이 크게 늘었다.
- 세이넬 아르젠베르크
둘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나 아릴렌은 비상식적으로 강한 세이넬의 존재를 보고 답잖게 꽤 놀라는 모습을 보였다. 세이넬의 강함을 고려하면 납득할 만하지만. 그러나 정작 세이넬은 아릴렌의 존재 자체도 모른다. 언젠가 아릴렌이 먼저 세이넬에게 찾아갈지도 모르는 일.
- 드래곤
독립적이고 자존심 강하기로 유명한 그 드래곤이 하나같이 예외없이 아릴렌을 잘 따른다. 이때 얻은 이명이 드래곤 마스터. 드래곤조차 아릴렌의 본질을 알지는 못하지만 아릴렌 다음으로 가장 마법의 현신에 가까운 존재들이므로 아릴렌이 마법적으로 고차원적인 무언가임은 본능적으로 깨달은 것이다.
- 시드 플로라인
시드는 커피를 무척 좋아하는데, 아릴렌이 첫만남에서 전능에 가까운 마법으로 시드에게 커피를 선물해 주면서 빠르게 친해졌다(...). 아릴렌은 시드가 감추고 있는 진짜 힘을 이미 알고 있지만 그것을 감추려는 이유나 과거에 대해 시드 본인이 그다지 밝히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것 또한 알고 있기 때문에 둘 사이에 그런 진중한 대화는 없었다.
- 바알
자유로운 성향의 아릴렌이므로 마계의 영웅인 바알과도 자주 만나 친밀을 쌓았다. 나누는 대화는 주로 시답잖은 화제들이지만 가끔 바알이 아릴렌에게 장비 주조를 의뢰할 정도로 나름 신뢰를 가지고 있다.
- 레오 사우미엘
- 아돌프 아발세르
- 레일리 한센
인간이면서도 이미 인간을 초월한 정보력과 상대의 심리를 꿰뚫는 능력을 가진 레일리를 신기하게 여긴다. 그 아릴렌조차 레일리에게는 심리와 말빨로 우위에 설 수 없다. 이미 레일리는 아릴렌의 본모습이 드래곤이란 것까지 알고 있지만, 다행인 건지 아직 아릴렌의 진짜 본질까지는 알지 못했다.
기타
- 창작자의 자캐 중 유일하게 야짤이 있었는데 나중에 세이넬 아르젠베르크에게 하나가 생기면서 유일 타이틀은 잃었다. 하지만 여전히 최초라는 타이틀은 건재하다.
- '아릴렌(Arilen)'이라는 이름의 어원은 딱히 없다. 정말로 아무 참고나 어원 없이 갑자기 머릿속에 떠오른 음절의 조합으로 지어졌다. 화학 분야에 '아릴렌기(arylene group)'라는 개념이 있긴 하지만 철자도 다르고 관련도 없다.
갤러리
둘러보기
※ 세계관 외부의 둘러보기입니다. |
여자 캐릭터 신장 순위 | ||||||||||||||||||||||||||||
---|---|---|---|---|---|---|---|---|---|---|---|---|---|---|---|---|---|---|---|---|---|---|---|---|---|---|---|---|
[ 펼치기 · 접기 ]
|
VS 배틀 위키 티어 시스템 | ||||||||||||||||||||||||||||||||||||||||||||||||||||||||||||||||||||||||||||||||||||||||||||||||||||||||||||||||||||||||||||||||||||||||||||||||||||||||||||||||||||||||||||||||||||||||||||||||||||||||
---|---|---|---|---|---|---|---|---|---|---|---|---|---|---|---|---|---|---|---|---|---|---|---|---|---|---|---|---|---|---|---|---|---|---|---|---|---|---|---|---|---|---|---|---|---|---|---|---|---|---|---|---|---|---|---|---|---|---|---|---|---|---|---|---|---|---|---|---|---|---|---|---|---|---|---|---|---|---|---|---|---|---|---|---|---|---|---|---|---|---|---|---|---|---|---|---|---|---|---|---|---|---|---|---|---|---|---|---|---|---|---|---|---|---|---|---|---|---|---|---|---|---|---|---|---|---|---|---|---|---|---|---|---|---|---|---|---|---|---|---|---|---|---|---|---|---|---|---|---|---|---|---|---|---|---|---|---|---|---|---|---|---|---|---|---|---|---|---|---|---|---|---|---|---|---|---|---|---|---|---|---|---|---|---|---|---|---|---|---|---|---|---|---|---|---|---|---|---|---|---|
[ 펼치기 · 접기 ]
|
최강 | ||
---|---|---|
마법 | 검 | 주먹 |
- ↑ 어떻게 보면 진짜 정체를 가장 잘 드러낸 말이기도 하다. 아릴렌/정체 문서 참고.
- ↑ 애초에 드래곤의 머나먼 조상이 이분이니 드래곤마스터라는 말도 어폐다.
- ↑ 어이가 없겠지만 그 말도 안 되는 마법 실력 탓에 실제로 신으로 추앙받던 적도 많았다. 재미있게도 아릴렌 본인은 신이라는 존재와 개념에 대해 그리 좋은 입장은 아니다.
- ↑ 후술하겠지만, 잠을 한번 자면 정말 오랫동안 자기 때문이다. 잠을 자는 동안 한 나라의 왕조가 바뀌어 있는 것은 예사고, 심지어는 잠을 자는 동안 하나의 세계가 탄생하고 멸망한 적도 있다. 물론 애초에 잠이 필요 없는 몸이기도 하고, 그럼에도 잠을 자는 것은 단순히 지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정도의 시간이라도 아릴렌에게는 찰나밖에 되지 않는 시간일 것이다. 나이 문단 참고.
- ↑ 제국 기사단장과 에퀴테스로 활동했을 적에 사용한 이름.
- ↑ 지구 대기권 중 열권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높이다. 이 정도면 사람은 드래곤 몸체의 발 하나조차 제대로 못 본다.
- ↑ 상징하는 색은 이처럼 청록색 계열이지만, 보라색도 잘 어울린다.
- ↑ 그래도 다른 세계관 무관에 비해 초대 소드마스터와 대마법사에 자리하거나 아이펠루스 제국 역사에 큰 점을 남기는 등 어느 정도 개입은 했다.
- ↑ 창작자의 자캐 중 유일하게, 그것도 2개나 독자적인 테마곡이 있다.
- ↑ 메인 테마곡의 제목도 별 볼 일 없는 마법사(A Trifling Magician)이다.
- ↑ 실제 우리 우주의 수명은 약 (1구골)년이라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해 보자면 제곱했으니 년이 된다. 이를 10진법으로 풀어 쓰자면 무려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년이다.
읽을 수도 없다 - ↑ 10의 구골 제곱. 10의 10제곱의 100제곱이 아니라 10의 '10의 100제곱'제곱, 즉 이 아니라 이다. 당연히 후자가 훨씬 큰 수다. 전자는 1 뒤에 0이 고작 3개 붙은 수고, 후자는 1 뒤에 0이 무려 1구골 개가 붙은 수다.
- ↑ 10의 구골플렉스 제곱. 이쪽도 마찬가지로 이 아니라 이다.
- ↑ 모든 우주가 처음 상태로 되돌아가기까지 걸리는 시간
- ↑ 이 64번 반복된 가상의 수 이 있다고 가정하자. 는 이 과정을 만큼 반복하고, 같은 원리로 , , …, 까지 이어진다. 이때 가장 마지막에 오는 가 그레이엄 수. 이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거고, 수학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충분히 큰 값이 그레이엄 수. 참고로 의 값이 27인데 여기서 하나만 더 겹친 의 값은 7,625,597,484,987로 껑충 뛰어버린다. 그걸 64번 반복한 게 이고, 는 같은 방식을 번만큼 반복하면서 도달한 는 도무지 상상조차 불가능하다.차원 초입방체의 개의 꼭짓점을 모두 직선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이 선들을 2가지 색을 사용해 칠한다. 이때 이 충분히 크다면 칠하는 방법에 상관없이 동일 2차원 평면상에 있는 네 점을 연결한 6개의 선이 모두 같은 색인 것이 반드시 존재한다.
- ↑ 모든 초한수 가운데서도 가장 큰 무한. 쉽게 말해 '수'라는 개념을 가진 것 중에 절대적 무한보다 큰 것은 없다.
- ↑ 과거형인 이유는 이제는 아니기 때문이다. 연락을 안 한 지 오래 되었다가 자연스레 소원해졌다.
- ↑ 유독 시언과 아릴렌이 엮인 그림이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